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자이언트'의 대반전, 무엇이 거인을 일으켰나

728x90

시대극과 캐릭터, 그리고 보편적 가족애

'자이언트'에서 박소태(이문식)라는 캐릭터는 독특하다. 그는 주인공 이강모(이범수)와 어린 시절 함께 구두닦이를 하며 생존해온 인물. 어찌 보면 가까운 절친이지만, 그 하는 짓은 영락없는 강모의 적이다. 그는 정식(김정현)이 살인을 저지르고 그 혐의를 강모에게 뒤집어씌우는 것을 알면서도 돈 몇 푼에 친구를 팔아먹는다. 심지어 강모를 살해하라는 사주를 받고는 감옥까지 일부러 들어오기까지 한다. 그 때마다 강모는 위기를 모면하는데, 그렇다고 강모가 박소태를 처벌하지는 않는다. 박소태는 그런 강모 앞에 참회하는 듯 보이다가도 기회만 잡으면 다시 강모의 적으로 돌아서곤 한다. 결국 노역장에서 다리를 절단하게 될 위기에 처한 그를 구한 강모 앞에 드디어 박소태는 참회의 눈물을 흘린다.

적으로도 보이고 절친으로도 보이는 박소태라는 인물의 끝없는 심적 갈등과 변화는 '자이언트'의 캐릭터들이 왜 생생히 살아 움직이는 지를 잘 말해준다. '자이언트'에는 박소태처럼 주인공은 물론이고 적까지 평면적인 인물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인물들은 상황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한다. 절대악인 것처럼 보이던 인물이 어떤 순간에는 아주 약한 모습을 드러낸다. 보통 드라마의 캐릭터가 한 일면으로 극화되는 경향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조민우(주상욱)는 조필연(정보석)의 아들로서 강모와 대립하는 인물이지만, 미주(황정음)와의 관계 속에서는 전혀 다른 얼굴을 보여준다.

캐릭터에 대한 다차원적인 조명은 단지 캐릭터를 생생하게 하는 것에 멈추지 않는다. 이렇게 어떤 틀에 묶이지 않는 캐릭터들은 이야기의 가능성을 극대화시킨다. 캐릭터들의 변화가 당연한 것처럼 여겨지기 때문에, 이야기도 복수극이라면 늘상 반복되는 선악구도 그 이상을 넘어선다. '자이언트'를 보면서 도무지 종잡을 수 없는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천변만화의 스토리가 놀라웠다면 그것은 바로 이런 '자이언트'만의 캐릭터들 때문에 가능해진 것들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스토리가 자칫 대중들에게는 복잡하게 다가갈 수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자이언트'는 여기에 두 가지 안전장치를 마련해두었다. 그 하나는 우리가 이미 잘 알고 있는 시대적 사건을 배경으로 채용한다는 점이다. 광주민주화운동이나 삼청교육대 같은 시대적 비극 속에서 캐릭터들의 움직임은 그 어떤 가상의 사건들보다 더 잘 이해가 된다. 이것은 거꾸로 얘기하면 시대극이 가진 한계(이미 결과를 다 알 수밖에 없는)를 오히려 가능성으로 바꿨다는 얘기다. 단순해 보일 수 있는 시대극의 사건들 속에 조금은 복잡한 심리변화를 겪는 인물들을 집어넣어 긴박감을 살려낸 것.

이밖에 또 다른 안전장치는 가족이다. 시대극은 자칫 그 거대한 흐름 때문에 사건들이 응집되지 못하고 뿔뿔이 흩어질 수 있지만, '자이언트'는 그 시대를 온몸으로 겪는 가족을 통해 그려냄으로써 그 위험성을 벗어난다. 게다가 이 가족이란 코드는 자칫 정치적으로 흐를 이야기를 보편적으로 되돌려놓는 장치이기도 하다. 인물들은 권력과 욕망을 향해 달려가지만, 거기에는 끈끈한 가족애가 궁극적인 목적으로 제시된다는 점에서 면죄부를 얻는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이 가족코드가 좀 더 폭넓은 시청층을 끌어들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그려진다는 점이다. '자이언트'의 강모와 성모(박상민) 그리고 미주가 만나는 그 시점부터 시청률이 상승곡선을 그렸다는 사실은 이를 잘 말해준다.

'자이언트'가 초반 부진을 깨고 대반전에 성공한 것은 위에서 언급한 세 가지 지점들이 균형을 맞추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시대극이라는 조금은 느슨할 수 있는 시대적 사건을 배경으로 삼고, 그 위에 천변만화하는 캐릭터들의 치열한 심리전이 긴박감을 높이면서도, 가족애 같은 보편적인 정서를 놓치지 않은 점. 이것이 바로 '자이언트'라는 거인을 다시 일으킨 요소들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