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남자', 유리가면 뒤에 숨겨진 자본의 얼굴
'여기 아무도 기억하지 않는 이들이 있다. 기억에서 조차 사라진 이들은 이렇게 작고 초라한 죽음으로 남아있는데 그들은 죽음으로 몬 사람들은 여전히 평온하다...(중략) 그들에게서 모든 걸 빼앗을 수만 있다면 난 기꺼이 악마이길 선택한다. 신이 그들 편이라면 악마는 나의 편이다. 나는 아무 것도 두렵지 않다.' '나쁜 남자'의 심건욱(김남길)이 살해된 부모의 묘 앞에서 오열하며 하는 이 내레이션은 일종의 선언문 같다. 심건욱은 "알량한 자존심 때문에 다른 사람 인생 따위는 벌레보다 더 하찮게 여기는 해신이라는 그 껍데기를 쓴 그 인간들"을 무참히 부숴버릴 것이라 선언한다.
도대체 해신(으로 대변되는 인간들)은 무엇이고, 그들이 심건욱과 그 가족들에게 한 짓은 무엇일까. 그들이 무엇을 했기에 심건욱이라는 남자를 나쁘게 만든 걸까. 어린 시절 그를 입양했다 친자식이 아니라는 것이 밝혀진 후 파양했다는 사실 때문일까. 아니면 그렇게 파양되면서 돌아가려던 부모마저 죽음에 이른 그 비극적인 운명 때문일까. 물론 그것이 심건욱에게 벌어진 비극적인 사건이지만 그것이 이 나쁜 남자가 그토록 부숴버리려는 해신의 실체를 전부 말해주는 것은 아니다. 해신은 좀 더 보편적으로 바라보면 우리가 살아가는 자본의 얼굴을 대변한다.
높은 빌딩과 화려한 파티, 값비싼 스포츠카와 요트, 갖고 있지만 사용하지도 않는 오피스텔. 해신이라는 자본이 가진 외모는 실로 유혹적이다. 거기 살아가는 이들은 명품백에 우아한 옷, 게다가 자본에 의해 잘 관리된 외모로 보는 이들을 선망하게 만든다. 문재인(한가인)이라는 캐릭터는 우리 같은 보통 사람의 시선으로 이 해신을 기웃거린다. 이 단단한 자본의 틀 안에서 태생적으로 평범하게 살도록 운명 지워진 그녀가 홍태성(김재욱)에게 의도적으로 접근하고 신여사(김혜옥) 앞에서 고개를 숙이는 이유는 그 해신이라는 자본 속으로 자신도 편입되고 싶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것은 그녀의 판타지일 뿐이다. 홍태성에게 접근해 그 어떤 선을 넘어서는 순간, 신여사는 그녀의 뺨을 때리며 "네까짓 게 뭔데 선을 넘어오려고" 하느냐며 다시 선을 긋는다. 그렇게 모욕을 당하면서도 다음날 다시 회사에 출근한 그녀는 오히려 신여사에게 사과를 한다. 잘못한 것도 없지만 생존하기 위해서. 우리가 문재인이라는 조금은 속물적인 캐릭터에 깊이 공감하는 이유는 그녀가 우리 같은 보통 샐러리맨들의 삶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매번 자본의 세계 속으로 출근해 때론 모욕을 받으면서도 그 쥐꼬리 만한 월급으로 대변되는 자본의 줄 한 자락을 잡기 위해 오히려 고개를 숙이며 살아가고 있지 않나.
해신으로 대변되는 자본의 추악한 이면을 드러내기 위해 그 유리가면을 깨버리려는 나쁜 남자 심건욱은 경험적으로 그 실체를 아는 인물이다. 하지만 그 역시 이 자본의 욕망에서 자유롭지 않다. 그래서 문재인이 홍태성에게 접근하고 그 해신으로 편입되려는 욕망을 이해한다. "나는 어떻게든 홍태성이랑 결혼해서 저 사람들 가족으로 만들 테니까. 나까지 밟고 올라오고 싶으면 어디 니 마음대로 한번 해봐." 심건욱이 해신에 복수하려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 문재인이 그에게 하는 이 말은 그래서 자본에 대한 두 태도의 대결처럼 보인다. 편입되려는 욕구와 파괴하려는 욕구. 이 양반감정은 우리네 현대인들이 자본에 대해 동시에 갖는 두 가지 태도를 그대로 보여준다.
사실 심건욱이 본래 홍태성이었다거나 그렇지 않다거나 하는 문제는 극적 재미를 주는 것은 분명하지만 이 드라마가 전하려는 메시지에는 그다지 중요한 건 아니다. '나쁜 남자'가 말하려는 것은 겉보기에는 우아해 보이지만 그 실체는 추악한 해신이라는 얼굴을 낱낱이 드러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문재인이 사표를 내고 나오면서 신여사에게 "멀리서 봤을 때 그 우아해보였던 모습의 실체를 본 게 가장 실망스러웠던 일"이라고 말하는 건, 그녀 역시 이제 심건욱이라는 나쁜 남자를 통해 막연히 동경했던 세상의 실체를 보게 됐다는 걸 말해준다.
그래서 '나쁜 남자'는 마치 제목만 두고 보면 현 트렌드를 반영하는 멜로처럼 보이지만 그 멜로 이면의 사회극을 담고 있는 드라마다. "나쁘다"고 스스로 말하지만 진짜 나쁜 것은 그를 그런 '나쁜 남자'로 만든 세상이다. 물론 드라마는 후반부에 이르러 신여사로 대변되는 절대악에 의해 만들어진 불행한 한 가족사로 회귀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래도 이 드라마가 벗겨낸 자본의 유리가면은 여전히 우리들의 가슴을 서늘하게 만든다.
멜로라는 가면을 쓰고 사회의 부조리함을 거침없이 끄집어낸 '나쁜 남자'는 이 장르를 넘나들며 능수능란하게 이야기를 전개해낸 대본의 힘과, 미스테리와 스릴러적인 요소에 절절한 멜로를 잘 연결한 연출력, 그리고 무엇보다 김남길에서부터 오연수, 한가인, 김재욱은 물론이고 드라마를 팽팽하게 만들어낸 악역으로서의 김혜옥 같은 연기자들의 발군의 연기력(사실 이 드라마를 통해 발견된 것이나 다름없는)이 잘 어우러져 보기 드문 수작을 만들어냈다.
"어떻게 천 원짜리도 하나 안 갖고 다니냐. 동그라미 하나 적다고 무시하면 못써요." 재인의 동생 원인(심은경)의 요구에 홍태성이 지갑에서 오만 원짜리를 꺼내 주자 그녀가 건네는 이 말은 유머처럼 보이지만 사실 그 안에 깊은 페이소스를 담고 있다. 뭐든 손만 내밀면 다 가질 수 있고 할 수 있는 돈. 하지만 그래서 추악해질 수 있는 돈의 세계는 우리가 늘 경험하는 바로 그 세계의 실체다. 우리가 '나쁜 남자'에 깊게 공감했던 이유는 바로 이 세계를 나쁜 남자의 시선으로 들여다봤기 때문일 것이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이언트'와 '동이', 무엇이 성패를 갈랐나 (4) | 2010.08.10 |
---|---|
'글로리아', 이 착한 주말극이 기대되는 이유 (1) | 2010.08.07 |
'자이언트'의 대반전, 무엇이 거인을 일으켰나 (1) | 2010.08.04 |
70년대가 피었습니다, 활짝! (2) | 2010.07.29 |
'로드 넘버 원', 사전제작드라마가 아니었다면 (1) | 2010.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