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쓸신잡3’, 우리 시대에 맞는 논개 해석이 필요한 까닭
“우리가 불편함을 느끼는 것은 논개라는 한 인간의 선택에 대해서 우리가 들어온 이야기가 국가주의 서사라는 거예요. 국가라는 어떤 권위 있는 인간조직을 위해서 한 여인이 국가를 위해서 뭘 한 것과 같이 스토리를 만들어낸 이 서사가 왠지 불편한 거예요.”
진주에서 펼쳐진 tvN 예능 <알쓸신잡3>에서는 그 지역에서 빼놓을 수 없는 논개 이야기가 화제로 올랐다. 우리에게는 왜장을 껴안고 강물로 뛰어들었다는 기생으로 알려진 이야기. 그래서 진주성의 촉석루에서 보이는 진주교의 다리 밑으로는 논개가 왜장을 껴안을 떼 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 끼었다는 황동가락지 모양이 조형물로 들어가 있었다.
한 때는 이 논개의 이야기가 마치 국민이라면 누구나 숭앙해야할 애국적 서사로 읽혔던 적이 있었다. 사실 남아있는 사료도 거의 없어 일종의 해석에 의해 이야기가 더해진 논개 서사는 조선시대에는 충효를 하나의 근간으로 보던 유교적 서사로 이야기되었고, 이승만 정권 때부터는 국가주의 서사가 더해졌다. 하지만 이러한 국가주의 서사는 이제 지나간 유물로 여겨진 지 오래다. 그러니 하나의 해석일 뿐이지만 마치 사실 자체인 것으로 받아들이지는 논개의 국가주의 서사가 불편하게 다가오는 건 당연한 일이다.
“여성이 해야 될 일은 국가를 위해서 하루 종일 밥도 하고 그러면서도 국가를 위해 애국하고 죽을 수 있는 이런 사람 되라는 식의 어떤 국가주의가 이 사건을 다루는 거예요. 저는 언제나 생각하지만 누군가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건에 대해서는 진실을 외부에서 알기는 거의 힘들다고 생각하는 사람이에요. 아주 복합한 감정상태였을 거고 그런 것을 이제 우리가 와서 지금 21세기 2018년인데 지금 우리가 이 논개를 놓고 다시 애국적 시각, 국가주의 시각으로 볼 것인가? 그건 아닌 거 같아요. 그 진실을 추구하는데 새로운 사실이 없다면 이제 우리 시대의 잣대로 한 인간으로서 그렇게 보는 게 우리의 시각일 수 있을 것 같아요. 이건 사실 끔찍한 사건이거든요. 이건 아름다운 일도 아니고 멋있는 일도 아니고 한 개인으로 보면 정말 끔찍한 일이에요. 그걸 이제 국가를 걷어내고 봐야할 때가 되지 않았나.”
김상욱 박사는 이 사건을 국가주의가 아닌 한 개인에게 맞춰져 다시금 들여다봐야하지 않겠느냐고 역설했다. 거기에 대해 김영하 작가 역시 똑같이 공감했다. 논개의 이야기는 “국가를 위해서 개인을 희생해야 되는 걸 또 국가를 위해서 아낌없이 몸을 바쳐야 되는 걸 칭송하는 이야기”라는 것. 김영하는 이제 다르게 해석해야 한다며, 과거 <심청전>은 효녀 이야기로 그려졌을지 모르지만 지금으로 보면 ‘인신매매’ 풍습이라고 지적했다.
사실 논개의 이야기가 현재의 우리들을 불편하게 만드는 지점은 두 가지다. 하나는 국가주의 서사라는 점이고 또 하나는 여성을 바라보는 비뚤어진 시각이 들어있다는 점이다. 그런데 이 두 가지가 다른 관점이 아니다. 그것은 국가에는 충을 집안에서는 효를 하나의 동일한 근간으로 보는 유교적 사고관에 기반한 관점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후대에 이르러 가부장적 사고관으로 굳어지게 된 이유가 되었다. 국가를 위해 개인이 희생하는 그 사고관은 가족에서는 여성과 아이 같은 약자가 남성과 어른을 위해 희생하는 서사를 정당화했다.
유시민은 아이에게 <무덤 속의 산삼>이라는 동화책을 읽어주다 반성했던 이야기를 해주었다. 딸이 갖은 고생을 해서 산삼을 구해와 아픈 아빠를 구해낸다는 이야기였는데, 그걸 읽어주고 아이에게 “너도 아빠가 아프면 그렇게 해줄 수 있냐”고 물었더니 아이가 너무나 힘들어했다는 것이다. 유시민은 결국 반성하며 “그래 너는 아빠가 아파도 그렇게 할 필요 없어. 아빠가 병원 가면 돼”라고 말했다고 한다.
농담처럼 들리지만 이 이야기는 누군가에게 주입된 ‘교훈’이 그걸 그대로 당연히 받아들이게 된 이들에게는 얼마나 큰 고통을 줄 수 있는가를 말해주는 대목이었다. 김영하는 조선시대 사람들의 삶을 불행하게 만들었던 유교적 세계관의 끔찍함을 ‘삼강오륜 행실도’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며느리가 시아버지가 아프면 허벅지살을 베어서 먹이고, 아픈 아버지를 위해 아이를 삶아 먹였다는 식의 “호러가 따로 없는”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는 것.
유시민이 “불편하다”고 지목한 논개의 국가주의 서사는 그래서 우리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남긴다. 그것은 우리가 부지불식간에 들어온 많은 이야기들이 사실은 어떤 시대착오적 관점들을 여전히 담고 있음으로써 그 자체로 우리를 억압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똑같이 전해져 내려오는 고전의 이야기라도 현재 우리의 시각에 맞게 재해석하고 관점을 새롭게 하는 노력이 얼마나 중요한 일인가를 <알쓸신잡3>는 논개를 두고 벌어진 지식수다를 통해 들려주었다.(사진:tvN)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서유기6', 아무 생각 없이 웃고 싶을 때 이만한 게 없다 (0) | 2018.11.06 |
---|---|
‘전참시’ 박성광·임송 매니저를 통해 본 경계 존중 문화 (0) | 2018.11.05 |
'골목' 백종원이 말하는 기본·초심, 결국 거기에 답이 있었다 (0) | 2018.11.02 |
"너무 맛없어".. '냉부해' 초심 찾아준 기안84의 충격 냉장고 (0) | 2018.10.31 |
김주혁은 '1박2일' 같은 짧지만 아름다운 삶을 남겼다 (0) | 2018.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