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추노', 인기만큼 논란 많은 이유

728x90

'추노'의 논란은 어디서부터 생겨나는 걸까

7회 만에 시청률 34%의 놀라운 성적을 거두고 있는 '추노'. 40%를 넘는 것은 이제 시간문제라고 말할 정도로 대중들의 이 드라마에 대한 관심은 높다. 그래서일까. '추노'의 논란 또한 끊이질 않는다. 이다해의 화장 얼굴이 리얼리티를 떨어뜨린다는 논란, 유독 노출이 많은 데다 어린 노비를 수청 들게 하거나 언년이(이다해)가 겁탈당하는 등의 내용이 가져온 선정성 논란이 그것이다. 심지어 이 선정성 논란을 의식한 블러 처리가 과잉 반응이었다는 논란까지 일어났다. 물론 논란 또한 관심의 표명일 것이다. 하지만 유독 '추노'에서 왜 이처럼 계속 논란이 쏟아지는 것일까.

먼저 이다해의 화장얼굴이 리얼리티를 떨어뜨린다는 논란은 물론 설득력은 있지만 조금은 과장된 것 같다. 왜냐하면 이 사극은 영상연출에 있어서 리얼리티를 추구하는 기존 사극과는 달리 표현주의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추노'가 '300' 같다고 생각되는 것은 그 영상연출이 자연 상태 그대로를 잡아내는 것이 아니라, 연출자에 의해 효과적으로 연출되기 때문이다. '추노'에서 대길(장혁)과 태하(오지호)가 대결을 벌일 때 허공에서 두 얼굴이 멈춘 채 한 바퀴 카메라가 빙 도는 그런 장면은 물론 현실에서 발견되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미 만화적인 구도나 타 영화를 통해 그 장면이 주는 액션의 질감을 알고 있다. '추노'는 리얼한 영상이 아니라, 효과적인 영상을 보여주는 드라마다.

영상들은 끊임없이 감독에 의해 색채가 입혀지고, 느린 속도로 돌아가다가 갑자기 빨라지면서 어떤 리듬감을 만든다. 대길이 말을 타고 달리는 장면에서 클로즈업된 그의 이글이글 타오르는 눈빛은 그저 말을 타고 달리는 대길의 장면과는 천지차이의 이야기를 해준다. 이다해의 말끔한 얼굴은 이 표현주의적인 영상연출에서 봤을 때, 어쩌면 자연스러운 일일 수 있다. 표현주의적인 영상연출의 목적은 대상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내러티브를 위해 가장 효과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니 혜원(이다해)이 가진 정결한 모습은, 노비역할로 얼굴에 낙인이 찍힌 채 늘 검은 칠을 하고 있는 초복이(민지아)의 모습이나, 얼굴에 늘 화사하게 분칠을 하고 있는 설화(김하은)처럼 의도된 것이다. 이다해의 화장 얼굴 논란은 물론 이해되는 것이지만, 그것은 어쩌면 기존 사극과 이 사극의 영상연출의 차이에서 비롯된 바가 더 크다고 말할 수 있다. 기존의 리얼리티 영상연출의 시각으로 보면 논란이 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 사극의 표현주의적인 영상연출을 생각해보면 이해되지 않는 것도 아니라는 이야기다.

그렇다면 이 드라마의 선정성 논란은 왜 불거져 나오고 있을까. 그것은 이 드라마가 하층민을 다루고 노비를 소재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어쩌면 당연한 결과로 보인다. 하층민들을 다루는 '추노'가 양반네들의 품격(?)을 유지한다는 것은 어쩌면 비상식적인 일일 것이다. 그네들의 삶과 정서가 드라마에 묻어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하층민들의 드러낸 몸과 질펀한 농담은 그네들의 힘겨운 삶을 에둘러 말해주는 것들이다. 몸은 힘겨운 노동과 연관이 있고, 질펀한 농담은 그 힘겨운 노동 속에서의 유일한 여가(?)일 테니까.

따라서 '추노'가 몸을 드러내고, 질펀한 농담을 쏟아내는 것은 당연하면서도 드라마 전략적으로도 맞는 일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이처럼 깊게 하층민의 삶을 다룬 사극이 그다지 많지 않았다는 점은 이 사극의 이러한 모습들을 낯설게 만든다. 따라서 '추노'는 그 소재에서부터 벌써 수위가 높을 수밖에 없는 사극이다. 이것은 성적인 선정성뿐만 아니라 액션 장면에 등장하는 피가 튀는 리얼한 폭력 신에서도 그렇다. '추노'는 성인들의 드라마이지 온 가족이 볼 수 있는 드라마는 아니다. 그러니 제한을 15세가 아니라 그 위로 올렸다면 상황은 조금 달랐을 수 있다. 물론 TV라는 매체에 있어 나이 제한이라는 것이 그다지 효과적인 것은 아닐 것이지만.

어쨌든 '추노'가 인기만큼 논란도 많은 이유는 이 사극이 지금껏 사극이 다루지 않았던 영역을, 역시 색다른 영상연출로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추노'는 꽤 높은 완성도를 가지는 작품이지만, TV라는 매체에 방영되기에는 조금 앞서가는 느낌이 있는 사극이다. 바로 이 실험성 강한 작품과 TV의 관습적인 환경 사이에 존재하는 거리는 논란을 야기한다. 그러니 이러한 드라마의 도전적인 실험과 거기서 발생하는 논란은 모두 지극히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남은 문제는 이 사이의 거리를 어떻게 좁혀나갈 것이냐가 될 것이다. 논란은 어쩌면 그 거리를 좁히는 하나의 과정이라고 볼 수도 있지 않을까. '추노'의 앞으로의 행보가 궁금한 것은 그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