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같이 펀딩' 유준상 하염없는 눈물, 시청자도 펑펑 울었다

728x90

‘같이 펀딩’, 유준상과 데프콘의 임정로드가 되새긴 윤봉길

 

홍커우 공원 안에 있는 윤봉길 기념관을 찾아 헌화하고 자신의 숙원이기도 했던 태극기함에서 태극기를 꺼내 게양한 유준상은 함께 간 데프콘에게 잠시 나가 있자고 했다. 윤봉길 의사에게 오롯이 태극기와 함께 하는 시간을 주고픈 마음이었을 게다. 하지만 밖으로 나온 유준상은 그 날 하루 동안 애써 꾹꾹 눌러왔던 눈물을 참을 수 없었다. 공원 안을 괜스레 걸어 다니며 유준상은 아이처럼 울었다. 그리고 그 눈물에 시청자들도 울었다. 그 날 하루 유준상과 데프콘이 걸었던 과거 윤봉길 의사의 그 길이 생생히 떠올랐기 때문이었다.

 

MBC 예능 <같이 펀딩>이 유준상의 태극기함 프로젝트의 종착지로 선택한 건 중국 상하이 윤봉길 의사가 걸어갔던 그 마지막 길 이른바 ‘임정로드’였다. 사실 시청자들도 윤봉길 의사의 도시락 폭탄에 대한 이야기나 시계에 얽힌 일화는 어느 정도 알고 있었을 게다. 하지만 사전에 최태성 강사를 통해 듣게 된 1932년 4월 29일 윤봉길 의사의 의거 직전 그 마지막 발자취를 따라 걷는 길은 당시 소회가 어떠했을까를 떠올리게 만들었다.

 

겨우 스물다섯의 나이에 기꺼이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치기로 마음먹은 청년의 하루. 또 그걸 옆에서 바라보는 김구 선생의 심경 또한 그 길 위에서 새록새록 다시금 피어났다. 처음 김구 선생과 윤봉길 의사가 만나 의거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던 사해다관은 주상복합건물이 들어서 그 흔적조차 찾아보기 어려웠고, 그 유명한 세 장의 사진을 찍었던 안공근 선생의 집이자 한인 애국단의 본거지였던 곳도 도로가 나면서 허물어져 사라져버렸다.

 

있는 유적지를 찾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현장이지만 사라진 유적지의 터를 찾아간다는 사실은 나라를 잃고 해외에 임시정부를 세워 버텨내왔던 당시의 우리네 비극적 상황을 상기시키기에 충분했다. 만일 임시정부가 외국이 아닌 우리 땅에 있었다면 그렇게 허망하게 유적지가 사라진다는 게 있을 수 있는 일일까.

 

다행스럽게도 다음 장소로 찾아간 상하이 YMCA는 여전히 과거의 모습 그대로 현재는 호텔로 운영되고 있었다. 거사 하루 전날 김구 선생과 윤봉길 의사가 마지막으로 만났던 그 장소에서 유준상과 데프콘은 하루를 묵으며 당시의 그 마지막 순간을 회고했다. 김구 선생의 요청으로 유언처럼 써내려간 아이들에게 남긴 편지는 그 비장함과 아이들 아빠로서의 자애로움이 동시에 묻어나 글귀 하나하나에 먹먹해질 수밖에 없었다. 유준상은 그 자리에서 느낀 감정들을 두 아들에게 글로 남겼다. 그 글은 윤봉길 의사의 그 마지막 길이 끝이 아니고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는 걸 보여주는 것이기도 했다.

 

다음 날 아침 유준상과 데프콘은 거사 당일 마지막 한 끼를 했던 김해산 선생의 집을 찾았다. 다행히 그대로 남아있는 그 곳에서 현재 살고 있는 주인의 허락을 받아 유준상과 데프콘은 그 마지막 한 끼를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다. 김구 선생이 직접 소고기를 떼와 끓여주게 했다는 국을 너끈하게 먹었다는 백범일지에 담겨진 윤봉길 의사의 이야기는 시청자들도 뭉클하게 만들었다. ‘윤군의 기색을 살피니 농부가 논밭 일을 나가기 위해 밥을 먹는 것처럼 태연자약한 모습이었다’라고 적힌 백범일지의 글귀는 당시 윤봉길 의사의 죽음 앞에 의연한 모습과 그걸 바라보는 김구 선생의 소회를 지금까지도 잘 전하고 있었다.

 

짧은 하루 정도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여정이었지만, 유준상과 데프콘이 따라 걸어간 그 윤봉길 의사의 한 걸음 한 걸음은 죽을 걸 알고 나가는 걸음이었기에 얼마나 무겁고 외로웠을까를 실감하게 만들었다. 그러니 그 길을 걸어온 유준상의 누르고 눌렀던 그 먹먹한 마음이 그 기념관 앞에서 결국 터져버렸을 게다. 폭탄이 터진 자리에서 그의 감정도 터져버렸다. 그리고 그건 시청자들도 마찬가지였다.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라는 말이 계속 절로 나오더라는 데프콘과 유준상의 말이 실감나는 대목이었다.(사진:M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