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신과 함께', 오글거리는 맛 싹 잡아주는 차태현의 진가

728x90

'신과 함께', 차태현과 함께 저승으로 이승을 위로하는 법만일 차태현이 아니었다면 이런 ‘바른 이야기’가 감동까지 줄 수 있었을까. <신과 함께-죄와 벌>은 실로 차태현이라는 배우가 가진 장점을 처음부터 끝까지 보여주는 영화다. 안티가 거의 없을 정도로 착하고 바른 이미지를 갖고 있고, 어딘가 짠한 역할에도 잘 어울리지만 동시에 코미디적인 웃음까지 줄 줄 아는 배우 차태현. <신과 함께>는 그래서 ‘차태현과 함께’여서 그 영화적 효과가 배가 된 작품이라고 말할 수 있다.

<신과 함께>는 물론 주호민 작가의 웹툰과는 사뭇 다른 이야기를 담고 있다. 하지만 이 작품에서 가장 중요한 건 이야기 그 자체보다 이승과 저승을 오가는 이 작품의 세계관이다. 영화는 시작과 함께 고층건물에서 아이를 안고 떨어져 내리는 김자홍(차태현)의 죽음으로부터 시작한다. 소방관으로서 각종 사고들로부터 인명을 구해내는 걸 업으로 살아온 그의 죽음은 그래서 저승에서는 ‘귀인’의 등장으로 축하받는다. 죽음은 비극일 수밖에 없지만 저승이라는 세계의 존재는 그 비극을 한 걸음 멀리 떨어뜨려 바라보게 한다. <신과 함께>가 저승을 여행하는 모험담을 그릴 수 있는 이유다.

그 누구도 보지 못한 세계, 저승을 여행한다는 콘셉트는 그 자체로 볼거리가 아닐 수 없다. 살인, 나태, 거짓, 불의, 배신, 폭력, 천륜이라는 7번의 재판을 거치기 위해 김자홍과 그를 수행하는 차사들이 겪는 모험담은 완전한 상상의 세계로 구축된 것이라는 점에서 흥미롭다. 외국의 판타지물에서나 봐왔던 기괴한 괴물들의 공격이나, 칼처럼 자라나 지나는 이들을 찌르는 나무 숲, 중력을 무시하는 듯 둥둥 떠다니는 바위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추락과 상승의 아찔한 경험 같은 것들이 시각특수효과에 의해 실감나게 그려진다.

어찌 보면 아이들의 상상력 같은 유치한 세계처럼 보이지만 그걸 조금 진중하게 만들어내는 건 저승에서 재판을 거칠 때마다 등장하는 김자홍의 삶이 주는 무게감이다. 저승의 세계는 끔찍한 면도 있지만 어딘지 가볍게 느껴지는 반면, 이승의 세계는 현실의 그 무거움이 김자홍이라는 ‘정의로운 망자’의 삶 속에서 고스란히 느껴진다. 

너무나 가난하고 불행해 더 이상 사는 것이 의미가 없어졌던 그 시절의 아픈 기억으로 인해 한 평생을 가족을 위해 희생하고 또 누군가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제 몸을 던지며 살아온 김자홍의 삶의 진면목이 하나하나 드러날 때마다 저승의 다소 희극적인 세계는 이승의 비극과 균형을 맞추며 영화를 유치하지 않게 만든다. 

결국 김자홍의 삶은 한 마디로 말해 비극이었다. 아픈 노모와 동생을 부양하기 위해 자신은 결코 행복한 삶을 살지 못했다. 이런 모습은 다소 개발시대 가장들의 면면들을 떠올리게 만든다. 영화의 마지막에 이르러 드러나는 진실 앞에서 관객들이 어쩔 수 없이 눈물을 흘릴 수밖에 없었던 건 김자홍이라는 인물의 비극 속에서 남 이야기 같지 않은 구석을 발견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영화는 그 비극적인 삶이 결코 의미 없는 삶이 아니었고 나아가 염라대왕의 마음까지 돌려놓을 수 있는 가치를 지녔다고 말한다. 저승이라는 세계를 가져와 이승의 현실적 어려움들을 위로하는 이 영화의 방식이다. 지금이 어려워도 그것이 끝이 아니며 지금 노력하며 착하게 살아온 그 삶들은 반드시 보상받는다는 걸 영화는 말해준다.

다소 교과서적인 이야기인데다, 감동의 원천 그 밑바닥을 보면 ‘효’라는 다소 전통적인 가치(물론 그 가치는 지금 더더욱 요구되는 것이지만)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어 이를 인물로서 보여주는 김자홍이라는 캐릭터는 영화 전체의 구심점이 될 수밖에 없다. 그런 점에서 보면 차태현이라는 배우가 얼마나 이 캐릭터와 잘 맞아 떨어지는가를 새삼 확인할 수 있다. 차태현이 주는 인간적인 호감이 아니었다면 이 영화의 다소 오글거리는 교과서적인 주제가 설득되기 어려웠을 수도 있지 않았을까. 그가 있어 영화는 시종일관 흥미롭고, 우습기도 하며 나아가 먹먹해지는 경험들이 가능할 수 있었다.(사진출처:영화 '신과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