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눈이 부시게'와 극명히 대비된 '하나뿐인 내편'의 노년과 질환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눈이 부시게'와 극명히 대비된 '하나뿐인 내편'의 노년과 질환

D.H.Jung 2019. 3. 19. 10:43
728x90

이 시대 가족드라마들이 배워야할 ‘눈이 부시게’

KBS 주말드라마 <하나뿐인 내편>이 종영했다. 이 드라마는 최고 시청률 49.4%(닐슨 코리아)를 거둔 드라마지만 이 드라마는 전형적인 ‘욕하면서 보는 드라마’였다. 뻔한 신파와 신데렐라 이야기에, 시대착오적인 효녀, 착한 여자 콤플렉스에 ‘핏줄 의식’까지 철철 흐르는 드라마였으니 어찌 보면 ‘욕하면서 보기’ 때문에 생겨난 그만한 시청률도 이해될만 했다. 이런 정도의 자극적이고 퇴행적인 이야기들을 개연성도 별로 없이 마구잡이로 붙여놓는다면(그것도 주말극의 자리에) 그 어떤 드라마가 주목받지 못 넘길까.

이미 종영한 드라마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토를 다는 일이 어딘지 쓸데없는 일처럼 보이지만, 그래도 이 시점에서 생각해봐야 하는 건 과연 이런 식의 가족드라마를 시청률이 나온다는 이유로 계속 제작해도 될까 싶어서다. 이 드라마가 퇴행적이라는 걸 드러내는 증거들은 넘쳐난다. 대표적으로 도란(유이)이라는 여성 캐릭터가 가진 수동성과 만나는 남자는 모두 재벌3세에다 오로지 아버지를 위해 뭐든 희생하는 현대판 ‘심청’ 같은 면이 그렇다. 종영에 즈음해서까지 태풍(송원석)을 재벌3세로 굳이 그려 도란과 대륙(이장우)의 삼각관계로 잇는 건 이 드라마가 얼마나 철저히 과거의 틀에 박힌 드라마방식에 충실하고 있는가를 잘 보여준다.

어차피 가족이 해체된 시대에 가족드라마이고, 어르신들을 위한 가족판타지이니 어쩔 수 없는 것이 아니냐고 말할 수 있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같은 노년과 질환을 다뤄도 완전히 새롭고 지금의 감각과 정서에 맞게 다룰 수 있다. 그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이 현재 방영되고 있는 JTBC 월화드라마 <눈이 부시게>다.

<눈이 부시게>는 어르신들이 여럿 등장해 저마다의 노년의 삶을 담고 있지만 <하나뿐인 내편>과는 너무나 다른 격을 보여준다. 단적으로 <하나뿐인 내편>에서 박금병(정재순)이 앓는 기억장애 코드는 거의 매주 “첩년”을 외치며 며느리의 머리를 쥐어뜯는 방식으로 활용됐다. 그리고 도란과 대륙의 관계를 억지로 이어붙이는 코드이기도 했다. 기억장애로 도란을 찾는 박금병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다시 두 사람의 관계가 이어지는 그런 방식의 무한 반복. 이것은 어르신들이 가질 수도 있는 ‘기억장애’라는 질환을 너무 가볍게 다루는 일이 아닐 수 없다.

반면 <눈이 부시게>는 알츠하이머를 타임리프라는 장르적 코드로 재해석하는 시도를 보여줬다. 시간을 되돌리는 시계를 사용해 갑자기 늙어버렸다 생각했던 혜자(김혜자, 한지민)였지만 알고 보면 그가 알츠하이머를 앓으면서 가진 기억의 변조였던 것. 중요한 건 이 혜자가 가졌던 변조된 기억 속에서의 어르신들과 청춘들의 모습이다. 그 속에서 어르신들은 나이 들어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존재들이 아니라, 여전히 빛나는 능력을 가진 존재들이었고, 몸은 늙었어도 마음은 여전히 청춘과 소통하는 그런 존재였다. 같은 노년과 질환을 다뤄도 이처럼 다를 수 있다는 걸 <눈이 부시게>는 증명해 보여준다.

게다가 가족과 사랑을 다루는 방식 또한 <눈이 부시게>는 <하나뿐인 내편>과 달랐다. 혜자의 기억장애 속 이야기였지만, 갑자기 노화된 혜자를 딸로서 끌어안는 엄마와 아빠 그리고 오빠의 툭탁대고 무뚝뚝하면서도 그 어느 관계보다 끈끈한 가족애가 그려졌고, 혜자와 젊은 준하(남주혁)의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이야기도 먹먹한 감동을 주었다. 그 흔한 재벌, 신데렐라 없이, 평범한 서민들의 이야기만으로도 충분히 새로운 이 시대의 가족드라마와 멜로가 가능했다는 것이다. 

<하나뿐인 내편> 종영에 즈음해 KBS 주말극에 요구하고 싶은 건, 이 같은 구태의연한 방식 말고도 어르신들은 물론이고 지금 세대까지 공감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가족드라마, 멜로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무려 50회가 넘는 시간동안 방영되는 KBS 주말극이 좀 더 새로운 방식을 고민하고, 나아가 과거적 핏줄에 절은 가족으로 퇴행하기보다는 지금 현재에도 공감 받을 수 있는 새로운 가족의 이야기를 전하길 바란다. 그저 시청률만 얻고는 성공했다 자축할 일이 아니라.(사진:K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