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비담이 보여준 '선덕여왕' 캐릭터의 힘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비담이 보여준 '선덕여왕' 캐릭터의 힘

D.H.Jung 2009. 8. 5. 07:46
728x90

캐릭터 자체의 매력과 스토리텔링이 만드는 기대감

'선덕여왕'에 비담(김남길)이 자신의 캐릭터를 구축하는데 든 시간은 얼마일까. 짧게 말하면 1초도 걸리지 않았고, 길게 말한다 해도 10분을 넘기지 않았다. 어두운 동굴 속에서 맨발만 살짝 드러냈을 때, 그리고 빛으로 나와 예사롭지 않은 얼굴로 하품을 해댈 때, 덕만(이요원)을 향해 찡긋 윙크를 했을 때 그는 이미 범상치 않은 고수의 캐릭터로 우리들 마음 속에 들어와 있었다. 후에 덕만을 해치려는 무리들을 향해 무차별 칼을 휘두르는 장면은, 이미 시청자들의 마음에 구축된 캐릭터를 확인시켜 주었다. 어떻게 이것이 가능할까.

'선덕여왕'의 제작진이 비담을 비밀병기라고 공공연히 발표한 시점은 작품이 시작하기도 전부터였다. 기자간담회에서 나온 이 얘기는 그저 지나가는 얘기처럼 들렸다. 하지만 20회가 지난 시점에서 비담은 모습을 드러냈고 그 비밀병기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이것은 '선덕여왕'이 캐릭터를 어떻게 구축하고 활용하는가를 잘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다. '선덕여왕'은 주제를 함축하고 스토리를 굴러가게 하는 매력적인 캐릭터를 창조해내고는, 그것을 특유의 미션식 스토리텔링 속에서 가장 극대화되는 지점에 순차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캐릭터에 대한 집중도를 높여나가고 있다.

'선덕여왕'이 만들어내 첫 번째로 선보인 캐릭터는 미실(고현정). 이 매력적인 캐릭터는 모든 갈등과 구조를 만들어간다는 점에서 이 사극의 뼈대에 해당하는 캐릭터다. 강력한 악역으로서의 미실이 구축된 후, 그녀로 인해 중국으로 도망친 어린 덕만이 고개를 내민다. 당돌하면서도 착하고 때론 대담하면서도 남다른 영민함이 보이는 이 캐릭터는 미실과의 격차를 드러내면서 차츰 대립각을 만들어낸다. 덕만이라는 캐릭터가 미실에게 근접하고 그 미실을 누르는 과정이 이 사극의 전체 얼개라면 이때 이미 이 사극의 방향성은 만들어진 셈이다.

이후에 등장하는 캐릭터는 천명(박예진)과 유신(엄태웅)으로 이들은 각각 아무도 대적할 자가 없어 보이는 미실과 정면승부를 예고하며 부각되었다. 즉 미실의 캐릭터를 통해 구축된 이 캐릭터들은 정치적인 상황 보다는 대의 그 자체에 몰두하는 것으로 미실의 정치 장악력을 벗어난다. 한편 미실 측은 그들대로 새로운 캐릭터들을 구축하며 진영을 갖춘다. 백제와의 전쟁을 통해 그 카리스마를 보여준 설원공(전노민)이 무인이면서도 동시에 지략을 갖춘 캐릭터로 등장하고, 미생(정웅인)은 미실의 일식을 이용한 깜짝쇼를 구상해내고 때론 미실의 심중을 정확히 읽어내는 면모를 보이면서 존재감을 드러낸다.

부차적인 인물들이 다만 부차적으로만 활용되지 않는 것은 '선덕여왕'이 가진 캐릭터들의 가장 큰 장점이다. 사막에서 이미 죽은 것으로 알고 있었던 소화(서영희)와 칠숙(안길강)이 궁으로 돌아와 만들어내는 드라마는, 궁의 인물들과 그들이 가지는 일련의 만남들에 극적인 상황을 제공했다. 칠숙과 덕만의 만남, 칠숙과 미실의 만남, 미실과 소화의 만남... 이런 식으로 극은 끊임없이 긴장감을 유지할 수 있었다. 또한 이 사극의 감초로서 죽방(이문식)과 고도(류담)는 극의 긴장감을 풀어주는 역할을 하면서도, 동시에 극을 만들어가는 역할도 수행해낸다.

중요한 것은 이 많은 캐릭터들이 덕만을 중심으로 잘 꿰어져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시청자의 입장에서는 덕만을 따라가는 것만으로 그다지 복잡하지 않게 드라마를 이해할 수 있다. 게다가 그들은 모두 덕만을 위기로 몰거나, 혹은 도움을 주는 캐릭터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계속해서 덕만을 움직이게 만든다. 캐릭터들이 살아있다는 느낌을 받게 되는 것은 이처럼 이 사극이 가진 캐릭터 장악력과 거기서 비롯되는 능수능란한 스토리텔링 능력 때문이다. 사실상 캐릭터들은 창조되는 그 순간부터 저마다의 숨겨진 이야기를 하나씩 이상은 갖고 등장한 셈이다.

마찬가지로 비담의 등장이 그토록 짧은 시간에 강렬한 인상을 준 것은, 그 캐릭터 속에 내장된 앞으로의 이야기를 첫 등장에서부터 예감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세상사에 무심한 듯 보이며, 뛰어난 무공을 갖추고 있지만 어느 편에 붙을 지 종을 잡을 수 없는 인물이다. 이런 인물이 아군이라면 천군만마를 얻은 것이 되지만, 적이라면 상황은 정반대가 된다. 덕만의 입장에서 사극을 보는 시청자들에게, 비담이란 존재가 주는 무게감은 따라서 클 수밖에 없다. 그가 미실의 버려진 아이라는 점은 이 상황을 더 흥미진진하게 한다. 혈육으로서의 입장은 버려졌다는 입장과 상충하며 비담이라는 캐릭터의 위치를 가늠하기 어렵게 만든다.

'선덕여왕'의 흥미진진한 스토리는 바로 이 범상치 않은 캐릭터들과 그 캐릭터의 운용으로 만들어지는 스토리텔링에서 나온다. 가장 적확한 스토리의 시점에서 가장 매력적인 성격의 캐릭터라면, 그것이 구축되는 데 드는 시간은 어쩌면 단 1초면 충분한 지도 모른다. 구구절절 설명하지 않아도 마음 속에 척척 달라붙는 캐릭터의 힘, 그것이 '선덕여왕'이라는 스토리텔링의 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