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무엇이 '김생민의 영수증'을 그뤳잇하게 만들었나 본문

옛글들/명랑TV

무엇이 '김생민의 영수증'을 그뤳잇하게 만들었나

D.H.Jung 2017. 10. 21. 10:24
728x90


'김생민의 영수증'이 건드린 서민들의 소비정서


과연 저렇게 아끼면서 살 수 있을까 싶지만 김생민이 대놓고 “스튜핏”과 “그뤠잇”을 반복하며 요리조리 쪼개 보는 누군가의 영수증 이야기가 어쩐지 마음속에 콕콕 박힌다. ‘돈은 안쓰는 것이다’라고 적혀진 커다란 문구는 우스우면서도 이상하게 마음을 잡아 끈다. 김생민이 아끼고 아끼라는 말을 줄줄이 늘어놓을 때 옆 자리에 앉아 정반대의 이야기를 털어놓으며 자신의 소비욕망을 드러내는 김숙과 송은이의 이야기도 마찬가지다. 김생민의 말과 김숙, 송은이의 말은 정반대의 메시지를 담고 있지만 그 두 이야기가 모두 고개가 끄덕여지는 건 왜일까. 바로 이 지점에 KBS <김생민의 영수증>이라는 프로그램이 이른바 ‘김생민 열풍’까지 만들어낸 저력이 숨겨져 있다. 


'김생민의 영수증(사진출처:KBS)'

사실 소비는 자본주의 세상에서 가만히 있어도 부추겨지는 욕망이다. 물건들이 넘쳐나는 세상이고 그러니 그걸 사고 싶은 건 인지상정이다. 그런데 그렇게 쓰고 싶은 대로 쓰면 점점 살기 힘들어지는 현실은 기형적이다. 정상적인 소비를 하고도 집을 사고 차를 타고 직장을 다니며 때론 여행을 가는 일이 누구나 가능해야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집 하나를 사기 위해 수십 년의 인생을 은행 빚을 갚아나가는데 보내야 하는 게 우리의 처지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부모 잘 만나 집 한 채 정도는 뚝딱 받아 살아가는 금수저가 아니라면 절망적일 수밖에 없다. 도무지 그 흙수저의 삶을 벗어날 수 없는 사회 시스템 안에서 도대체 어떻게 버텨내야 한단 말인가. 그래서 미래를 위해 현재를 포기하는 삶(아파트 하나를 장만하기 위해 우리가 누구나 그렇게 하듯)을 ‘스튜핏’하다고 깨달은 대중들은 미래가 아닌 현재를 살라고 말한다. 이른바 ‘욜로’ 열풍이 나온 건 바로 이런 절망적인 현실이라는 텃밭에서였다. 당장 하루하루를 즐기는 삶이 그걸 희생해 한참 후에 올 미래의 행복보다 중요하다는 것. 


하지만 <김생민의 영수증>은 정반대 이야기를 한다. 미래가 아닌 현재를 즐기는 건 ‘스튜핏’한 삶이라고 말한다. 대신 지금 당장 적금통장을 만들고 하루하루 당신의 통장을 점검해 쓸데없는 소비들을 없애나가라고 말한다. 그러다 보면 포기했던 ‘그뤠잇’한 미래가 꿈이 아니라 현실로 펼쳐질 것이라고 한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해야할 것은 <김생민의 영수증>은 예능 프로그램이라는 점이다. 그래서 그가 하는 일련의 해법들은 일견 공감 가는 것이고 합리적인 것이긴 하지만 그것이 진정한 솔루션일 수는 없다는 것이다. 그건 김생민도 알고 있고 함께 앉아 있는 송은이도 김숙도 알고 있따. 다만 이 프로그램이 건드리는 건 그런 솔루션이 아니다. 오히려 미래를 준비하려니 현재를 포기하는 삶을 살아야 하고, 그렇다고 현재를 즐기자니 미래가 불안한 서민들의 그 양가적 감정을 모두 공감하는 일이다. 김생민이 아끼라고 하고 김숙이 그래도 사고 싶다고 말하는 그 균형점 안에 서민들이 가진 소비에 대한 양가감정이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있다. 


그래서 <김생민의 영수증>은 궁극적으로 서민들의 주머니 사정이 해결해주지는 않지만 그 짧은 시간 동안만이라도 동병상련을 겪고 있는 우리들의 마음을 쓰다듬는다. 다이어트를 하기 위해 한의원에서 꽤 비싼 한약을 구입하지만 그러고 채 하루가 지나기도 전에 야식을 먹는 분이나, 빵집을 자주 들르면서 굳이 토스터기를 사는 분들이 보여주는 합리적이지 않은 소비의 모습이 나와 다르지 않다는 걸 확인하면서 공감하는 시간. 그래서 나만 그런 것이 아니라 다른 이들도 그렇다는 걸 우리는 그 타인의 영수증을 통해 보면서 위로받는다. 


그래서 <김생민의 영수증>이라는 프로그램은 어찌 보면 한 편의 짧은 ‘블랙코미디’를 보는 것만 같은 느낌을 준다. “쓰지 말라”고 강변하는 김생민의 극단적인 짠돌이의 모습은 그 자체로 우리가 얼마나 제대로 살기 위해서는 많은 것들을 포기해야 하는가를 캐릭터로 말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쓰고 싶지만 여유가 없고, 여유 없이 살자니 퍽퍽해지는 삶. 그 사이에 서 있는 지금의 대중들의 정서를 이만큼 제대로 저격한 프로그램도 보기 드물 것이다. 그래서 어찌 보면 수십 년 간 화려해 보이는 연예계 속에서, 홀로 그뤠잇한 서민의 삶을 살아온 김생민이라는 캐릭터 자체가 강렬한 풍자처럼 보이는 면이 있다. (이 글은 농민신문에 게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