‘엘르’, 우리에게 이 영화의 울림이 적지 않은 이유
(본문 중 영화 내용의 누설이 있습니다. 영화를 관람하실 분들은 참고 바랍니다.) 영화 <엘르>는 집으로 난입한 복면의 남자에게 미셸(이자벨 위페르)이 강간을 당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난폭한 그 장면을 그녀가 키우는 고양이가 바라본다. 그런데 이 미셸의 반응이 이상하다. 강간을 당했다면 응당 굉장한 충격을 받아 경찰에 신고를 하거나 해야 하지만, 그녀는 마치 그것이 일상이라는 듯 깨진 잔을 빗자루로 치운다. 물론 경찰에 신고도 하지 않는다. 나중에 친구들과의 식사자리에서 자신이 강간을 당했다는 사실을 털어놓지만 더 놀라는 건 친구들이다. 그녀는 너무나 담담하다. 마치 남의 일인 것처럼.
사진출처:영화<엘르>
그녀의 이 담담한 얼굴은 관객들을 오히려 당혹스럽게 만든다. 그것은 그녀의 회사에서 벌어지는 일련의 사건들 속에서도 그대로 이어진다. 친구인 안나(앤 콘시니)와 함께 게임회사를 운영하고 있는 미셸은 마침 회사에서 자신의 얼굴이 들어간 캐릭터의 성폭력 동영상이 메일로 전 직원에게 퍼지는 사건을 겪는다. 하지만 누가 그랬을까 하는 궁금증을 가질 뿐 그녀는 역시 이를 경찰에 신고한다거나 공포심을 갖는다거나 하지 않는다.
그녀가 그렇게 담담해진 이유로서 어린 시절의 충격적인 경험이 밑거름을 제공한다. 아버지가 수십 명을 무차별 살해한 사이코패스였고, 그 살해 현장에서 찍힌 그녀의 사진은 마치 그녀마저 아버지의 공범처럼 여겨지게 만들었다. 사실 이 정도의 충격적인 경험을 했다면 그녀의 담담함이 이해되지 않는 건 아니다. 그녀는 폭력적인 사건들이 일상인 세상을 담담히 바라보고 있다.
감옥에서만 평생을 산 아버지를 그녀의 엄마는 자꾸만 찾아가 보라고 한다. 하지만 그것은 그녀의 트라우마이며 벗어나고픈 과거일 뿐이다. 엄마는 집착적으로 젊은 남자와 그 나이에도 연애를 하고, 미셸은 그런 엄마의 삶이 어딘지 잘못되어 있다고 느낀다. 또 피부 색깔이 다른 아이를 자기 아이라고 믿으며 여자친구에 집착하는 아들의 삶 역시 엇나가 있다 여긴다. 무덤덤하게 상황을 받아들이고 있지만 그녀 역시 자신이 겪는 사건들로부터 벗어나고 싶어한다. 잘못된 것들을 되돌리고 싶어한다. 다만 어떤 촉발점이 없을 뿐이다.
엄마의 갑작스런 죽음은 그 촉발점이 되어준다. 친구인 안나에게 엄마의 연애행각을 보며 “내가 저렇게 살면 죽여줘”라고 말하는 미셸은 엄마처럼 평생을 살아간다는 것이 죽음보다 힘겨운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저 작은 단지 안에 들어가는 재에 불과한 삶이라는 걸 엄마의 죽음으로 확인한 그녀는 아버지를 찾아가겠다고 마음먹는다. 그녀는 자신의 인생을 엇나가게 만든 아버지라는 트라우마를 진정으로 죽여 버리고 싶어 총 쏘는 법을 배우기도 했지만 정작 교도소를 찾아간 그날 아버지는 목을 매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그녀가 찾아가겠다는 그 말 한 마디가 아버지에게는 총알이 되어 날아간 것이다.
그녀는 자신을 강간한 남자가 자신이 호감을 가졌던 이웃집 남자 패트릭(로랭 라피테)이라는 사실을 알면서도 이끌림과 폭력 사이에서 갈등한다. 평상시 신사의 모습으로 다가오는 패트릭에게 매력을 느끼지만 동시에 폭력이 아니면 사랑이 되지 않는 그 남자의 실체 앞에 실망하고 분노한다. 패트릭이라는 남성은 얼마나 여성들에게 폭력이 일상적으로 가까이 존재하는가를 잘 드러내는 인물이다.
그녀는 이 모든 문제들을 자신이 겪었던 그 방식으로 해결한다. 과거 어린 시절 아버지의 무차별 살인 속에서 자신이 피해자였지만, 마지막 순간에는 자신이 만들어놓은 상황 속에서 가해자가 죽음을 맞이하게 만든다. 이제 자신의 아들이 그 살인 현장에 서게 되지만.
<엘르>는 일상적 폭력 속에서 살아가는 한 여성이 자신만의 방식으로 처절한 복수를 하는 그런 영화로도 충분히 즐길 수 있는 영화다. 하지만 그 안을 찬찬히 들여다보면 여성들을 둘러싼 일상적 폭력들이 섬뜩할 정도로 잘 담겨져 있다는 걸 발견하게 된다. 이자벨 위페르의 그 무심할 정도로 이성적이고 냉철한 얼굴은 그래서 쿨하게도 다가오지만 동시에 일상적 폭력 속에서 둔감해진 여성의 아픈 자화상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영화 한 편이 이토록 다양한 상징적 의미들과 확장성을 갖는다는 건 신비로운 일이다. 특히 우리처럼 여성들이 오래도록 가부장적 틀에서 살아오며 피부에 이식되어 이제는 그게 아무 것도 아닌 일처럼 자행되는 일상의 폭력들을 겪는 사회에서 <엘르> 같은 영화가 주는 울림과 카타르시스는 의외로 크다. 여성들이 느낄 폭력의 실체를 보고 느끼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가치가 있는 그런 영화다.
'옛글들 > 영화로 세상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거 실화야? '박열' 100% 사실이라 더 놀라운 이 청년들 (0) | 2017.07.01 |
---|---|
‘리얼’, 어째서 노출만 화제가 된 영화가 됐을까 (0) | 2017.06.30 |
‘트랜스포머’, 옵티머스 프라임의 연설에 실소가 터진 까닭 (0) | 2017.06.24 |
‘악녀’, 김옥빈의 액션 왜 이렇게 통쾌한가 했더니 (0) | 2017.06.10 |
'원더우먼' 갤 가돗 논란으로 다시 떠오른 이름 린다 카터 (1) | 2017.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