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MBC주말극 男 '무신', 女 '신들의 만찬'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MBC주말극 男 '무신', 女 '신들의 만찬'

D.H.Jung 2012. 2. 15. 09:25
728x90


뻔한 전개, 근데 왜 자꾸 보게 될까

'무신'(사진출처:MBC)

MBC 주말극이 칼을 빼들었다. 고전적인 영웅 서사, '무신'이 남성 시청자를 정조준한 것이라면, 전형적인 가족 서사, '신들의 만찬'은 여성 시청자를 겨냥했다. 그것도 전통적인 드라마 남녀 시청층인 중장년층을 타깃으로 한데다, 주말 밤에 연달아 편성함으로써 하나의 패키지로서의 시너지 효과도 노렸다. 이 정도면 주말의 이 두 작품에 깃든 MBC의 야심을 엿볼 수 있다.

작품은 새롭기보다는 익숙한 것을 가져왔고 대신 자극은 더 강해졌다. '무신'은 잔인한 고문 장면이 꽤 길게(이것은 의도적인 연출이다) 이어졌고, 노예가 된 여자들의 옷을 벗기고 하나의 성노리개처럼 그 몸에 대해 적나라하게 이야기하는 장면이 연출되었다. 사실 이미 미드로 유명한 '스파르타쿠스' 같은 작품을 본 시청자라면 이 정도 연출은 아무 것도 아니라고 여겨질 법하다. 하지만 그래도 우리네 지상파를 염두에 두고 본다면 꽤 수위는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자극은 '신들의 만찬'도 마찬가지다. 첫 회부터 유람선을 타고 가던 중 남편의 외도 사실에 아내가 자살을 기도하는 장면이 나왔고, 그걸 본 아이가 충격에 휩싸여 갑판에 오르다 미끄러져 바다로 떨어지는 장면, 또 자신이 불치병이라는 사실 때문에 아이를 버린 채 자살하려는 여자가 등장했다. 무엇보다 자극적으로 느껴지는 건 종종 이 폭력적인 상황에 아이가 그 대상이라는 점이다.

하지만 이 강렬한 자극의 껍데기를 벗겨내면 그 내용은 익숙하기 이를 데 없는 것들이다. '무신'은 지극히 고전적인 영웅서사를 담았다. 고려 무신정권 시대, 아버지의 대를 이어 최충헌가의 노비였으나 훗날 최고의 위치까지 오르는 인물, 김신을 다루었다. '벤허'에서부터 '글래디에이터', '스파르타쿠스' 같은 고전적인 영웅담은 물론이고, 그 전통을 그대로 밟아 만들어졌던 '태조 왕건', '해신', '대조영'과도 스토리구조에 있어서 궤를 같이 하는 작품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한편 '신들의 만찬'은 이미 그리스 비극 '오이디푸스'에서부터 지금껏 반복되는 그 전형적인 '출생의 비밀' 코드를 전면에 내세웠다. '출생의 비밀' 코드와 '요리 경합'이 붙어 있는 점은 '제빵왕 김탁구'를 떠올리게 하고, 바뀐 인물들이 훗날 제 자리를 찾아가면서 생겨날 파장들은 '미워도 다시 한번'에서부터 '반짝반짝 빛나는'까지 무수히 반복된 우리네 드라마의 틀에 박힌 구조 그대로다.

이처럼 이 '무신'과 '신들의 만찬'은 뻔한 스토리 구조를 갖고 있으면서 대신 그 자극을 높이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그래서 웬만큼 반복된 스토리라고 해도 한 번 보면 계속 보게 되는 힘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즉 이들 작품들은 기대를 뛰어넘는 반전의 드라마가 아니라 기대한대로 흘러가는 드라마다. 그것도 더 강한 자극으로 그 기대를 충족시켜주는 그런 드라마. 뻔한 얘기인데 왜 자꾸 보게 될까 하는 의구심은 바로 이 지점에서 나온다.

물론 약점도 있다. 현재 드라마의 시청률은 남성만을 타깃으로 하거나, 여성만을 타깃으로 해서는 좀체 오르지 않는 상황이다. 그런 점에서 이 두 드라마는 전형적인 스토리라인으로 인해 너무 타깃의 성별이 뚜렷한 점이 강점이자 약점이다. 과연 MBC의 조금은 야심이 지나쳐 보이는 이 전략적인 두 드라마는 과연 선정성과 자극성, 그리고 상투성의 시비를 넘어서 주말 밤의 영토를 빼앗아 올 수 있을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