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더', 이보영과 허율의 특별한 모녀관계가 던지는 울림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8. 2. 2. 09:48728x90
‘마더’의 질문, 대체 누가 진정한 엄마인가
이토록 아픈 웃음이 있을까. 혜나(허율)는 몰아치는 폭풍 속에서 저 멀리 날아가는 철새들을 보며 자신도 같이 가자고 외친다. 아이가 걱정되는 한 어부가 이렇게 바람이 부는 날에 너처럼 작은 아이는 바람에 날아가 버릴 수도 있다며 방파제에 위태롭게 서 있는 혜나를 걱정할 때, 아이는 웃고 있었다. 마치 바람에 날아가면 이 아픈 현실 속에서 벗어나 저리 날아가는 철새들과 함께 할 수 있을 것처럼. 죽음의 공포 앞에서도 자유를 꿈꾸는 아이의 이 웃음은 얼마나 슬픈가.
어머니라고 불리는 것조차 견디지 못하는 혜나의 비정한 엄마 자영(고성희)은 동거남 설악(손석구)이 아이를 학대하는 걸 방관했다. 비닐봉지에 아이를 넣어 싸매놓고 영화를 보러가는 엄마는 스스로 모성애를 쓰레기통에 버린 셈이다. 대신 혜나의 그 상처들을 남달리 깊게 들여다본 수진(이보영)은 그 학대로부터 아이를 구해내려 한다. 물론 그건 법적인 틀에서 바라보면 유괴라는 범죄가 되는 것이지만.
수진이 이토록 혜나의 상처를 외면하지 못하게 된 건, 자신 또한 어렸을 때 겪었던 일들 때문이다. 그는 어린 시절 엄마로부터 버림받았다. 정애원의 문짝에 자전거 자물쇠로 꼭꼭 묶여진 어린 수진을 발견한 글라라 선생님(예수정)은 자물쇠를 풀어줘도 자리를 떠나지 않는 수진 옆에서 묵묵히 아이를 기다려주었다. 아마 그 자물쇠는 수진에게는 자신을 버리고 간 엄마와 이어진 유일한 탯줄 같은 것이 아니었을까. 하염없이 그 자리에서 수진은 엄마를 기다렸지만 결국 오지 않는 기다림이라는 걸 알고는 포기해버린다.
이런 경험을 한 수진이었기 때문에 혜나의 아픔이 남다르게 다가왔을 터다. 정애원을 찾은 수진은 하지만 자신이 과연 혜나의 엄마가 될 수 있을까를 성모 마리아 앞에서 묻는다. 자신은 엄마를 경험하지 못했고 또 엄마가 되기도 싫었고 또 엄마였던 적도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수진의 엄마나 다름없던 글라라 선생님은 그가 엄마로서 다시 돌아온 것을 반기고 있었다.
“저에겐 엄마가 없는데 어떻게 엄마가 될 수 있을까요?” 수진이 성모 마리아 앞에서 눈물을 흘리며 던지는 이 질문은 그래서 남다른 울림으로 다가온다. 엄마라고 다 엄마가 아니며, 엄마가 아니라도 기꺼이 아이의 아픔을 보듬어낼 수 있는 이가 진정한 엄마가 될 수 있다는 것. 그건 글라라 선생님이 사실상 엄마로부터 버림받거나 엄마를 떠나보내 이 정애원으로 왔던 아이들의 진정한 엄마였다는 사실이 그걸 말해준다.
<마더>에서 성모마리아 앞에서 수진이 기도를 하는 장면은 그래서 이 드라마가 가진 또 하나의 상징을 담아낸다. 동정녀 마리아가 예수를 가슴에 품듯, 수진이 혜나라는 아이를 가슴에 안는 장면이기 때문이다. 그러고 보면 혜나는 마치 우리가 사는 이 세상에 우리가 짓고 있는 죄를 현시하기 위해 불쑥 우리 앞에 나타난 존재처럼 보인다. 폭풍우가 치는 바닷가에서 하늘을 향해 양팔을 벌리고 슬픈 웃음을 짓는 그 모습이 남다른 울림으로 다가오는 건 그래서다.
<마더>가 가진 연출의 영상미는 이처럼 종교적이고 상징적인 뉘앙스까지를 담아내며 깊은 울림을 전해준다. 물론 겉으로 드러난 사건들은 아동학대와 유괴 같은 범죄적인 모습으로 등장하고 있지만, 이 드라마가 그런 범죄물의 틀을 훌쩍 넘어 인간 본연의 본성이나 죄에 대한 함의까지를 담아낼 수 있는 건 이러한 남다른 이야기전개와 그를 시적으로 담아내는 연출력 덕분이다.
도대체 누가 진정한 엄마인가. 이 질문은 그래서 보다 확장될 수 있다. 무엇이 진정한 인간의 본성이고, 본성이어야 하는가. 혜나의 슬픈 웃음을 보며 먹먹함을 느꼈다면, 또 수진의 눈물어린 간절한 기도에서 뭉클함을 느꼈다면, 그건 아마도 <마더>가 전하려는 진정한 메시지를 공감했다는 이야기일 게다.(사진:tvN)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꽃' 장혁·이미숙 더 빛낸 김희원 PD, 연출력 어땠기에 (0) 2018.02.05 "독한 년"이 될 수밖에 없는 '미스티' 김남주에 대한 공감 (0) 2018.02.05 잔인하다고 욕먹던 '리턴', 알고 보니 쫄깃한 스릴러 (0) 2018.02.02 '황금빛' 천호진·전노민, 아빠들의 각성이 주는 카타르시스 (0) 2018.01.30 무엇이 '돈꽃'을 비장미 넘치는 서사시로 만들었나 (0) 2018.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