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블랙스완’, 소름은 어떻게 전율이 되었나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블랙스완’, 소름은 어떻게 전율이 되었나

D.H.Jung 2011. 3. 8. 07:48
728x90

 ‘블랙스완’, 예술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블랙스완'(사진출처:20세기폭스)

“느꼈어요. 저는 완벽했어요.” 니나(나탈리 포트만)가 무대 마지막에 이런 얘기를 건넬 때 아마도 대부분의 관객들도 똑같이 느꼈을 것이다. 그 완벽함에 대한 전율을.

‘블랙스완’. 발레를 소재로 하고 있는 이 작품은 제목처럼 백조가 아닌 흑조를 다룬다. 그러니 발레라는 백조의 겉모습을 생각하고 극장문을 들어선 관객이라면, 그 충격적인 흑조의 모습을 발견하고는 경악을 금치 못할 지도 모른다. 휴먼드라마 같은 장르를 기대했다면, 심지어 공포에 가까운 파격적인 영상으로 주인공의 이상 심리를 포착한 이 작품을 과잉으로 여길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적어도 예술의 겉면이 아니라 그 뒷면을 경험하거나 목도한 적이 있는 관객이라면 그 소름끼치게 충격적인 장면들에 두려움을 느끼면서도 그 과정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걸어가는 니나에게서 전율을 느낄 지도 모른다.

백조로서는 더할 나위 없는 우아함을 보여주는 발레리나 니나. 솔로이스트로서 주인공이 되고 싶은 게 그녀의 꿈이지만, 그 우아함 이상의 욕망의 흑조를 더불어 연기해야 하는 (재해석된) ‘백조의 호수’의 주인공 자리를 차지하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물론 어떤 역이든 완벽하게 연기해내는 능력을 갖고 있으며 또 늘 완벽해지고 싶은 그녀에게 이 공연을 총감독하고 있는 토마스 르로이(뱅상 카셀)는 말한다. “완벽함이란 통제하는 것만이 아니야, 흘러가게 두는 것이기도 해.” 즉 겉면으로서의 백조가 아닌 내면에 잠재된 욕망으로서의 흑조를 끄집어내기 위해서는 통제하려는 자신을 버리고 본능을 끄집어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녀의 본능은 끝없이 통제되도록 훈련되어져 왔다. 발레리나를 꿈꾸었지만 자신을 임신한 것 때문에 그 꿈을 포기했다고 주장하며 그녀를 늘 죄책감에 빠뜨리는 엄마는 그녀를 오르골을 열면 돌아가는 발레리나 인형처럼 통제하려 한다. 게다가 솔로이스트로 서 있다가 자신에게 밀려난 절망감에 자동차로 뛰어든 베스(위노나 라이더)에 대한 죄책감과, 친구처럼 다가와 “즐기면서 살라”는 릴리(밀라 쿠니스)에 대한 경쟁심리와 두려움은 그녀를 끝없이 괴롭힌다.

백조로서 우아한 척 살아가는 그 세계에 머물렀다면 느끼지 않았을 고통을 그녀는 솔로이스트가 되면서 갖게 된다. 즉 흑조를 받아들이기 위해, 그간 통제해 왔던 자신의 본능을 열어젖혀야 하는 상황에 도달한 것이다. 본능의 분출은 그것을 통제하려는 자신과 그 주변의 상황들(특히 인물들에 대한 죄책감과 두려움, 그리고 공격성으로 복잡하게 얽힌 심리)과의 일대 전쟁을 의미한다. 영화는 니나가 흑조가 되기 위해 겪는 예술가적 투쟁의 과정을 일일이 보여줌으로써 그 내면을 시각화한다.

엄마의 통제를 부정하고, 숨겼던 성적 본능을 분출하며, 베스에 대한 죄책감과 릴리에 대한 경쟁심리를 이겨내는 과정은 그래서 피와 살점이 튀는 끔찍한 장면들로 그려지지만, 그것이 고스란히 한 예술가가 자기 성장을 통해 예술을 완성해가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어떤 감동에 도달하게 만든다. 특히 몸을 하나의 도구로서 사용하는 발레라는 예술형식의 속성상 이 껍질을 깨고 나오는 몸의 고통스런 장면들은 끔찍하다기보다는 작품의 메시지를 머릿속이 아니라 감각적으로도 분명하게 각인시킨다. 등짝을 파고 나오는 날개는 아름다워 보이지만 그 피부를 뚫는 고통이 수반되기 마련이다.

흥미로운 것은 백조가 흑조가 되는 이 성장과정을 ‘백조의 호수’라는 작품 속에서의 니나의 발레리나로서의 성장과정과, 엄마의 그늘에서 벗어나 독립하는 니나라는 캐릭터의 성장과정, 그리고 이를 연기한 연기자 나탈리 포트만의 성장과정을 중첩시켜 놓았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과정을 하나로 묶어낸 영화 역시 예술적인 느낌을 갖게 된다. 이 과정을 통해서 ‘블랙스완’은 한 예술(가)의 탄생이 얼마나 고통스러운 작업인가를 보여준다. ‘블랙스완’은 멀리서 바라보면 우아한 백조처럼 보이지만 아주 가까이서 보면 피와 눈물이 철철 넘치는 흑조들의 고군분투를 소름에서 전율로 느끼게 만드는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