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뿌리' 도대체 미친 존재감이 몇이야?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뿌리' 도대체 미친 존재감이 몇이야?

D.H.Jung 2011. 12. 9. 11:05
728x90


'뿌리 깊은 나무', 미친 존재감의 사극

'뿌리깊은나무'(사진출처:SBS)

도대체 숨겨진 미친 존재감이 얼마나 되는 걸까. 사극 '뿌리 깊은 나무'는 까면 깔수록 더 강한 존재감의 캐릭터들이 등장하는 양파(?) 사극이다. 그 첫 번째는 태종 이방원(백윤식)이었다. 목적을 위해서는 아들을 사지에 내몰 수도 있을 정도로 강력한 카리스마의 이방원은 이 사극이 넘어야 할 하나의 전제를 만들었다. 즉 칼의 힘으로 통치하는 아버지 이방원을 세워둠으로써, 그 아들인 세종 이도(송중기)에게 트라우마를 안겨주고, 그것을 뛰어넘고 또한 자신이 생각하는 조선을 만들기 위해 한글 창제에 몰두하는 세종의 이야기를 풀어낼 수 있었던 것. 따라서 이방원이 사극 초반에 만들어낸 미친 존재감은 어쩌면 이 사극에서 가장 중요한 일이었는 지도 모른다.

이방원을 세워두자, 자연스럽게 그 대적자가 되어버린 세종 이도의 캐릭터가 빛을 발하기 시작한다. 초반에는 이방원의 칼날 아래 유약하게만 보이던 세종은 그러나 자신이 살릴 첫 번째 백성 똘복 앞에서 이방원에게 맞서면서 미친 존재감을 드러낸다. "내가 조선의 임금이다!"라고 선언하면서 세종은 당당히 자신이 꿈꾸는 조선을 막연히 그리게 된다.

젊은 이도에서 이제 어엿한 임금 티가 나는 이도(한석규)로 넘어오면서도 또 한 번의 미친 존재감이 드러난다. 첫 등장에서부터 "제기랄", "빌어먹을" 같은 욕을 입에 달고 다니고, 똥지게를 지고 다니는 세종의 모습은 그 자체로 백성과 똑같이 생각하려 하는 왕의 풍모를 그려냈다. 세종이 "전하의 잘못이 아니옵니다"고 간하는 소이(신세경)에게 불같이 화를 내며 "모든 것이 나의 잘못이다!"라고 외치는 장면에서는 이 세종의 또 다른 존재감이 드러난다. 그것은 끝없이 백성을 생각하는 그 마음이다.

세종이 아무도 모르게 한글을 창제하고 있는 과정에서 이를 막으려는 세력, 밀본의 존재가 드러나고, 그 밀본의 본원 정기준(윤제문)이 사실은 백정 가리온이었다는 사실은 또 다른 미친 존재감을 보여주었다. 굽신대던 모습에서 점점 굳은 얼굴의 카리스마로 돌아오는 정기준의 모습은 보는 이들을 소름끼치게 만들었다.

이방원에서 젊은 이도, 나이든 이도 그리고 정기준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미친 존재감'이 한 축을 그린다면, 또 다른 축은 무휼(조진웅)과 똘복 강채윤(장혁), 윤평(이수혁), 이방지(우현) 그리고 개파이(김성현)로 이어지는 이른바 무술 실력의 미친 존재감들이다. 사극의 시작을 연 강채윤의 상상 속의 세종 시해 장면에서 그의 강력한 무술 실력이 드러났다면, 그를 막는 존재로서의 내금위장 조선제일검 무휼의 존재감이 생겨났다. 특히 무휼은 세종의 그림자가 되는 인물로서 강인한 무사로서의 면모와 함께 세종 앞에서는 한없이 부드러운 남자로서의 면모도 보여준다.

집현전 살인사건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윤평이라는 고수가 드러나고, 무휼의 대적자로서 출상술의 대가 이방지가 모든 사건의 열쇠를 쥔 인물로 등장하며, 그 이방지를 무너뜨리는 개파이가 등장한다. 이처럼 '뿌리 깊은 나무'는 계속해서 미친 존재감을 드러내는 인물들이 끊임없이 등장해 이야기를 반전시킨다. 여타의 사극에서 미친 존재감으로 등장하는 인물이 한두 명에 국한되는 것과 비교하면 실로 놀라운 인물들의 연속이 아닐 수 없다.

미친 존재감이란 말 그대로 짧은 순간에 강력한 인상을 남기는 인물을 말한다. '뿌리 깊은 나무'에 미친 존재감이 너무나 많게 느껴지는 건, 그 작품의 밀도가 그만큼 높다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즉 짧게 인물이 출연해도 그 순간에 강력한 흔적을 남길 수 있을 만큼 이야기의 얼개가 꽉 짜여져 있다는 것이다. 물론 여기에 연기자들의 공을 뺄 수는 없다. 백윤식, 송중기, 한석규, 윤제문, 조진웅, 장혁, 우현. 이런 연기자들의 열연이 있었기에 이러한 미친 존재감들이 가능했다는 건 분명한 사실이다. 이렇게 강력한 존재감을 드러내는 캐릭터들이 즐비한 사극이니 그 사극이 미친 존재감을 발휘하는 건 당연할 터. '뿌리 깊은 나무'를 미친 존재감의 사극이라 불러도 무방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