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이번 생은' 이민기·정소민, 이런 시적인 엔딩은 처음이라

728x90

‘이번 생은 처음이라’, 처음이기에 좋은 것들

‘사람이 온다는 건 실로 어마어마한 일이다/ 그는 그의 과거와 현재와 그리고 그의 미래와 함께 오기 때문이다/ 한 사람의 일생이 오기 때문이다/ 부서지기 쉬운 그래서 부서지기도 했을 마음이 오는 것이다’ 남세희(이민기)의 방에서 우연히 찾아낸 정현종 시인의 시집에서 윤지호(정소민)는 ‘방문객’이라는 시를 읽는다. 그 시가 말하는 ‘부서지기 쉬운’ 마음이나 ‘부서지기도 했을’ 마음이 마치 윤지호와 남세희의 이야기처럼 다가온다. 

tvN 월화드라마 <이번 생은 처음이라>에서 집주인과 세입자의 관계에서 계약결혼을 한 두 사람. 그래서 공식적으론 부부지만 여전히 핸드폰에는 집주인과 세입자로 전화번호가 입력되어 있던 두 사람은, 타인의 시선을 핑계 대며 은근히 남편과 아내로 그 이름을 바꾸지만 실제로도 마음이 움직인다. 다만 부서지기 쉽거나 부서지기도 했던 마음이라 그 마음이 쉽사리 표현되지 않을 뿐이다. 

하지만 결혼은 양가의 일이기도 해서 두 사람의 관계는 어쩔 수 없이 얽혀든다. 세희의 제사에 불려간 지호가 시댁에서의 제사상을 차리는 일을 하게 된 것이 영 마음에 걸리는 세희는 지호네 고향집에서 하는 김장에 그만한 ‘노동’을 하겠다고 나선다. 제사와 김장. 서로의 마음이 직접 다가가지 못하는 관계지만 이런 집안 행사를 통해서나마 그들은 그 마음을 움직인다. 고향집에서 고생할 세희가 걱정되어 뒤늦게 내려온 지호의 마음과, 그를 보고 반색하는 세희의 반가운 마음이 교차한다.

바다가 보이는 곳에서 두 사람은 정현종 시인의 ‘방문객’이라는 시를 얘기하고 바다를 이야기한다. 지호는 이렇게 바다를 “남자랑 보는 게 처음”이라고 한다. 그러자 세희는 그 처음이라는 것이 얼마나 좋은 것인가를 말하며, “알고 나면 못하는 게 많다”고 한다. “모른다는 건 좋은 것”이라고 한다. 세희는 한 차례 사랑의 상심을 겪었다. 다시 사랑을 시작한다는 것을 두려워한다. 

그러자 지호는 저 바다가 다 똑같은 것 같아도 다 다르며, 지금 보는 바다는 또 “처음”이라고 말한다. 세희의 두려움을 아는 지호는 바다에 빗대 그 마음을 전한다. 지호는 부서지기 쉬운 마음이지만 그래도 모든 건 처음처럼 새로운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흘러가는 대로 가보자고 하는 중이다. 지호의 말을 들은 세희는 새삼 깨닫는다. 한 번 겪은 일은 결코 또다시 똑같이 반복되는 것은 아니라는 걸. 새로 시작하는 그것은 또 다른 ‘처음’이라는 걸.

<이번 생은 처음이라>는 화두처럼 ‘처음’이라는 단어를 집어넣어 부제를 달았다. ‘결혼은 처음이라’, ‘남편은 처음이라’, ‘시월드는 처음이라’ 같은 식이다. 그것은 제목에서 변주한 재치있는 부제들이지만, 지금에 와서 생각해보면 왜 작가가 ‘처음’이라는 단어를 하나의 키워드로 사용했는가를 알게 된다. 우리가 겪는 모든 일들이 반복적인 것 같지만 사실은 같은 것이 없고 모두 ‘처음’이라는 것이다. 같아 보이지만 같은 바다가 없는 것처럼. 

사람도 같은 사람이 아니다. 그 사람은 과거와 현재가 함께 하며 변화해 있는 것이고 그래서 또 다른 미래가 펼쳐지는 사람이다. 과거에 부서졌던 마음이거나 미래에 부서지기 쉬운 마음이어도 그렇게 다가오는 마음이란 그래서 시인이 말하듯 ‘어마어마한 일’이다. <이번 생은 처음이라>가 하고픈 말도 이것일 게다. 그 어마어마한 처음이 얼마나 좋은 것이냐는.

그저 가벼운 로맨틱 코미디로 여겼던 이 드라마는 어느 순간부터 삶에 대한 통찰을 담아내는 깊이를 장착하기 시작했다. 특히 드라마 말미에 인물들의 내레이션이 깔리며 전개되는 성찰적인 ‘시적 엔딩’은 이 드라마가 끝나고 나서도 깊은 울림으로 전해진다. 마치 잔잔해보여도 들어왔다 나가는 파도가 만들어내는 잔상들이 마음에 어떤 흔적을 남기는 것처럼, 이 드라마는 시인이 말하는 ‘방문객’을 닮아간다. 실로 이런 시적인 엔딩은 처음이라.(사진:t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