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이거 실화야? '박열' 100% 사실이라 더 놀라운 이 청년들

728x90

박열’, 우리에게도 이런 통쾌한 역사가 있었다니

최근 “이거 실화냐?”라는 표현이 유행어처럼 사용되고 있다. 사실인데도 믿기지 않는 상황을 일컬을 때 하는 말. 영화 <박열>은 아마도 이 표현이 잘 어울리는 작품이 아닐까. 관객들이 그런 반응을 보일 거라는 걸 감독 또한 알고 있었다는 듯이 이 영화는 “모든 게 실화”라는 자막 고지와 함께 시작한다. 

사진출처:영화<박열>

‘나는 개새끼로소이다.’로 시작하는 ‘개새끼’라는 박열의 시에 단박에 반해버린 가네코 후미코는 그에게 동거를 제안하고 그렇게 시작된 그들의 드라마틱한 사랑과 삶은 도무지 실화라고는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가슴을 두근거리게 만드는 면이 있다. 그는 시에서 드러내듯 스스로를 ‘개새끼’라고 치부하지만, ‘높은 양반의 가랑이에서 뜨거운 것이 쏟아져 내가 목욕을 할 때, 나도 그의 다리에다 뜨거운 줄기를 뿜어대는’ 시대의 반항아. 

간토대지진이 민중들의 소요사태를 일으킬 것을 걱정한 일본 수뇌들은 조선인들을 희생양으로 내세워 계엄령을 선포한다. 이른바 자경단이라는 이름으로 조직된 일본인들이 죽창으로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조선인들을 살해하고, 그 와중에 박열(이제훈)은 대역죄라는 죄목으로 재판을 받게 된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이 인물은 자신을 사형시킬 수도 있는 일본의 재판부 앞에서 오히려 그들을 조롱하고 해야 할 말들을 연설처럼 쏟아내는 역전된 상황을 만들어낸다. 

“어차피 사형당할 것”이라고 스스로 생각했던 그가 일본의 재판부를 쥐락펴락하는 상황들은 저런 일이 실제 있었을까 싶을 정도로 통렬하다. 그리고 평생의 동지이자 연인이었던 가네코 후미코(최희서)와 옥중에서 또 재판정에서 보이는 애정행각들은 애틋하고 뭉클하면서도 저들을 욕보이는 것 같은 통쾌함을 선사한다. 재판을 받고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할 이야기를 하고 또 서로의 사랑하는 마음을 확인하고 있다는 느낌이 주는 통쾌함. 

<박열>은 우리가 막연히 일제강점기라고 생각하면 핍박받고 당하는 우리의 모습들만을 떠올려왔던 것이 하나의 선입견이라는 걸 말해주는 영화다. 우리에게도 박열 같은 청년이 있었다. 총칼이 위협을 해도 심지어 죽음 앞에서도 당당하게 할 말을 했던 청년. 비열한 일본 제국주의 앞에 수천 명의 조선인들이 죽어나갔다는 걸 재판정에서 오히려 성토했던 청년. 

그리고 그와 함께 했던 가네코 후미코 같은 일본 청년도 있었다. 그녀는 일본인이었지만 잘못된 일제에 항거했다. 무엇보다 그녀는 진정한 사랑과 소신을 위해 자신을 굽히지 않았다. 재판정에서 최종 사형 판결이 내려지기 전 그녀는 마지막 진술에 그 마음을 담았다. “나는 박열을 알고 있다. 박열을 사랑하고 있다. 그가 갖고 있는 모든 과실과 모든 결점을 넘어 나는 그를 사랑한다.... 재판관에게도 말한다. 부디 우리를 함께 단두대에 세워 달라. 박열과 함께 죽는다면 나는 만족스러울 것이다. 그리고 박열에게 말한다. 설령 재판관들이 우리 두 사람을 갈라놓는다 해도 나는 당신을 결코 혼자 죽게 하지는 않겠다.”

<박열>은 일제강점기의 스무 살이 갓 넘은 한 청년의 이야기지만, 그 이야기가 지금에도 전해주는 의미는 실로 크다고 여겨진다. 잘못된 세상에 대해 당당히 맞서고 그렇게 세상을 바꾸려 했던 이 실존인물의 삶은 팍팍한 현실이 힘겨운 지금의 청춘들에게도 충분한 위로와 격려가 되지 않을까. 적어도 우리에게도 이런 통쾌한 역사가 있었다는 걸 보여주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재미있고 의미 있는 영화가 아닐 수 없다. 그리고 이건 실제 역사가 기록하고 있는 100% 실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