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공감으로 보는 월드컵, 누가 강팀인가 본문

옛글들/네모난 세상

공감으로 보는 월드컵, 누가 강팀인가

D.H.Jung 2010. 6. 17. 08:50
728x90

박지성의 팀플레이 정신과 공감의 힘

도대체 이게 뭘까. 달랑 공 하나가 이리저리 굴러다니는 것일 뿐인데 전 세계가 들썩거린다. 공을 중심으로 생각해보면, 이 그림은 실로 놀랍다. 공 한 개가 있고, 그 공을 차는 선수가 있으며, 그 선수를 둘러싼 팀과 팀이 있다. 그리고 경기장에서 그 공을 따라 일사분란하게 움직이는 선수들을 예의주시하는 수천 명의 관중이 있고, 카메라라는 시각의 확장을 매개해주는 매체가 전 세계인의 눈을 그 공 하나에 집중시킨다. 도대체 공 하나에 모두가 집중하게 되는 그 집단적인 힘은 어디서 발생하는 것일까.

아무리 보고 또 봐도, 한국과 그리스전에서 박지성이 두 명의 그리스 선수를 제치고 골을 집어넣는 장면은 질리지가 않는다. 그 순간에 제 아무리 다른 환경에 생각이 다른 사람들과 있었다고 해도 그 마음은 똑같았을 것이다. 골을 몰고 들어갈 때의 그 기원 가득한 긴장감과 골을 찼을 때의 터질 듯한 심장박동, 그리고 골이 들어갔을 때 느꼈던 그 희열. 짧은 순간이지만 그 순간 우리 모두는 한 덩어리가 되는 집단적인 황홀감에 빠져들었다. 인간의 가장 근본적인 욕구 중의 하나가 타자와의 '완전한 공감'이라고 할 때 이 순간은 그 욕구가 충족되는 흔치않은 시간이었음에 분명하다.

흔히들 '공감'이라고 하면 우리는 문화적인 차원을 떠올린다. 소설을 읽거나 영화나 드라마를 보고 웃거나 울거나 고개를 끄덕이는 것. 그것이 공감이라고 단순하게 생각한다. 하지만 공감은 그 한자(共感)가 그대로 말해주듯이 좀 더 감각적인 것이다. 누군가 음식을 맛있게 먹는 것을 볼 때, 내 입에 침이 고이는 것이나, 진동하고 있는 핸드폰을 누군가 들었을 때, 그 비슷한 감각을 느끼는 것 같은 감각적인 차원이 공감이다. 자신이 직접 행동하지 않고 상대방의 행동을 보기만 하더라도 뇌신경이 반응하며 그 감각을 느끼는(공명현상이라고 한다) 이른바 신경학에서 발견한 '거울 뉴런'의 존재는 '공감'의 매커니즘을 과학적으로 설명해준다. 따라서 거기 굴러다니는 것은 축구공 하나지만 그 공 하나로 인해 공감하는 이들은 전 세계인들이 된다. 그들은 저마다 제각각의 존재이지만 공 하나로 똑같이 감각하게 된다. 집단적인 황홀감은 스포츠의 묘미이고, 거기에는 바로 이 공감의 매커니즘이 숨겨져 있다.

떨어져 있으면서도 실제로 기능하는 이 마법 같은 공감의 힘은 응원이 어째서 경기 결과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가를 설명해주기도 한다. 이길 수 있다는 불굴의 의지가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해질 때, 그것은 경기장에서 뛰고 있는 선수들에게까지 그대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이것은 경기장에서 팀을 이뤄 뛰고 있는 선수들 사이에도 마찬가지다. 누군가 어떤 확신을 준다면 그 팀은 그 공감의 힘으로 경기를 잘 치를 수 있다. 하지만 누군가 두려움에 가득하다면 그것은 고스란히 팀에 나쁜 영향으로 돌아간다.

박지성 선수의 자서전을 보면 히딩크 감독이 한국팀을 4강까지 가져갈 수 있게 한 원동력으로 '팀플레이 정신'을 자주 찾아낼 수 있다. 박지성은 "우리가 싸우는 것은 어느 한 개인을 이기는 것이 아니라 경기를 이기는 것이다"라고 하면서 개개인이 아니라 팀이 하나가 되어 움직일 때 경기를 이길 수 있다고 자주 말해왔다. 히딩크 감독은 자주 경기를 뛰면서 전체 팀원들의 그림을 그리고 그 속에서 자신이 어떻게 움직여야 하는지를 생각하라고 주문했다고 한다. 이것은 어떤 차원으로 보면 일종의 '공감 훈련'인 셈이다. 11명의 선수가 제 각각이 아니라 모두 똑같은 감각으로 하나의 유기체처럼 움직인다면, 그 팀은 개개인의 역량이 다소 떨어지더라도 쉽게 이길 수 없을 것이다. 히딩크가 강조했고 박지성이 자주 언급했던 한국팀의 힘은 바로 이 팀플레이라고 흔히 부르는 공감능력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축구는 공감의 스포츠다. 경기장에서 뛰는 선수들은 다른 선수들과 서로 공감하며 제각각이 아니라 하나의 팀으로 달려야 승리할 수 있고, 그걸 바라보는 관중들은 자신들의 염원을 응원에 담아 선수들에게 보냄으로써 승리를 공감하려 애쓴다. 그러니 벌써 8년이 지난 2002년 월드컵에서 골이 터지는 그 장면을 보면서 아직도 가슴이 두근두근한 그 이유를 알 것이다. 그 장면들은 다름 아닌 우리가 그토록 욕망하는 완전한 공감을 했던 인생에 흔치않은 순간이기 때문이다.

모두들 아르헨티나를 강팀이라고 한다. 그 팀에는 이름만 들어도 모두가 고개를 끄덕이는 세계적인 축구스타들이 즐비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개인적 역량이 뛰어난 스타 선수들이 많다고 해서 그들을 강팀이라고 부르는 것은 잘못됐다. 진정한 강팀은 각각의 선수들의 역량이 아니라, 하나의 팀이 마치 한 몸처럼 공감하며 움직일 때 탄생하는 것이다. 그런 면으로 보면 우리 팀은 분명 강팀이라고 불러도 부족하지 않을 면모를 갖고 있다고 생각된다. 승패는 알 수 없지만 적어도 강팀으로서의 면모를 발휘해주기를 바란다. 그것은 선수들과 똑같이 공감하는 관객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일 테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