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아버지의 집’과 KBS ‘경숙이 경숙아버지’
불황이 드라마 세상에 가져온 것 역시 현실과 다르지 않다. “길면 살 것이요, 짧으면 죽을 것이다.” 빈익빈 부익부의 드라마 버전으로 읽히는 우리네 단막극의 실종은 그래서 더더욱 의미심장하게 보인다. 가난한 드라마, 단막극들은 이제 이 거대 자본으로 무장한 드라마 경제 속에서 힘겨워하고 있다. 하지만 바로 이 힘겨운 상황을 그대로 반영한 듯, 드라마 속으로 끌어들여 꽤 괜찮은 선전을 한 두 가난한 드라마가 있어 주목을 끈다. 바로 SBS 2부작 ‘아버지의 집’과 KBS 4부작 ‘경숙이 경숙아버지’다.
먼저 눈을 의심하게 하는 건 이 두 가난한 드라마가 거둔 시청률이다. ‘경숙이 경숙아버지’는 13.5%, ‘아버지의 집’은 무려 19.6%의 최고시청률을 기록했다(AGB 닐슨). 보통 16부작 미니시리즈에서도 높은 시청률이라 할 만한 이런 기록들은 도대체 어떻게 이 짧은 단막극에서 가능했던 걸까. 먼저 이 두 작품은 여타의 장편 드라마들이 갖추고 있기 마련인 자극적인 소재와는 거리가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두 편의 드라마들에 대중들이 공감을 갖게 된 것은 단순한 소재가 아니라 그 드라마가 전해준 메시지에서 찾을 수 있다.
올해 1월에 방영된 ‘경숙이, 경숙아버지’는 가난과 전쟁이라는 극단적으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피어나는 인간적인 정을 다루었다. 경숙(심은경)의 아버지인 조재수(정보석)는 집을 돌보지 않고 밖으로만 나도는데, 그와 악연관계에 있는 박남식(정성화)이 경숙의 집에 기거하며 경숙모를 사랑하게 되고 결국 아버지 역할을 대신하는 이야기다. 재미있는 것은 경숙의 가족들이 친 아버지인 조재수보다 가족에 헌신적인 남식을 더 따른다는 것. 결국 극단적 가난의 상황에서 조재수와 박남식의 악연이 차츰 정으로 바뀌어나가는 과정을 이 드라마는 특유의 해학으로 풀어내고 있다.
또 ‘아버지의 집’은 1998년 IMF서부터 2009년까지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데 그 연도들이 의미하는 것처럼 이 드라마는 불황 속에서의 우리네 아버지들의 초상을 담고 있다. 주인공인 아버지 강만호(최민수)가 스턴트맨 대역배우라는 사실은, 이 드라마가 담고 있는 아버지가 경제의 그늘 아래에서 소외된 서민들의 아버지라는 것을 말해준다. 그는 배운 것 없어 몸으로 벌어먹고 살면서도 자신의 손가락을 꼭 쥐어주는 아들을 바라보며 그 힘겨운 나날들을 버텨낸다.
하지만 그의 희망에도 불구하고, 1998년부터 2009년 간 무려 11년이 지났음에도, 상황은 나아지지 않고 오히려 악화된다. 아들은 친엄마가 미국으로 데리고 가고, 그는 자신의 삶을 지켜주는 수호천사가 사라졌다는 것을 알게 된다. 돌아온 아들이 아버지의 힘겨운 삶을 알게 되고 “이것이 전부 자기 탓”이라고 말할 때, 강만호가 “네 덕분에 살 수 있었어.”하고 말하는 장면에서 아마도 모든 아버지들은 그 진심을 읽었을 것이다. 가난해서 배운 게 없어서 오로지 온 몸으로 사랑하는 법밖에 모르는 강만호의 마음은, 불황 속에 지치고 허덕인 모든 아버지들의 마음일 테니까.
공교롭게도 이 두 편의 가난한 드라마는 이처럼 그 배경 속에 불황의 풍경을 그려 넣고 있다. 그 가난 속에서도 놓지 않는 희망을 진심어린 목소리로 이야기함으로써 대중들과 공감할 수 있었던 것. 그리고 그 진심은 상업적으로 취약할 수밖에 없는 단편 혹은 중편의 이 가난한 드라마들이 처한 상황 속에서 더욱 빛을 발한다. 연장에 막장으로 치닫는 드라마 생태계 속에서 이 짧지만 긴 여운을 주는 단막극들의 울림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만든다. 2009년 단막극이 사라진 세상 속에 남겨진 두 편의 가난한 드라마가 주는 진심이 2010년 단막극 부활의 희망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트콤, 왜 제대로 축하받지 못할까 (1) | 2009.12.30 |
---|---|
2009 MBC 드라마, 두 여왕과 실험작들 (0) | 2009.12.30 |
‘선덕여왕’을 기점으로 앞으로의 사극은? (1) | 2009.12.24 |
'천사의 유혹', 만일 속도를 조금 늦췄다면 (0) | 2009.12.23 |
'선덕여왕', 우리를 꿈꾸게 한 사극 (0) | 2009.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