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고인 앞에 돈 계산만, '검법남녀'가 보여준 씁쓸한 현실

728x90

‘검법남녀’, 망자의 목소리를 통해 분노하게 된 건

70대 노인이 집에서 잠을 자다 사망했다. 누가 보면 호상이라고도 할 만한 상황. 하지만 자식들의 모습이 어딘가 수상하다. 아버지의 죽음을 애도하기보다는 비용 문제로 병원을 옮기고, 사인은 ‘심근경색’이라고 주장하고 나선 것. 알고보니 ‘심근경색’에 의한 사망은 보험금 특약사항이어다. 결국 보험금을 타기 위해 자식들이 서둘러 ‘심근경색’을 주장했던 것. 하지만 ‘심근경색’이라고 사인을 쓸 수 없다는 의사가 사인불명을 선언하자 시신은 결국 법에 의거해 부검을 하게 됐다. 

그런데 부검에서 새로운 사실들이 드러난다. 노인의 발목에 결박흔이 드러난 것. 노인은 넥타이로 발목이 묶인 채 방에 감금되어 있었다. 텅 비어 있는 위는 노인이 제대로 먹지도 못하고 생활해왔다는 걸 말해줬다. 노인학대가 의심되는 상황이었다. 결국 노인과 함께 살았던 차남이 구속되었고 그가 전자화폐 투자로 모든 돈을 날려버렸다는 사실이 나왔지만 그는 범인이 아니었다. 평소 치매를 앓고 있어 묶어 둘 수밖에 없었다는 것.

차남은 결국 무혐의로 풀려났지만, 그 집에서 발견한 쥐와 고인에게서 동시에 복어독이 발견되면서 횟집을 운영하는 며느리가 용의선상에 올랐다. 며느리는 사업 실패로 시아버지에게 집을 팔아 돈을 융통해달라 했지만 이를 거부당하자 복어독을 좋은 약이라며 갖다 주었던 것. 하지만 복어독 역시 사인은 아니었다. 치사량이 아니었던 것이다. 

MBC 월화드라마 <검법남녀>가 다룬 70대 노인의 사망사건은 이 드라마가 우리네 현실을 다루는 독특한 방식이 담겨져 있다. 법의학을 소재로 삼고 있는 이 드라마는 매 회 사체 부검이 등장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그 사체들이 몸에 남긴 흔적으로 전하는 말들이 아프고도 씁쓸하게 다가온다. 사체를 해부하고 있지만 사실을 우리 사회를 해부하고 있다는 느낌이 들 정도다.

아버지의 죽음 앞에서 주판알만 튕기는 자식들. 고인에 대한 애도가 아닌 보험금에 반색하는 자식들. 어떻게든 조의금을 더 받아낼까를 고민하고, 받아낸 조의금을 서로 자기 거라고 가져가려 싸우는 자식들. 만일 그 아버지가 자식들의 이런 모습을 안다면 얼마나 큰 상처일까. 그것은 어쩌면 죽음보다도 더 큰 아픔이 아닐까.

‘죽은 자는 말이 없다’고 하지만 법의학에서 이 말은 틀렸다. 법의학은 죽은 자의 말을 듣는 학문이다. 그래서 사체 해부라는 어찌 보면 눈으로 보기 힘든 과정들이 실로 엄숙하고 경건하게 다가온다. 치매를 앓고 있었지만 발목이 묶인 채 방 안에서 넋을 놓고 앉아있는 이 아버지가 느꼈을 회한의 목소리를 법의학은 듣는다. 혹여 억울하게 죽음을 맞이했을 수 있는 망자들의 목소리를 듣는 것이 바로 법의학이 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검법남녀>는 그래서 긴박한 사건들과 드러나는 증거에 따라 반전에 반전을 더하는 이야기가 그려지지만, 그 밑바탕에 한 사람의 죽음이 우리 사회에서 얼마만큼의 무게를 갖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을 깔아두고 있다. 남편의 학대에 못 이겨 스스로 죽음을 선택한 여인과, 1등만을 외치는 성적 사회에 짓눌려 신음하던 학생, 그리고 방에 감금되다시피 있으면서도 자식들 사진을 옆에 두고 있던 노인이 망자가 되어 그 사연을 전한다. 아버지의 죽음 앞에서도 돈 계산만 하는 자식들의 이야기에 씁쓸함을 넘어 분노하게 되는 건 그 안에 우리네 현실이 고스란히 담겨있어서다.(사진:M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