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조승우도 이동욱도 변하는 '라이프'의 흥미진진한 인간관

728x90

‘라이프’, 선악 아닌 영향과 변화로 보는 인간탐구

JTBC 월화드라마 <라이프>에서 구승효(조승우) 사장에게 이노을(원진아)은 수수께끼 같은 이야기를 던져 놓는다. 스위스의 어느 마을에 핵폐기장 건설 투표를 했는데 처음에는 60%가 찬성했다는 것. 그런데 그 마을에 핵폐기장을 건설하면 돈을 주겠다는 정부 방침에 재투표를 했다는 것이다. 구승효 사장은 그 재투표의 결과가 궁금하다. 

결과는 찬성 25%. 어째서 돈을 준다는데도 찬성률이 뚝 떨어졌을까를 궁금해하는 구승효에게 이노을은 문득 ‘중독 같은 성과급제’의 이야기를 꺼내놓는다. “성과급제는 마약 같아요. 중독성이 있어요. 인센티브가 동기부여가 되는 직종들도 물론 있죠. 근데 어떤 일에선 그 업종 사람들을 파괴시켜요. 자발적으로 나서야 하는 일들, 책임의식, 보람이 중요한 일들, 우리 일요. 스위스 마을 사람들은 그걸 따졌던 거예요. 맞아. 어딘가 짓긴 지어야 돼. 우리가 책임지자. 그게 옳은 일이야. 근데 거기 돈이 들어와 버리니까 생각하는 회로 자체가 바뀌어버렸어요. 뭐가 옳은 거지에서 뭐가 나한테 이득이지? 이걸로. 일단 그렇게 돼버리면 왜 그 위험한 걸 내 앞마당에? 이게 결론이죠. 구 사장님. 저 많이 봤어요. 그 이전으로 못 돌아가는 사람들. 움직일 때마다 돈이 생기는 성과급제에 중독돼서, 책임지자 이게 옳아 그게 아예 없어져 버린 사람들. 전 구승효 사장님이 몸도 마음도 건강한 사람들과 행복하게 일하셨으면 좋겠어요.”

이노을의 이 이야기는 구승효의 마음을 살짝 움직인다. 병원도 일반 기업과 다를 바 없다며 경영이라는 잣대로 판단하고 이익을 내는데 집중해온 구승효. 그는 문득 이노을이 자신을 데리고 갔던 소아병동의 아기들을 떠올린다. 인큐베이터 안에서 손을 꼼지락대던 그 작은 생명들. 그 생명들을 ‘서비스 산업’이라 치부하며 수익을 내자고 외치는 화정그룹 조남형(정문성) 회장의 목소리가 오버랩 된다. 구승효는 변화하고 있다. 

구승효의 변화를 보여주는 건 그가 데려온 유기견 저녁이의 이야기에서도 발견된다. 동물병원이 비보험이라 수익성이 높다는 판단 하에 유기견을 위한 봉사활동에 의도적으로 나갔던 구승효지만, 거기서 만난 유기견을 외면하지 못하고 집으로 데려와 ‘저녁이’라고 이름 붙였던 그였다. 노을과 저녁은 그렇게 냉철하기만 할 것 같던 구승효 사장의 마음을 움직인다. 

흥미로운 건 구승효와는 정반대의 위치에 서 있는 예진우(이동욱)의 변화다. 예진우는 눈앞의 생명을 외면하지 못하는 차원을 넘어서 집착까지 보이고 있는 인물이다. 그는 환자의 편에 선 진정한 의사처럼 보이지만, 그 병적인 집착은 평범한 선을 넘어서고 있다. 그의 눈앞에 자꾸만 나타나는 동생 예선우(이규형)와 죽은 이보훈(천호진) 원장의 환영은 그의 비정상적인 집착을 잘 말해준다. 

그래서 오로지 환자만을 쳐다보며 살아가던 그가, 구승효의 등장과 이보훈 원장의 죽음을 계기로 병원의 시스템에 적극적으로 관여하기 시작한다. 그가 주경문(유재명)에게 원장 선거에 나가달라고 말하는 장면은 그에게도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걸 말해주는 대목이다. 원장 선거에서 주경문 대신 오세화(문소리)가 당선되지만, 그런 변화는 예진우나 주경문 모두에게도 의미 있는 일이 아닐 수 없다. 

구승효와 예진우의 변화가 주목되는 건 <라이프>라는 드라마가 보고 있는 인간관이 특별하게 다가오기 때문이다. <라이프>는 인간을 선악의 개념으로 바라보지 않고 서로 다른 입장들이 부딪치며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고 또 변화하는 그런 인간관을 드러낸다. 그리고 이것은 <라이프>가 애초에 기획의도에서 예고했던 것처럼, 병원이라는 공간과 그 곳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을 우리 몸에서 벌어지는 항원-항체 반응처럼 담겠다는 그 이야기 구조에 합당한 인간관이 아닐 수 없다. 

과연 이 서로가 서로에게 주고받는 변화들은 어떤 결과로 이어질까. 하나의 기업화되어가고 있는 병원이기에 경영이 필요해진 게 현실이지만, 책임과 보람 같은 것들이 중요한 이 특수한 공간이기에 그 변화에도 어떤 합의점이 있어야 한다는 게 <라이프>가 궁극적으로 보여주고 싶은 것이 아닐까.(사진:JT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