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하이킥3’의 정극 흉내, 시트콤 아니었나?

728x90


김병욱 감독조차 시트콤이 싫어진 건 아닐까

'하이킥3'(사진출처:MBC)

'하이킥3'는 시트콤이다. 물론 그걸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굳이 이렇게 말하는 이유는 '하이킥3'가 시트콤으로서 가져야할 코미디적인 요소들이 태부족하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코미디적인 요소들이 임팩트 있게 살아나지 않는 '하이킥3'는 그래서 어떨 때는 청춘 멜로물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서지석과 박하선의 '손발이 오그라드는 애정행각'과 윤계상, 김지원, 안종석의 빗나간 큐피드 화살이 만들어내는 안타깝기 그지없는 사랑이 이 시트콤의 중심축처럼 여겨진다.

시트콤이라고 해서 멜로가 불필요하다는 건 아니다. 아니 어쩌면 잘 짜여진 멜로는 발랄한 코미디와 대비를 이루면서 시트콤의 새로운 재미를 덧붙여주기도 한다. 하지만 그것은 시트콤으로서의 충분한 웃음을 담보했을 때 얘기다. 그게 아니라면 시트콤은 코미디라는 본질 자체를 흐리게 될 수도 있다. '하이킥3'를 보려고 채널을 돌리는 시청자는 분명 시트콤을 기대할 것이다. 그런데 가슴이 먹먹해지는 안타까운 멜로를 접하게 된다면 어떨까? 당혹감을 느낄 수 있다. 물론 처음에는 신선하게 여겨지겠지만 그게 매번 반복적으로 보여진다면 '이거 시트콤 맞아?' 하는 의구심은 당연하게 생길 수밖에 없다.

물론 르완다로 떠나려는 윤계상과, 그를 일방적으로 좋아하는 김지원, 그리고 그녀를 좋아하는 안종석의 관계는 지극히 상투적이지만 그 안에 디테일들은 꽤 마음을 끄는 구석이 있다. 자신도 똑같은 사랑의 열병을 앓고 있는 안종석이 윤계상을 혼자 좋아하는 김지원의 마음을 이해하고, 그녀를 윤계상에게 데려다 주는 장면은 우리의 마음을 뒤흔든다. 오토바이 사고로 정작 자신도 인대가 늘어나는 상처를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잠시 기절한 그녀를 업고 응급실로 달려가는 장면은 이 한 방향으로만 흐르는 안타까운 사랑의 관계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하지만 '하이킥3'가 시트콤으로서 주어야 할 웃음의 포인트는 이 자못 애절한 멜로만큼 강하지 못하다. 안내상은 윤유선에게 매 맞는 가장의 모습을 보여주고는 있지만 어딘지 약한 느낌이다. '야동순재' 같은 뭔가 확실하게 캐릭터로 부각될 수 있는 에피소드가 없었기 때문이다. 윤계상이나 안종석 그리고 김지원은 멜로의 덫에 갇혀 심각한 캐릭터로 바뀌어 있고, 수정은 안하무인 캐릭터가 웃음을 주기보다는 불편함을 주는 정도에 머물러 있다. 한 회에 한두 마디 정도 대사를 던지는 줄리엔이나 윤건이 이들보다 더 웃음을 주는 캐릭터라는 사실은 아이러니다. 그나마 웃음을 주는 캐릭터는 박하선 정도다. 그녀는 기존 이미지를 뒤엎는 다양한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시트콤다운 웃음을 만들어내고 있다.

혹자는 '시트콤이 거의 정극 같다'는 것을 하나의 장점인 양 말한다. 하지만 이런 시선은 본질이 시트콤인 '하이킥3'에는 맞지 않는 것일뿐더러 아무런 도움도 되지 못한다. 이 시선 속에는 은연 중에 시트콤보다 정극이 우위라는 편견이 깔려 있다. 하지만 시트콤은 시트콤이다. 웃음을 주어야 하고, 바로 그런 점 때문에 정극에는 없는 시트콤만의 장점이 생기는 것이 아닌가.

시트콤을 하위장르로 바라보는 시선 때문에 한때 잘 나가던 시트콤 작가들이 정극으로 빠져나가게 된 것이 시트콤의 몰락을 부른 이유다. 웃음을 제조하던 작가들이 없으니 시트콤에 걸 맞는 웃음의 에피소드들이 풍성할 수가 없다. 김병욱 감독 혼자 이 많은 회차의 웃음 포인트를 만들어내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 그러니 더더욱 어려울 수밖에. 하지만 시트콤을 바라보는 시선은 여전히 낮다. 그래서일까. 김병욱 감독조차 시트콤이 싫어진 건 아닐까 하는 의구심이 들 때가 있다. 자꾸 '하이킥3'에서(어쩌면 '지붕 뚫고 하이킥'에서부터) 시트콤이 아닌 정극이 되고 싶은 욕구를 읽게 되는 건 왜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