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쓸신잡3’, 소피스트도 울고 갈 이야기꾼 유시민과 김영하
“정치적 삶(공동체의 삶)은 오직 말과 행동으로 이뤄진다. 말을 통해서 공공의 삶에 개입할 수 있다.” tvN <알쓸신잡3>에서 앞서나가던 그리스가 왜 기독교 문화가 들어오면서 무너지기 시작했는가를 묻는 질문에 김영하는 한나 아렌트의 그 말을 꺼내놓는다. 기독교적 세계관은 말과 정치의 참여를 죄의 근원으로 보고 ‘관조’를 중시하게 만들었다는 것. 공적인 삶이 아니라 사적인 삶으로서 기도하고 관조하는 삶을 강조함으로써 결국은 권력자들에게 유리한 시스템이 되었다는 것이다.
그 말을 듣던 유시민은 당시 공공교육이 전혀 존재하지 않던 그리스에서 사설교육을 담당하던 소피스트들이 부당하게 폄하된 면이 있다고 했다. 말하고 의사를 표현하는 것이 중요했던 당대 그리스의 민주주의 태동을 소피스트들이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유시민은 “내가 그 때 태어났으면 나도 일타강사를 했을지 모른다.”는 농담을 던졌다.
사실 그리스가 그토록 서구 문명의 발상지라고 말할 만큼 융성한 문화를 꽃피웠다가 고작 100년이 지난 후 스러지게 된 그 과정을 단 몇 마디의 말로 설명하긴 어렵다. 하지만 김영하나 유시민과 김영하의 이야기가 던지는 소피스트가 ‘민주주의’와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가를 들여다보면 그리스가 강력한 힘을 발휘할 수 있었던 그 이유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것도 ‘일타강사’ 같은 표현으로 지금의 시각으로 풀어 이야기해주니 귀에 쏙쏙 박힐밖에.
소피스트의 이야기에서 자연스럽게 넘어가는 건 소크라테스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다. 소크라테스의 죽음을 그리스가 몰락하게 되는 징후로서 파악하고 있는 유시민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악법도 법이다”라는 말이 얼마나 천박한 표현인가를 강변한다. 자신은 잘못을 저지르지 않았지만 독배를 받아들였던 소크라테스의 그 유명한 죽음의 일화는 ‘잘못된 법도 법이니 지키라’는 의미가 아니라, “폴리스가 절차에 따라 결정한 일을 내가 억울하다는 이유로 피하는 것이 옳은가? 그렇게 하면 폴리스가 존재할 수 있는가?”라는 철학적 질문을 담고 있다는 것이었다.
죽음에 대해 굉장한 비극적 정조를 상상하지만 유시민도 김영하도 소크라테스는 죽음 앞에 의연했고 또 어떤 면에서는 죽음을 내려다보고 있는 듯한 태도도 보였다고 했다. 독배를 마신 소크라테스가 우는 제자들에게 “왜 우느냐”고 물으며 “내가 태어난 순간부터 사형선고를 받았다는 것을 모르시오?”라고 농담을 던질 정도였다는 것. 그가 죽기 전에 남긴 “아스클레오피스에게 닭 한 마리를 빚졌네.”라는 말은 의학의 신인 아스클레오피스를 거론하며, 육체가 주는 병에서 벗어나는 것을 죽음으로 바라봤던 그의 생각이 담긴 말이었다. 유시민은 그래서 소크라테스는 “죽음을 산 것”이고 따라서 “죽음을 받아들이는 행위가 죽는 행위가 아니고 사는 행위였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유시민이 소크라테스 덕후를 자처하며 내놓은 이야기들이 그리스의 흥망성쇠를 이해할 수 있는 쉽지만 깊이 있는 이야기를 담고 있었다면, 김영하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를 통해 그리스 민주주의가 어떻게 가능했던가를 흥미롭게 추론해냈다. 그는 <일리아스>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아킬레우스가 자신의 친구인 파트로클로스를 죽인 헥토르를 잔인하게 죽이고 그리스가 승리하는 이야기가 아니라고 했다. 헥토르의 아버지 트로이의 프리아모스왕이 아킬레우스를 찾아와 손에 입을 맞추며 아들의 장례를 치르게 해달라고 화해를 신청했고, 그 모습에서 아킬레우스 역시 자신의 아버지를 생각하며 공감의 눈물을 흘렸다는 것. 김영하는 그래서 <일리아스>가 그리스의 승리가 아니라 프리아모스왕이 보여준 ‘인간성’의 승리를 보여주는 것이고, 이러한 “적조차 포용하는 자세”가 그리스 민주주의를 가능하게 했을 거라고 말했다.
사실 지식을 갖고 있는 것과 그것을 설득력 있게 이야기해주는 건 다른 문제다. 제아무리 많은 지식을 갖고 있어도 어떻게 전달하느냐에 따라 달리 들린다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보면 <알쓸신잡3>에서 유독 유시민과 김영하의 존재감이 돋보이는 건 같은 지식이라도 자신들만의 생각으로 한 번 곱씹어져 나온 것이라, 쉬우면서도 깊이 있는 통찰이 담겨져 있어서다. 당대의 일타강사 역할을 했을 소피스트들도 울고 갈 이야기꾼의 면모가 이들에게는 느껴진다.(사진:tvN)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지에서', "망했다"고 인정하는 순간 드러나는 이연복 진가 (0) | 2018.10.09 |
---|---|
'알쓸3' 유시민도 만만찮다고 느낀 이탈리아, 그리고 우리 현실 (0) | 2018.10.07 |
'골목' 청년들이 잘 되길 바라는 시장상인들 진심 잊지 않기를 (0) | 2018.09.28 |
'이타카' 하현우·윤도현, 예능에서 모처럼 만난 묵직한 진정성 (0) | 2018.09.25 |
'현지에서', 이연복 더 돋보이게 만드는 김강우·서은수·허경환 (0) | 2018.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