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이 바꾸는 일상, <알쓸신잡2>가 보여준 인문학의 쓸모인문학이 이토록 즐겁고 흥미진진한 것이라는 걸 이만큼 극적으로 보여준 프로그램이 있었을까. 물론 인문학을 소재로 하는 강연 형식의 프로그램들이 없었던 건 아니지만, 그런 프로그램이 인문학을 주로 강단 위에 세웠던 것과는 달리 tvN <알쓸신잡>은 우리의 일상 속으로 파고 들어갔다. 여행지를 정하고 그 곳을 여행하며 느낀 소회들을 통해 인문학적 상상력을 끄집어내는 그 과정은 우리에게 인문학이라는 것이 얼마나 가까이 있었는가를 보여줬다.
총정리편으로 미방송분을 편집해 마련한 <알쓸신잡2>의 마지막회는 그간 이 프로그램이 다녔던 곳과 그 곳에서 나눈 지식수다들을 전체적으로 관망하게 해주었다. 그 세세한 내용들이 갖고 있는 지식의 즐거움이 프로그램을 보는 시청자들을 푹 빠지게 했었고, 그래서 그 시간이 언제 이렇게 훌쩍 지나가버렸는가를 느끼지 못할 정도로 우리는 몰입했다. 가을에 시작해 한 해를 마무리하는 시점에 어느새 도달해 돌아보니 새삼 이번 편에서 우리가 주목했던 것들이 어떤 것이었는가가 새삼스럽게 보인다.
아마도 이번 시즌2에서 가장 다른 색깔을 가져온 인물은 건축가 유현준 교수가 아닐까 싶다. 그는 여행을 하거나 우리가 일상을 겪으며 그냥 지나치곤 했던 건축물들을 새롭게 바라보게 만든 장본인이다. 그가 자주 쓰던 ‘시퀀스’라는 말은 이제 일반 시청자들도 ‘공간과 건축물을 경험’하면서 염두에 두게 된 단어가 되었다. 일종의 스토리라고도 할 수 있는 공간 하나하나를 겪는 그 과정들은 그냥 만들어진 게 아니라 어떤 목적성을 띄고 있다는 것. 그걸 들여다보게 된 것만으로도 우리는 우리 일상 속 건축물들을 다른 시각을 볼 수 있게 되었다.
뇌 과학자인 장동선 박사가 조곤조곤 들려주던 뇌 과학에 대한 지식들도 빼놓을 수 없다. 유현준 교수가 건축물이라는 외부 공간을 새롭게 보게 만드는 시각을 제시했다면, 장동선 박사는 인간이 하는 어떤 행동들이 갖는 의미들을 새삼 생각해보게 만드는 시각을 제시해줬다. 하지만 장동선 박사가 이번 시즌2에 부여한 건 그러한 지식보다 그에게서 느껴지는 순수하고 따뜻한 느낌이었다. 많은 지식들이 주는 즐거움도 즐거움이지만, 결국 “살면서 어떤 게 가장 중요한가”를 묻는 것이 인문학이고 그것을 몸소 실천해온 인물로서 그가 주는 온기는 지식의 궁극점이 어디에 있는가를 다시금 생각하게 해주었다.
지난 시즌에 이어 이번 시즌도 함께 한 유시민 작가와 황교익 맛 칼럼니스트는 특유의 다양한 지식과 경험들에 갈수록 능숙해지는 방송의 묘를 더해 <알쓸신잡2>가 균형 잡힌 프로그램이 되게 해주는데 일조했다. 유시민 작가는 자신이 모든 걸 이야기하기보다는 상대방 이야기를 들어주는 모습을 더 많이 보였고, 황교익 맛 칼럼니스트 역시 음식 이야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문학이나 역사 관련 이야기들을 보태 프로그램을 더 풍부하게 해주었다. 사실상 두 사람의 배려와 주고받음이 있어 새롭게 들어온 출연자들과의 조화로운 수다(?)가 가능할 수 있었다.
시즌1도 그렇지만 시즌2도 역시 누가 그 자리에 앉아 있느냐에 따라 우리의 새로운 시각이 하나씩 열린다는 걸 <알쓸신잡2>는 보여줬다. 그래서 이제 마지막에 즈음해 돌아본 시즌2를 통해 시청자들은 벌써부터 시즌3를 기대하게 되고 거기에는 또 어떤 다른 인물이 들어와 우리의 새로운 시각을 열어줄 것인가를 기대하게 된다. 새해에 새로운 얼굴들을 <알쓸신잡3>로 만날 수 있기를.(사진:tvN)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콜라보의 향연 펼친 '한끼줍쇼'의 흥미진진한 새해 첫 걸음 (0) | 2018.01.05 |
---|---|
'강식당'의 성공이 '무도' 시즌제 요구에 시사하는 것 (0) | 2018.01.04 |
자아도취 빠지지 않는 '어서와' 제작진의 현명한 균형감각 (0) | 2017.12.30 |
'도시어부', 이경규가 "사랑해요"를 외치니 대박날 수밖에 (0) | 2017.12.30 |
유시민부터 진선규까지, '무도'의 선정 기준 납득된 이유 (0) | 2017.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