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연개소문 청년들, 대사는 중년(?)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연개소문 청년들, 대사는 중년(?)

D.H.Jung 2006. 10. 25. 10:39
728x90

연개소문 세트 논란, 극 집중도 저하가 원인

대하사극 연개소문의 세트 논란이 거세다. 이밀(최재성 분), 양현감(이진우 분), 이화(손태영 분) 등이 왕빈, 연개소문 일행과 함께 사냥을 떠나는 장면에 노출된 성문 배경이 조잡하게 만들어진 세트의 티가 너무 났다는 것이다. 이러한 지적이 나온 다음날 지적의 효과였는지 배경의 세트는 이화와 연개소문이 나란히 말을 타고 가는 장면에 너무도 명확하게 눈에 띄었다.

그런데 이 세트의 문제가 논란으로까지 비화된 것은 단지 세트를 너무 조잡하게 만들었기 때문일까. “400억 짜리 드라마에 합판 배경이냐”는 질책 속에는 400억이나 들여서 그것밖에 못 만드냐는 비아냥이 섞여있다. 세트 논란은 이 드라마의 집중도가 현저히 떨어져 이제는 서서히 그 증상이 나오고 있다는 걸 말해준다.

드라마가 보이지 않는 연개소문
집중도 저하의 가장 큰 원인은 드라마 전개에 있어서의 상투성이다. 현재 연개소문에서는 극중의 갈등, 즉 드라마가 잘 보이지 않는다. 연개소문이 처한 상황을 가만히 보면 그저 책을 읽고 사람을 만나는 유유자적만 있을 뿐, ‘대조영’만큼의 자기 출생에 대한 강렬한 욕구도 보이지 않고, ‘주몽’ 만큼의 고구려에 대한 희원도 별로 보이지 않는다. 청년의 치기는 없고 오히려 중년의 느긋함이 엿보인다.

지금 연개소문은 처음의 무리한 설정(신라와 수나라, 그리고 고구려로 분할되어 전개되던 드라마)을 봉합하고 있는 듯한 느낌이다. 어느 한 장소와 인물로 집중시켜도 모자랄 판에 이렇게 나누어진 이야기 전개는 시청자의 극에 대한 몰입을 방해했다. 게다가 연개소문이 있던 신라쪽의 이야기 전개보다, 수나라의 양제 이야기가 갖는 무게감이 더해지자 문제는 더 심각해졌다. 연개소문이 수나라로 들어가면서 그나마 극의 집중도가 높아질 거라 예감했지만 여전히 연개소문이 머무는 왕빈의 집과 수나라는 따로 놀고 있다.

이렇게 되니 드라마가 생길 수가 없다. 드라마라고 해봐야 연개소문과 이화와의 멜로인데, 이것 역시 극적인 긴장감은 사라진 지 오래다. 연개소문이 나타나자 수많은 혼처를 거부하던 이화가 단박에 그에게 빠져든다는 설정만으로 어떻게 극적인 멜로의 느낌을 가질 수 있을까.

현대적 어법을 찾지 못한 상투적 대사들
무엇보다 심각한 문제는 현대적 어법을 찾지 못하는 상투적인 대사들이다. “-사옵니다” 말투가 주는 어색함에다 의도가 뻔한 질문들과 자로 잰 듯 정확히 나오는 상투적 대사들은 극적인 긴장감을 떨어뜨리는 차원을 넘어서 실소를 자아내게까지 한다. 이화가 연개소문에게 마음을 고백하는 장면은 너무나 설명적이고 구태의연해 마치 70년대 멜로 영화 속의 대사를 반복하는 느낌이다. 잠시 그 대사들을 되새겨보자.

연개소문이 포산공의 집에서 함께 술을 마시고 밖에 나와 그의 심복인 생해와 이야기를 나누는 중에 이화가 나타난다. “어떻습니까. 소녀와 함께 말이라도 달려보시는 것이. 달빛이 아주 좋지 않사옵니까.”그리고 그들은 갈대 숲에 당도해 걷기 시작한다. “달빛이 좋지 않습니까.” “그런 것 같습니다. 낭자.” 그리고 이어지는 신라의 보희와의 일을 얘기하는 연개소문. 그 끝에 “외람된 이야기입니다만 소녀가 잠시 그 자리를 메꾸어 드리면 어떻겠습니까.” “낭자 어떻게 그런 말씀을.” “많은 혼담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장부다운 장부를 본적이 없습니다. 공자께서 처음이십니다. 이제 이유가 되겠습니까.” “낭자..” “다시 한 번 말을 달려 보시겠습니까.”

이런 상황에 오기까지 드라마 상으로 연개소문과 이화간에 벌어진 사건은 거의 없다. 그저 가끔 눈빛이 오고갔을 뿐이다. 물론 진짜 연애의 상황에서는 그럴 수도 있을 것이나 이것은 드라마다. 시청자들 입장에서는 그들의 연애감정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할만한 사건이나 이야기가 존재해야 한다. 사건 없이 바로 이어지는 너무 직설적인 대사의 전개는 보는 이들을 낯간지럽게 만든다. 그러다 보니 이 장면들에는 필요 없는 대사들이 너무 많다. 멜로를 사건이 아닌 대사로서 설명하고 만들려는 것이다. 이로써 대사에 설명이 너무 장황해지는 드라마 작가로서는 가장 치명적인 함정에 빠지게 된다.

연령대로 나눠지는 대사의 층위
그러나 모든 대사가 그런 것은 아니다. 사극으로서 진짜 힘을 발휘하는 정치적인 대사들과 전개는 나무랄 데가 없다. 수양제의 캐릭터가 힘을 받는 것은 그걸 연기하는 김갑수의 힘이기도 하지만, 그런 대사를 적재적소에 잘 넣는 작가의 힘이기도 하다.

재미있는 것은 ‘연개소문’에서는 이 잘 맞아떨어지는 대사와 그렇지 못한 대사의 층위가 나누어진다는 점이다. 그것은 정확히 연령대로 잘라진다. 중년 이상의 캐릭터들은 대사가 연기와 잘 맞아떨어지지만, 청년 캐릭터들은 영 겉돌고 있다. 이것은 작가가 멜로보다는 정치적인 상황의 사극에 더 강하기 때문일까. 아니면 혹 요즘 젊은 감성을 제대로 소화하지 못하기 때문은 아닐까. 아무리 시청자대가 중ㆍ장년층이라 하더라도 젊은 캐릭터에 노회한 목소리를 넣는 것은 무리가 아닐까.

이제 드라마에서 배경은 그 드라마의 완성도를 말해주는 좋은 지표가 되기도 한다. 그러나 논란이 된 배경은 그다지 중요한 상황에서의 그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문제를 밖에서 찾게 만든다. 캐릭터에 한참 집중해야할 상황에(연개소문과 이화가 연애감정을 보여주는 장면) 시선을 배경으로 빼앗겼다는 점이 이 논란의 핵심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