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60초의 위력, '슈스케3'를 알겠네

728x90


광고시간도 기다림으로 채우는 '슈스케'의 힘

'슈퍼스타K3'(사진출처:Mnet)

"60초 후에 공개됩니다." '슈퍼스타K'에서 김성주 아나운서의 트레이드마크가 된 이 멘트는 사실 광고 소개나 마찬가지다. 케이블 채널이라는 특성에 맞춰 중간 광고를 60초 넣게 되면서 생긴 것이다. 따라서 프로그램 도중 뚝 끊기고 광고가 나오는 것을 인식한다면 시청자들은 불만을 제기할 수도 있다. 하지만 웬걸? 김성주 아나운서가 이 멘트를 던지는 순간, 불만보다는 기대감 섞인 웃음이 나오는 건 왜일까. 도대체 무엇이 불만을 기대로 바꾼 것일까.

이 멘트가 거의 유행어가 된 이유는 그 멘트가 사용되는 지점과 관련이 있다. 즉 이 멘트는 '슈퍼스타K'라는 오디션 경쟁에서 가장 긴장감이 높은 하이라이트 지점에 포진되어 있다. 이 멘트는 본선 이전의 예선에서는 출연자들에게 어떤 상황이나 사건이 벌어졌고 그것에 대한 의문이나 궁금증이 커지는 지점에 들어갔으며, 본선에서는 어김없이 탈락자 발표 순간에 들어간다. "이번 오디션의 탈락자는..."하고 잠시 시청자와 밀고 당기는 김성주 아나운서의 입에 시청자와 관객의 눈길이 집중되었을 때, 그 긴장감을 무너뜨리며 "60초"가 언급된다.

이렇게 되자 '60초'의 시간은 광고가 송출되는 시간이 아니라 결과 발표를 기다리는 기대감의 시간으로 바뀐다. '60초'는 가장 중요한 순간임을 알리는 시청자와의 약속어가 된 셈이다. 무엇보다 막연한 '잠시 후'가 아니라 '60초'라는, 구체적인 시간이라는 점이 중요하다. 만일 '잠시 후'라고 했다면 언제 프로그램이 시작될 지 알 수 없는 시청자들은 채널을 돌릴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60초다. 그 구체적인 60초는 시청자들을 기대감에 충분히 기다리게 해준다.

물론 '60초 후에 공개됩니다'라는 멘트가 이렇게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전제가 필요하다. 그 첫째는 김성주 아나운서의 이른바 '기다리는 것이 오히려 즐거워지게 되는' 진행방식에 익숙해지는 것이다. 김성주 아나운서는 스포츠 아나운서 출신답게 '슈퍼스타K'라는 무대를 온전히 하나의 스포츠 게임처럼 구성하는 능력이 있다. 출연자를 소개할 때는 마치 권투나 이종격투기 경기의 그것을 연상시키고, 노래를 부른 출연자들을 세워두고 심사위원의 평가를 받을 때는 마치 중간에 선 심판 같은 인상을 만들어낸다. 물론 탈락자 발표에 있어서 밀고 당기며 시청자들의 마음을 쥐락펴락하는 능력은 그의 진행의 백미다. 이런 진행 방식 때문에 우리는 기꺼이 '60초'를 기다릴 수 있는 마음이 된다. 그것은 즐거움을 위한 것이니까.

하지만 무엇보다 더 중요한 건 두 번째 전제다. 그것은 이 오디션 프로그램의 경연 자체가 누가 남고 누가 탈락할 것인지 우열을 가리기 힘들 정도로 팽팽하다는 데 있다. 만일 우열이 확실히 갈린다면 마지막 탈락자 발표 순간의 '60초'는 밋밋해질 수밖에 없다. 이렇게 되면 그 시간 또한 지루해질 것이다. 하지만 모두가 숨은 실력자로 무대 위에 오른 그들의 경연은 결과를 예측하기가 어렵다. 도대체 이 이미 자신들만의 스타일이 완성된 듯한 팀들의 우열을 어떻게 예측할 것인가.

많은 다른 오디션 프로그램들이 생겨나고 있지만 '슈퍼스타K'가 독보적인 프로그램으로 인식되는 것은 바로 이 경중을 평가할 수 없는 뛰어난 실력의 참가자들 덕분이다. 이것은 아마도 가장 인지도가 높은 오디션 프로그램으로서 당연히 가장 많은 경쟁자들이 몰리기 때문일 것이다. 많이 오기 때문에 그만큼 실력자도 많은 셈이다. 프로그램 중간에 떡 하니 60초 정도는 기다리게 만들 수 있는 힘. 광고시간마저 궁금증과 기대감으로 채우는 '60초'의 위력은 그래서 거꾸로 이 프로그램이 갖고 있는 참가자들의 높은 질적 수준을 얘기해주는 것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