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백일의 낭군님', '아쓰남' 도경수 점점 '아멋남' 되어간다는 건

728x90

‘백일의 낭군님’, 아쓰남 된 왕세자 도경수, 통쾌 훈훈한 까닭

왕세자가 이른바 ‘아쓰남(아주 쓰잘데기 없는 남정네)’이 된다? tvN 월화드라마 <백일의 낭군님>에서 왕세자 이율(도경수)은 권력의 실세 김차언(조성하)의 사주에 의해 공격받고 기억을 잃은 채, 어쩌다 원득이라는 이름으로 홍심(남지현)의 낭군이 된다. 그런데 궁에서는 “불편한가?”라는 말 한 마디에 모든 게 해결되던 이 왕세자의 삶이 평범한 서민이 되면서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삶이 되어버린다. 

몸을 쓰는 노동이라는 걸 해본 적이 없어 물동 하나를 들지 못하고, 입맛에 안 맞는다며 먹지를 않는 통에 영양실조로 쓰러진다. 혼례를 치르지 않으면 박선도(안석환)의 첩이 될 위기에 몰려 어쩔 수 없이 원득이와 부부가 되지만, 이게 완전히 ‘돈 잡아먹는 귀신’이다. 낭군이라고는 하지만 일이라도 시켜 빚이나 갚아보려 하던 홍심의 계획은 엇나간다. 하는 일마다 사고니 ‘아쓰남’이 될 수밖에.

혼절해 쓰러진 원득을 그래도 살려보겠다고 산 속 깊이 들어가 갖가지 약초를 캐오고, 효험 좋다는 토룡탕을 끓여 먹여 겨우 기력을 회복시켜놓았더니, 자신이 먹은 게 지렁이라는 걸 알고는 토악질을 해댄다. 본명은 윤이서이고 본래는 양가집 규수였지만 김차언의 반역으로 멸문지화를 겪은 그는 그 상처를 가슴에 안은 채 연씨(정해균)의 양녀가 되어 오빠가 살아있을 거라는 희망을 붙든 채 하루하루를 버텨가며 살아간다. 살기 위해 원득이와 혼례까지 치렀지만 쓰잘데기 없는 이 남정네를 보며 참았던 눈물이 치솟아 오른다. 

<백일의 낭군님>은 이처럼 한 때의 왕세자였던 인물과 한 때의 양가집 규수였던 여인이 가난한 서민으로 다시 만나게 되며 벌어지는 이야기들을 다루고 있다. 물론 궁 안에서는 호시탐탐 왕세자를 노리는 김차언 같은 권력가 그리고 자신의 아들 서원대군(지민혁)을 왕세자가 없는 사이 세자로 앉히려는 중전 박씨(오연아)의 계략이 국정을 농단하고 있지만 왕세자의 아버지인 왕(조한철)은 그다지 힘이 없다. 

기억까지 잃고 아쓰남이 되어버린 원득을 다시 왕세자의 자리로 올리고 홍심 역시 자신의 이름인 윤이서로 돌아갈 수 있게 되기 위해서는 이 반역의 무리들이 한 짓들이 밝혀져야만 한다. 그 키를 쥐고 조금씩 수사를 해나가는 한성부 참군 정제윤(김선호)의 활약이 기대되는 대목이다. 

하지만 <백일의 낭군님>에서 의외의 재미를 주는 부분은 가난한 서민의 삶을 살게 되는 왕세자의 쓸모없는 삶이다. 그것은 웃음을 주지만 또한 노동 없이 살아가던 가진 자가 없는 자의 삶을 직접 경험하고 얻게 되는 깨달음 같은 것이 담겨진다. 그것은 힘든 삶이지만 또한 나름대로의 행복감을 주는 삶이기도 하다. 원득이 홍심에게 점점 마음이 움직이고, 아쓰남에서 ‘아멋남(아주 멋진 남정네)’으로 변신해가는 과정이 통쾌하면서도 흐뭇하게 다가오는 건 그래서다. 

몸 쓰는 일에는 젬병이던 원득이 홍심을 희롱하는 박선도 영감 앞에 나아가 그 유치한 시를 비웃어 주는 대목은 그의 진가가 시를 쓰고 글을 쓰는 데 있다는 걸 확인시켜준다. 난잡한 소설의 필사를 하며 생계 벌이에 도움을 주는 원득이는 어쩌면 이런 경험을 통해 그저 입으로만 얘기했던 ‘백성’이니 ‘민초’니 하는 그 존재들의 진정한 삶을 이해할 수도 있을 게다. 그런 짓을 왜 하느냐고 꾸짖던 그가 그것이 살기 위해 하는 생업이라는 것에서 귀천 없는 노동의 소중함을 깨닫게 될 지도.

<백일의 낭군님>은 왕세자와 양가집 규수였던 인물들의 이야기지만, 그들의 서민살이가 주는 공감대 같은 걸 담아내고 있다. 이것은 어쩌면 지금의 우리네 서민들이 갖는 정서가 아닐까. 저들은 잘 모르는 하루하루 치열하게 살아가는 민초들의 삶이 가진 게 많아 더 많은 걸 가지려 갖은 나쁜 짓들을 벌이는 이들보다 얼마나 아름다울 수 있는가 하는 것. <백일의 낭군님>을 보며 달달해지다가도 때론 통쾌하고 훈훈해지는 이유다.(사진:t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