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공포에서 전쟁까지... 이게 다 가족 때문이다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공포에서 전쟁까지... 이게 다 가족 때문이다

D.H.Jung 2010. 7. 13. 07:12
728x90

드라마 속 가족애, 집착인가, 보편적 정서인가

"난 보고 싶은 사람이 있다. 너희들도 보고 싶은 사람이 있을 것이다. 내 맘이나 니들 맘이나 다 같을 테니까. 근데 저 산을 넘어야 고향으로 돌아갈 수가 있다. 너희들도 알잖아. 여기서 목숨이나 부지하면서 벌벌 떨고 있어야 보고 싶은 가족, 만나고 싶은 사람 못 만난다는 거. 난 만나고 싶다. 보고 싶다. 그래서 가는 거다." '로드 넘버 원'에서 이장우(소지섭)가 고지 점령을 위한 자원 특공대를 조직하는 이유는 적을 섬멸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그는 고향에 돌아가고 싶은 것이다. 그 곳으로 돌아가야 보고 싶은 가족, 만나고 싶은 사람을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60년 전 한국전쟁이라는 소재가 2010년 시청자를 만나는 지점이다. 거기에는 그 때나 지금이나 변함없는 가족의 그림자가 어른거린다.

전쟁이라는 소재를 다루는 드라마의 귀결이 가족애(인간애)라는 점은 분명 그 자체로도 의미 있는 일이다. 그것은 반전의 또 다른 표현이니까. 하지만 우리네 드라마들의 가족에 대한 집착이 유독 강하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 7,80년대의 강남개발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암투와 복수를 다루고 있는 '자이언트'도 그 밑바닥에 깔려있는 것은 다름 아닌 가족애다. 조필연(정보석)에 의해 뿔뿔이 흩어진 강모(이범수)의 가족들이 성장해서도 서로를 찾기 위해 애를 태우는 장면은 이 시대극 속에 담겨진 복마전을 방불케 하는 치열한 암투와 성공에 대한 욕망에 어떤 근거를 세워준다. 여동생 미주(황정음)를 만난 강모는 자신이 성공하려는 이유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난 서울에서 제일 높은 빌딩을 지을 거다. 그리고 그 꼭대기층에서 우리 가족이 다 모여서 살게 할 거다." 어찌 보면 비뚤어진 욕망일 수도 있는 과도한 성공에 대한 집착은 이 '가족'이라는 목적 앞에서 눈 녹듯 녹아버린다.

'제빵왕 김탁구'는 김탁구(윤시윤)라는 제빵업계의 입지전적인 인물의 성공스토리를 그리고 있지만, 역시 여기서도 발견되는 것은 끈끈한 가족애다. 김탁구가 꿋꿋이 살아가는 이유는 바로 어머니다. 이미 죽었을 지도 모르는 어머니를 절대 포기하지 않는 그 마음은, 그가 어머니를 찾기 위해 했던 그 어떤 행동도 정당화시킨다. 70년대의 폭력적인 분위기가 드라마 전체를 뒤덮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이 드라마는 그 속에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한 김탁구의 절절한 사랑을 집어넣는 것으로 보편적인 정서로 회귀시킨다.

가족애에 대한 집착은 심지어 '구미호 여우누이뎐' 같은 공포물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이 작품에서 구미호(한은정)는 자신의 딸 연이(김유정)를 구하기 위해서는 뭐든 하는 강력한 모성애의 소유자로 등장한다. 한편 연이를 노리는 윤두수(장현성)의 비정함 역시 죽을 운명에 빠진 자신의 딸 초옥(서신애)을 구하기 위한 부성애로 그려진다. 즉 '구미호 여우누이뎐'은 서로 자신들의 딸을 구해내기 위한 모성애와 부성애의 대결이 핵심이다.

우리 드라마에 있어서 가족의 힘은 이처럼 막강하다. 전쟁 드라마 속에서도 가족은 피어나 어떤 공감을 전해주고, 비뚤어진 욕망의 질주 속에서도, 폭력적인 분위기 속에서도, 심지어 공포물에서도 가족애는 보는 이를 보편적인 정서 속에 안정시킨다. 무엇보다 시대가 흘러도 변치 않는 강력한 힘으로서 '가족'은 시간의 장벽을 훌쩍 넘게 해준다. 물론 가족애는 자칫 욕망을 정당화시키는 핏줄의식으로 변질될 위험성도 있다. 하지만 이 보편적인 정서가 우리는 물론이고 해외에까지 어떤 감흥을 주는 것만은 분명한 사실이다. 다만 가족애가 가진 이 거대한 힘을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게 하느냐는 여전히 남은 숙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