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웃다 보면 눈물 나는 또 하나의 천성일표 민초 사극, ‘탁류’옛글들/이주의 드라마 2025. 10. 12. 19:28
‘탁류’, 이 혼탁한 세상을 이들은 함께 헤쳐나갈 수 있을까
탁류 “우리 아버지 머슴이여.” 디즈니+ 드라마 <탁류>에서 무덕(박지환)의 안사람 작은애(오경화)는 남편이 왈패의 엄지가 됐다는 소식을 듣고는 시율(로운)을 앉혀놓고 다짐을 받아 놓으려 한다. 무덕이 엄지가 된 건 바로 남다른 완력과 싸움 기술을 가진 시율 때문이라는 걸 알아차려서다. 그는 자신이 어쩌다 무덕의 아내가 되어 살게 됐고 그를 살게 해준 무덕이 어떤 사람인가를 알려주기위해 먼저 자신의 기구했던 삶의 이야기를 풀어놓는다.
“근디 흉년에 너무 먹을 게 없어 갖고 울 큰언니 갖다 팔았어. 고다음 보릿고개엔 둘째 언니를 갖다 팔고. 아들은 팔 수 없응께 내 차례가 됐지. 대감집 종으로 팔려 갔는디 역병에 걸려 갖고 피를 토항께 그냥 길바닥에 픽 버리고 가대. 열이 펄펄 나 갖고 눈밭에 누웠는디 추운 줄도 몰랐어.” 사람 목숨이 쌀 줌도 안되는 가치로 평가받던 민초들의 삶이 그녀의 이야기 속에 묻어난다. 살려고 자식을 팔고, 그렇게 팔려간 이는 병에 걸리면 버려지던 그런 시대. 이 대사는 <탁류>라는 작품이 담고자 하는 이야기의 주인공이 누구인가를 잘 드러낸다. 그건 바로 민초들이다.
<탁류>를 쓴 천성일 작가는 물론 <도망자 PLAN B>나 영화 <7급공무원> 같은 현대극을 집필하기도 했지만 여전히 사극 <추노>로 기억되는 작가다. 그만큼 <추노>라는 작품이 파격적인 명작으로 대중들에게 기억되고 있기 때문이다. 도망 노비와 그 노비를 잡는 추노꾼들의 이야기를 통해 역사가 버린 민초들의 삶을 사극을 통해 기록하려 했던 이 작품은 해학적이면서도 비장한 서사로 시청자들을 매료시켰다. <탁류>는 오랜만에 천성일 작가가 바로 그 계보를 잇는 작품으로 되돌아온 느낌이다. 저 작은애의 말처럼 이 작품은 가진 것 없이 가난해 가족에게조차 버려진 이들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그러고 눈 떠 보니 요 집이여. 저 냥반이 몇 달 동안 괴기도 멕이고 약도 멕이고 그러면서 나를 살려내더라고. 그 길로 쭉 눌러 앉아 갖고 그 사람 각시가 됐제. 그 사람 아주 작지만 선한 마음이 있어. 근디 것도 너무 작아 갖고 없는 거나 매한가지여. 근디 그랴도 쬐끔은 살 자격이 있지 않겄는가. 내가 밥은 잘해 줄랑께 그 사람 등지지만 말어. 응? 약속할 수 있지?”
작은애가 시율에게 하는 이 말은 <탁류>가 앞으로 어떤 이야기를 풀어나갈 것인가를 예감케 한다. 그건 이 혼탁한 마포나루의 강물 같은 세상 속에서 가진 것 하나 없는 이들이 어떻게 살아남고 살아나가는가를 그릴 거라는 이야기다. 없어도 설움 받고 버림받는 이의 마음을 너무나 잘 알고 있는 이들은 살아남기 위해 서로 싸우면서도 도움의 손길을 내미는 ‘아주 작지만 선한 마음’들로 버텨낸다. 무덕이 저 작은애의 숨을 이어 붙였듯이, 이제 시율은 무덕과 그 식솔들이 살아갈 수 있게 손을 내밀어준다.
세상은 탁류 그 자체다. 마포나루 왈패들은 몸뚱아리 하나로 먹고 살려 이들의 고혈을 짜고, 관리들은 그 왈패들의 고혈을 짠다. 아무거나 갖다 붙여 세를 받고, 그 세금은 그 위로 상납된다. 사극으로 그려진 옛 세상의 풍경이지만, 지금이라고 다를까 싶은 시청자들도 적지 않을게다. 죽어라 일해도 뭐 하나 나아지는 것 없어 보이는 막막한 하루하루를 버텨내는 분들이라면 더더욱.
“이런 게 가족입니다. 함께 하면 부러지지 않습니다.” 시율은 싸리비를 예로 들어 자신들이 어떻게 이 험난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가를 말한다. 그러자 작은애가 옆에서 장단을 쳐준다. “고럼 같이 먹고 같이 굶고 그게 가족이지.” 이 작지만 선한 마음들은 과연 저 거센 탁류 앞에서 지켜지고 서로를 살 수 있는 힘이 될 수 있을까. 해학적인 인물들에 웃다 보면 어느새 눈물 나는 천성일표 민초 사극에 각별한 애정이 가는 이유다.(사진:디즈니+)
'옛글들 > 이주의 드라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준호 태풍 예고, ‘태풍상사’는 폭풍의 계절을 만들어낼까 (0) 2025.10.18 김은숙 작가가 직물처럼 짜낸 인간 증명의 대서사시 (0) 2025.10.10 더듬이 달고 나온 장윤주, 얼굴 갈아 끼운 전여빈 (0) 2025.10.09 김다미와 신예은의 우정이 사랑보다 더 기대되는 ‘백번의 추억’ (0) 2025.09.30 이상한 매력의 ‘금쪽같은 내 스타’, 엄정화 지분이 상당하다 (0) 2025.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