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월화극, 국민드라마? 골라보는 재미!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월화극, 국민드라마? 골라보는 재미!

D.H.Jung 2010. 1. 6. 10:04
728x90

다양해진 월화드라마, 강약 비교

'선덕여왕'이 끝난 자리, 새해의 시작점. '선덕여왕'의 뒤를 이을 월화 드라마는 무엇일까. 일제히 방송3사가 새 드라마를 포진하고 있어 그 기대감은 더 클 수밖에 없다. 하지만 각 드라마의 첫 회를 접한 느낌은 어느 작품 하나 빠질 것이 없이 각각의 재미와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시청률도 '제중원' 15.1%, 14.6%(AGB 닐슨), '공부의 신' 13.4%, 15.9% '파스타' 13.3%, 15.1%로 엎치락뒤치락하곤 있지만 어느 정도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시청률은 이전까지와는 상당히 다른 양상이다. 전통적으로 사극은 극성이 높은 특징이 있기 때문에, 시청률 경쟁에서 늘 수위를 차지하곤 했다. 따라서 장르적 특성으로 봤을 때 '제중원'의 우위는 당연할 것으로 여겨졌었다. 하지만 결과는 달랐다. '제중원'은 첫 날 근소한 차이로 시청률 우위를 보였지만 다음날 '공부의 신'과 '파스타'에 그 자리를 내주었다. 도대체 무엇이 이런 의외의 결과를 가져왔을까.

'제중원', 완성도 높지만 약점도 존재
'제중원'이라는 작품이 재미에 있어서나 완성도에 있어서 떨어지는 것도 아니다. '제중원'은 구한말이라는 시대상황 속으로 들어가 실로 의학드라마와 사극을 흉터 없이 봉합시키는 성취를 이루고 있다. 박용우와 연정훈의 연기에 대한 몰입도도 좋고, 무엇보다 군더더기 없이 압축적으로 전개되는 상황과, 그러면서도 복잡할 수 있는 이야기를 단순하고 쉽게 전달하는 점에 있어서 강한 면모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제중원'의 약점 역시 분명히 존재한다. 무엇보다 큰 것은 이 작품이 다루는 서양의학이라는 소재가 구한말의 시점에서 두 가지 면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그 하나는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학문의 도입이라는 긍정적 측면이고, 다른 하나는 그 학문을 갖고 들어온 일본과 서양열강을 제국주의적인 외세로 바라보는 부정적 측면이다. 구한말의 불행한 역사를 가진 우리로서는 서양의학을 다루는 '제중원'의 이야기는 '허준'이 한의학으로 사람들을 구하는 이야기와는 다를 수밖에 없다.

이밖에도 의학을 구한말 시점에서 다루기 때문에, 장면 자체가 상당히 충격적으로 다가오는 것도 사실이다. '제중원'은 그 시대적 배경 상 '하얀거탑'처럼 깨끗이 정비된 수술실에서 각종 정교한 기기들을 활용해 수술을 하는 장면을 다룰 수는 없다. 바로 이런 점들이 약점으로 지목되지만 바로 그렇기 때문에 '제중원'이라는 작품에 대한 기대는 클 수밖에 없다. 구한말을 다루는 시대극들이 늘 이 역사인식에 대한 문제와 그 미지의 영역 사이에서 고민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제중원'의 시도는 그 어려운 만큼 가치가 인정된다는 이야기다.

'공부의 신', 불편한 논리지만 판타지를 건드려
한편 '공부의 신'은 일본 원작이지만 상당부분 우리네 교육 현실을 건드리는 부분이 있다. 학원물이지만 강석호(김수로)가 병문고의 학생들에게 "너희들은 패배자"라고 도발하면서 "승자들의 손에 놀아나기 싫다면 공부해서 승리자가 되어야 한다"고 역설하는 부분은 사실 궤변에 가까운 것이지만 우리네 교육 현실 속에서 바라보면 실제로 마음을 움직이는 구석이 있다. 승자독식의 세상에서 승자가 되어야 그 시스템을 바꿀 수 있다는 논리는 기존 잘못된 시스템에 대한 인정과 다르지 않다. 패자가 승자가 되는 순간, 승자의 논리가 유지되는 시스템을 그들이 왜 바꾸겠는가. 교묘한 논리지만 그것은 결국 지금 시스템에서 패자보다는 승자가 되라는 역설일 뿐이다.

이런 부분이 불편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대중들의 마음을 건드리는 것은 작금의 교육 현실이 그만큼 바뀌지 않는 벽처럼 존재하기 때문이다. 사실상 빈부의 차가 성적의 차이를 만들고 그것이 결국 미래의 승자와 패자를 가르는 현 사회 시스템 속에서 '공부의 신'은 하나의 판타지를 제공한다. 현실은 바꿀 수 없으니 갖은 방법을 동원해 승자가 되는 것이다. 이 드라마가 강점을 보이고 있는 것은 바로 이런 사회적인 문제를 적당히 건드리면서 판타지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파스타', 익숙한 청춘 멜로지만 캐릭터의 힘이 돋보여
반면 '파스타'는 청춘 멜로에 요리사라는 전문직을 첨가한 맛좋은 요리 같은 드라마다. 멜로 드라마가 갖는 전형적인 구성이 있긴 하지만 마초이면서도 감성적이고 까칠한 카리스마를 갖고 있으면서도 부드러운 최현욱(이선균) 같은 캐릭터나, 조금은 어눌하고 존재감 없어 보이지만 그것이 오히려 매력적인 서유경(공효진) 같은 캐릭터는 이 라스페라라는 음식점에서 만들어지는 파스타 만큼 드라마에 입맛을 돋군다.

전통적으로 사극과 멜로드라마가 경쟁하면 거의 백전백패 멜로드라마의 패배로 이어졌던 것을 생각해보면 이 드라마가 가진 결코 작지 않은 경쟁력을 이해할 수 없다. '제중원'의 심각함과 '공부의 신'이 떠올리는 현실의 무거움이 버겁다면, '파스타'라는 청춘 멜로의 세계가 매력적으로 여겨질 수 있다. 물론 '내 이름은 김삼순' 같은 비슷한 류의 드라마가 떠올려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한계로 지목되지만.

'선덕여왕'이 끝나고 '선덕여왕' 같은 국민드라마는 당장에는 눈에 띄지 않는다. 하지만 한 편의 국민드라마보다는 오히려 이렇게 다양한 장르의 드라마들을 골라 즐길 수 있는 작금의 월화의 상황이 더 좋은 것은 왜일까. 다양한 취향들을 느끼게 해주는 월화 드라마의 균형 잡힌 시청률은 그래서 어쩌면 조금은 건강해진 드라마 세상을 꿈꾸게 해준다. 국민드라마 한 편의 독주보다 괜찮은 드라마 여러 편이 공존하는 그런 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