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틀 드러머 걸', 영화와 드라마의 경계 허문 박찬욱의 걸작
이제 드라마와 영화의 경계는 애매모호해졌다. 넷플릭스나 왓차플레이 같은 OTT(Over The Top)는 이런 경계를 정서적으로 먼저 허물어버린다. 같은 화면에 영화와 드라마가 나란히 소개되고 드라마라도 전편을 몰아서 보는 경험은 영화 관람이 갖는 ‘완결성’을 드라마도 똑같이 느끼게 해준다. 이제 영화도 세 시간이 넘을 정도로 길어지고 있고, 어떤 영화는 몇 편에 걸쳐 나뉘어 방영되기도 한다. 영화는 드라마처럼 서사가 길어지고, 드라마는 영화처럼 완결성을 가지려 한다. 물론 드라마라고 해서 서사가 느슨하거나 영상연출이 허술하던 시대 역시 지났다. 이러니 그 경계 구분은 이제 점점 희미해질 수밖에 없다.
박찬욱 감독의 드라마 <리틀 드러머 걸>은 이러한 변화를 고스란히 느낄 수 있는 작품이다. 채널A에서 방영되고 있지만 6부작 <리틀 드러머 걸>은 왓차플레이에 이미 전편이 올라와 있다. 몰아보기를 원하는 시청자라면 언제든 가입 후 한 번에 이 드라마를 시청할 수 있다. 이 작품이 영화와 드라마의 경계를 지우고 있다는 건, 드라마라고는 하지만 한 편 한 편이 박찬욱 감독 특유의 영화적인 밀도와 미장센을 갖고 있고, 이야기도 일관된 흐름 안에서 마지막까지 완결되게 흘러가고 있어 긴 영화를 보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특히 <리틀 드러머 걸>이 흥미로운 건 스파이 장르면서도, 영화나 드라마 같은 작품 연출과 연기의 세계에 대한 탐구가 담겨 있는데다, 나아가 그것이 총체적으로 보여주는 우리네 삶에 대한 질문이 담겨져 있어서다. 그래서 이 작품은 그저 스파이 장르를 즐기며 봐도 충분히 재미있지만 한 번 더 인물들의 복잡 미묘한 심리들을 들여다보면서 보게 되면 또 다른 지적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스파이 소설의 대가 존 르 카레의 원작을 드라마화한 이 작품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분쟁으로 세계 곳곳에서 테러가 벌어지던 1979년 유럽을 배경으로 한다. 테러리스트들의 폭탄테러에 대응하기 위해 이스라엘 모사드 고위요원인 마틴 쿠르츠(마이클 섀넌)가 투입된다. 그런데 이 마틴은 이것이 전면전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며, 좀 더 ‘예술적인’ 섬세한 작전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테러조직 깊숙이 스파이를 투입시켜 그 핵심 조직원들을 제거하려는 계획을 세운다. 팔레스타인 테러리스트의 애인을 가장한 스파이를 조직에 들어가게 하는 것.
흥미로운 건 이렇게 투입될 스파이가 진짜 요원이 아니라 무명 배우 찰리(플로렌스 퓨)라는 점이다. 처음에는 작품의 연기 오디션을 본 줄 알았지만, 차츰 그것이 이 작전의 캐스팅 과정이었다는 걸 알게 되고 갈등하지만 차츰 배우로서의 본능이 발동하기 시작한다. 찰리가 역할에 몰입할 수 있도록 정예 요원인 가디 베커(알렉산더 스카스가드)가 테러리스트의 대역을 해주면서 찰리와 가디의 사이는 애매해진다. 스파이 역할을 해내기 위한 연기지만, 그 연기에 몰입할수록 찰리의 마음은 진짜로 가디를 향하게 된다.
즉 스파이 활동을 위해 하는 연기가 실제와 마찰음을 빚어내며 벌어지는 복잡미묘한 심리변화는 이 드라마를 흥미진진하게 만들고, 그것은 마치 작품 속에서 ‘연기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찾아가는 과정처럼 그려진다. 연기는 흉내 내는 것이 아니라 진짜 그 사람이 되는 것이고, 어느 순간 찰리는 위기의 순간에 테러리스트의 애인이 되어있는 자신을 끄집어낸다. 가디에게 마음이 끌리는 현실의 사랑과 연기 속에서 테러리스트의 애인으로서 경험하는 일들은 그래서 부딪침을 만든다.
재미있는 건 이 모든 작전을 설계한 마틴이 마치 영화감독처럼 행동하는 순간들이 보인다는 점이다. 그 역시 작전 속에서 영화감독을 연기하고 있는 듯한 장면들은, 연기의 가상과 실제 현실을 왔다갔다하는 찰리와, 임무로서 연기를 하는 것이지만 그러면서 차츰 진짜로 찰리를 사랑하게 되는 가디와 중첩되면서 과연 연기란 무엇이고 진짜 삶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만들어낸다. 어찌 보면 우리의 삶 자체가 끊임없는 새로운 연기와 몰입의 연속일 수 있다는 것.
사실 <리틀 드러머 걸>은 기존 국내 드라마에 익숙한 시청자들에게는 ‘반칙’ 같은 드라마가 아닐 수 없다. 이렇게 잘 짜인 스토리에 매력적인 캐릭터 그리고 긴 여운이 남는 메시지와 생각거리까지 채워 넣은 드라마라니. 보고 나면 여타의 다른 드라마들이 너무 시시하게까지 느껴지는 그런 드라마를 만들다니. 영화와 드라마 사이의 해묵은 경계가 조만간 해체될 거라는 징후를 이 반칙 같은 드라마는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사진:채널A)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치'가 이인좌의 난을 통해 우리에게 전하고 싶었던 것들 (0) | 2019.04.26 |
---|---|
'자백'의 진실에 대한 갈증, 급이 다르다 (0) | 2019.04.23 |
국방비리와 비선실세...‘자백’ 복잡하지만 익숙한 까닭 (0) | 2019.04.17 |
‘와이키키2’, 여지없이 빵빵 터지는 웃음 뒤 남는 청춘들의 쓸쓸함 (0) | 2019.04.17 |
패러디 빵빵 터트린 '열혈사제', 그 웃음폭탄에 담긴 진정성 (0) | 2019.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