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덕여왕', 결국 삶과 꿈에 대한 이야기
지난 5월 봄에 시작한 '선덕여왕'은 12월 겨울에 끝이 났다. 마지막에서 덕만(이요원)이 "스산하다"고 말하고 유신(엄태웅)이 "곧 봄이 올 것입니다"라고 답하는 장면은 마치 이 '선덕여왕'의 처음과 끝 그리고 다시 처음으로 이어지는 이야기를 정리하는 것만 같다. 죽기 직전 덕만은 어린 시절 꾸었던 꿈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꿈속에서 어린 덕만을 안고 눈물을 흘리고 있던 여인. 덕만은 죽음 앞에서 바로 그녀가 성장한 덕만이었다고 생각한다. 성장한 덕만은 어린 덕만에게 앞으로 있을 시련에 대해 이야기 한다. "모든 걸 다 가진 것 같지만 사실 가진 건 없을 거야." 그리고 그녀가 마지막으로 하는 말은 그래도 "견뎌 내"라는 것이었다.
이 엔딩 장면은 지금껏 봄부터 겨울까지 달려온 '선덕여왕'이 한 인물의 생에 있어서의 봄부터 겨울까지를 그려내고 있다는 걸 압축적으로 그려낸다. 그리고 이야기는 꿈속으로 들어가면서 어린 덕만이 그녀의 앞에 놓여진 길을 향해 성큼 성큼 걸어가는 장면으로 이어진다. 그러니 이 사극은 끝이 나지만 끝이 난 것이 아니다. 어린 덕만의 이야기로 다시 이어지면서 순환되는 것이다. 삶이란 이처럼 가진 것 같지만 가진 것 없이 사라지는 것이며, 그럼에도 견뎌 내야 하는 어떤 것이라고 이 드라마는 말한다. 그리고 그것을 견디게 해주는 것은 다름 아닌 꿈이다. 꿈을 꾼다는 것, 그것이 있어 어린 덕만은 한 치 앞에 놓여진 시련을 향해 성큼 성큼 걸어 나갈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삶은 다시 반복된다.
'선덕여왕'은 결국 삶과 꿈에 대한 이야기다. 미실(고현정)이라는 커다란 벽 앞에서 절망적으로 그 벽을 두드리고, 그것이 오히려 희망이 되던 젊은 시절의 덕만은 '불가능한 꿈'을 꾸면서 그것을 현실 가능하게 만들어 놓는다. 결국 미실이 가고 여왕의 자리에 오른 덕만은 그러나 함께 꿈을 꾸었던 자들과 부딪치게 되고 그 자리가 주는 천형처럼 가까운 이들을 하나씩 잃게 된다. 그리고 죽음 앞에서 이 모든 것이 하나의 과정이라는 것을 긍정하게 된다. 봄의 희망과 여름의 열정을 거쳐 정점에 오르면, 이제 남은 것은 하나씩 정리해야 하는 가을과 겨울의 조락이라는 것. 하지만 이 모든 과정이 꿈으로 이어져 있어 다시 봄은 오고야 만다는 것을 이 사극은 보여주었다.
여성사극의 정점, 추리극적인 장치를 활용한 연출, 미실이라는 전무후무한 거대한 캐릭터 등등. '선덕여왕'에 대한 화려한 수사들은 많다. 하지만 그것들은 결국 자잘한 외관에 불과하다는 것을 '선덕여왕'의 마지막 몇몇 장면들은 말해준다. 이 사극이 보여준 수많은 인간 군상들의 이야기는 저마다의 꿈과 그 꿈을 향해 하나씩 달려 나가 성취했지만 결국은 다시 돌려줘야 하는 우리네 삶을 제대로 포착해내고 있다. 사극이 시간을 다룬다면 이러한 반복되는 우리네 삶에 대한 이야기는 사극이 결국에는 도달해야 할 길이 아닐까.
봄에서 겨울 사이, 이 사극 속에서 어떤 이는 대업을 꿈꾸었고 어떤 이는 작은 행복을 꿈꾸었으며 어떤 이는 권력을 탐하였고 어떤 이는 사랑을 꿈꾸었다. 시간이라는 도저한 물결 위에서 그 어느 것 하나 가질 수 없는 운명을 지닌 우리는 결국 '불가능한 꿈' 속에서 살아가게 마련이다. 누구에게나 설레고 누구에게나 두렵고 누구에게나 아픈 이 길 위를 걸어가는 우리들에게 이 사극은 "견뎌 내"라고 말하며 어깨를 두드린다. 그리고 이것은 현재를 사는 우리들에게도 힘이 된다. 드라마가 반짝 반짝 빛나는 순간은 이처럼 삶의 한 자락을 잡아내 "삶은 다 그런 것"이라며 우리네 힘겨운 어깨를 두드려줄 때이다. 이 사극이 있어 힘겨운 현실 속에서도 조금이나마 우리는 설레는 꿈을 꿀 수 있었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덕여왕’을 기점으로 앞으로의 사극은? (1) | 2009.12.24 |
---|---|
'천사의 유혹', 만일 속도를 조금 늦췄다면 (0) | 2009.12.23 |
'아이리스', 장르 드라마의 새로운 가능성 (0) | 2009.12.18 |
‘지붕킥’의 멜로, 그 특별한 사랑법 (0) | 2009.12.16 |
'차차차'와 '천유', 속도체험 극과 극 (0) | 2009.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