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MBC 드라마, 두 여왕(?)의 성공과 주목할 실험작들
2009년 MBC 드라마는 대중적인 성공으로만 보면 두 여왕(?)이 이끌었다고 말할 수 있다. 상반기 3월부터 5월까지 방영된 ‘내조의 여왕’과 5월부터 12월까지 방영된 ‘선덕여왕’이 그것이다. 흥미로운 것은 이 성공한 두 여왕(?)의 성격이 상반된다는 점이다. 하나는 현대극이고 다른 하나는 사극이며, 하나는 소소한 기획물이며 다른 하나는 야심찬 대작이었다는 점이다. 성공 포인트 또한 사뭇 다르다. ‘내조의 여왕’이 현실에 대한 철저한 공감을 그 포인트로 하고 있다면, ‘선덕여왕’은 물론 현실을 담고 있지만 사극이 갖는 성공 판타지를 중심으로 삼고 있다.
두 여왕은 성격 또한 다르다. ‘내조의 여왕’의 천지애(김남주)는 맹렬 여성이지만 그 활동은 결국 남편 뒷바라지라는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다. 현모양처로서 가지는 최고의 위치, 즉 남편을 성공시키는 것이 그녀가 꿈꾸는 최상의 목표다. 하지만 ‘선덕여왕’은 왕비가 되려는 것이 아니라 진짜 왕이 되려는 목표를 세운다. 그것은 여왕이 된 덕만(이요원)은 물론이고, 좌절된 꿈이었지만 여왕을 꿈꾼 미실(고현정)에게도 해당되는 이야기다.
‘내조의 여왕’이 우리와 공감한 것은 학연 지연 혈연 같은 줄로 연결된 사회가 가진 벽 같은 절망감이고, 그 사회 속으로 편입되지 못한 자들의 절규였다. 반면 ‘선덕여왕’은 여성적 카리스마를 내세워 현 여성성의 사회가 꿈꾸는 새로운 리더십을 보여줌으로써 여성들은 물론이고 남성들까지 지지하게 만들었다. 무엇보다 두 편이 모두 ‘여왕’을 주인공으로 내세운다는 것은 드라마가 이제 주시청층인 중년 여성층의 시선을 의식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 대목이다.
남성적인 이야기들이 대중적으로 그다지 호응을 받지 못했다는 점은 이러한 작금의 상황을 잘 말해준다. ‘2009 외인구단’은 그 시대착오적 시각이 가진 거부감을 극복해내지 못했다. 한편 ‘친구, 우리들의 전설’은 참신한 실험성과 완성도에도 불구하고 마찬가지의 결과에 머물렀다. 결국 완성도만큼 중요해진 것이 드라마 주 시청층의 취향이라는 것을 잘 말해주는 대목이다.
또한 실험성이 돋보인 상대적으로 젊은 드라마들 역시 호평에도 불구하고 대중적인 성공은 거두지 못했다. ‘탐나는도다’는 17세기를 배경으로 삼고 있지만 만화적인 설정과 이야기로 사극적인 친숙함이 아니라 실험적인 현대극이 갖는 낯설음을 그려낸 문제작이지만 편성 등의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그다지 주목받지 못한 드라마가 되었다. 이것은 ‘돌아온 일지매’나 ‘혼’ 같은 파격적인 드라마 실험을 한 작품들과도 결을 같이 한다. 만화적 상상력이 실험적으로 가미된 이들 작품들의 미완의 성공은, 아직까지는 이런 실험이 드라마의 주시청층들에게는 낯선 체험이라는 것을 잘 말해준다.
올 한 해 MBC는 드라마에서 다양한 실험들을 했다고 보여지지만 성공은 두 여왕을 빼놓고는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편중되는 양상을 보였다고 말할 수 있다. 이것은 결국 불황이라는 시대적 정서, 드라마 주 시청층으로 자리한 중장년 여성들, 그리고 여성성을 강조하는 사회로의 변화 등이 만들어낸 결과에서 비롯된 것이다. 2009년 MBC 드라마에서 두 여왕의 성공이 햇볕이었다면, 거꾸로 남성드라마들의 실패, 그리고 실험작들의 미완의 성공은 그 그림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빛과 그림자는 언제든 그 상황이 바뀔 수 있다. 그래도 분명한 것은 올 한 해는 ‘여왕의 해’였다는 점이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중원’, 사극의 확장? 의드의 진화? (2) | 2010.01.04 |
---|---|
시트콤, 왜 제대로 축하받지 못할까 (1) | 2009.12.30 |
2009 가난한 드라마 두 편의 진심 (0) | 2009.12.29 |
‘선덕여왕’을 기점으로 앞으로의 사극은? (1) | 2009.12.24 |
'천사의 유혹', 만일 속도를 조금 늦췄다면 (0) | 2009.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