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나의 나라' 장혁 꼿꼿 카리스마, 더 이상 대길이 잔상은 없다

728x90

‘나의 나라’ 장혁, 이방원 역할이 깨운 막강 존재감

 

장혁의 존재감이 살아났다. 그토록 오랫동안 KBS 드라마 <추노>의 대길이 이미지에서 벗어나려 애썼던 장혁이다. 물론 SBS 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에서 강채윤 역할로 또 KBS 드라마 <아이리스2>에서 정유건 역할로 그만의 액션을 보여줬던 건 사실이다. 또 KBS <장사의 신>이나 OCN <보이스>에서도 괜찮은 연기를 보여줬던 장혁이다. 하지만 그의 연기에서 시청자들은 대길이 이미지를 자꾸만 떠올렸다.

 

장혁이 조금씩 다른 느낌을 주기 시작한 건 MBC <돈꽃>과 SBS <기름진 멜로> 같은 드라마에서 액션과는 조금 다른 결의 연기를 보여주면서다. 그러던 장혁의 연기가 JTBC 금토드라마 <나의 나라>로 활짝 피었다. 그 막강한 존재감은 이 사극의 주인공인 서휘(양세종)나 남선호(우도환)를 압도할 정도다. 무협 액션을 가미한 사극인지라 <추노>에서 보여줬던 액션 연기가 여기서도 이어지지만, 그것보다 더 강렬하게 다가오는 건 그가 보여주는 엄청난 욕망과 그 무엇 앞에서도 꼿꼿한 태도에서 나오는 카리스마다.

 

이것은 어쩌면 이방원이라는 그가 연기하는 인물 자체가 드라마틱하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왕좌에 오르기 위해 형제들을 죽이고 아버지 이성계까지 밀어내는 인물. 우리네 역사에서 이만큼 강한 면모를 보여주는 인물도 없다. KBS <용의 눈물>의 유동근이나 SBS <육룡이 나르샤>의 유아인이 모두 이방원이란 역할을 통해 독보적인 존재감을 보였던 건 연기력 때문이기도 하지만 이 인물 자체의 극적 매력 때문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들이 그려낸 이방원의 모습은 사뭇 다르다. <용의 눈물>의 이방원이 카리스마를 전면에 내세웠다면 <육룡이 나르샤>의 이방원은 신세대 젊은 리더에 가까웠다. 장혁이 소화하고 있는 <나의 나라>의 이방원은 강력한 카리스마에 내적 아픔을 더해놓은 캐릭터다. 그저 폭주하는 인물이 아니라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가 설득되고, 나아가 자기 사람을 위해 스스로 손에 피를 묻히는 그런 리더십까지 보여준다.

 

<나의 나라>에서 장혁이 연기하는 이방원의 색깔을 공고히 해주는 이들은 다름 아닌 바로 그 주변인물들이다. 그의 아버지이자 정치적 대적자가 되는 이성계(김영철)는 만만찮은 카리스마를 보이는 인물이지만, 그렇기 때문에 그 앞에서 결코 수그러들지 않는 이방원의 존재감도 살아나게 만들었다. 조선 건국을 위해 손에 피를 묻히는 일은 이방원에게 시키고 그러면서도 그를 적당히 이용만하고 버리려 하는 이성계 앞에서 이방원은 결국 형제의 난이라는 극단적 선택을 할 수밖에 없게 된다. 드라마가 역사의 해석에 있어서 이성계보다는 이방원에 더 맞춰져 있어 비정하게 동생들까지 죽인 그가 심지어 처연하게까지 그려진다.

 

이런 강력한 카리스마를 갖게 된 이방원에, 가상의 인물로 이 난을 실질적으로 성사시킨 서휘와의 브로맨스가 겹쳐지면서 어떤 인간적인 면까지 생겨났다. 벗인 남선호 앞에서 그 아버지이자 누이를 죽인 원수인 남전을 죽이지 못하고 망설일 때 대신 그를 베고 이방원이 하는 말은 웬만한 멜로보다 뜨거운 브로맨스를 담아낸다. “벗의 아비를 죽은 죄책감으로 평생을 살지 말거라. 내 그리 살았다.” 정몽주를 죽였던 자신의 괴로움을 알고 있기에 그 아픔을 서휘가 겪지 않게 하려 대신 피를 묻히는 모습이다.

 

이성계 앞에서는 결코 물러서지 않는 단단함을 보여주고, 서휘에게는 그 피 흘리며 휘청대는 몸을 뉘일 수 있는 어깨를 내어주는 이방원. 장혁이 연기로 축조해낸 이방원의 캐릭터는 이토록 입체적이다. 그래서 본래 이 사극의 중심에 있는 인물로 시작하지 않았지만 어느새 그가 중심에 서 있다는 걸 시청자들은 발견하게 됐다. <나의 나라>가 점점 이방원의 나라처럼 보일 정도로.(사진:JT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