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건축학개론'의 배우들, 드라마에서는 왜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건축학개론'의 배우들, 드라마에서는 왜

D.H.Jung 2012. 4. 8. 08:33
728x90

'건축학개론'을 통해 보는 연기력 논란의 실체

요즘 영화계의 화제는 단연 '건축학개론'이다. 첫사랑에 대한 멜로를 시공간을 활용해 '건축적'으로 잘 축성한 이 영화에서 단연 주목을 끄는 배우는 이제훈이다. 첫사랑의 설렘과 두근거림 그리고 절망을 그는 앙다문 입과 순수한 눈빛 하나만으로도 잘 표현해냈다. 그런데 이 연기 잘하는 신예답지 않은 신예(물론 그는 영화 '파수꾼'이나 '고지전'을 통해 그 가능성을 보여준 배우다)가 처음 '패션왕'이라는 드라마에 출연했을 때는 심지어 연기력 논란마저 겪어야 했다.

 

사진출처: 건축학개론

'패션왕'에서의 재혁이라는 캐릭터는 '건축학개론'의 승민과는 완전히 정반대의 인물이다. 승민이 순수함과 따뜻함 그 자체라면 재혁은 노련함과 차가움을 보여주는 캐릭터다. 초반 그 차가움을 드러내기 위해 표정을 잘 보이지 않았던 데서 연기력 논란이 흘러나왔다. 아마도 본인은 자연스러운 연기를 하려 한 것일 게다. 하지만 드라마라는 장르는 어딘지 영화와는 달리 '연기하는 톤'이 드러나는 걸 요구하기도 하고, 때로는 과장 연기를 요구하기도 한다.

이것은 몰입 자체가 다르기 때문이다. 영화는 특정 공간에서 완전 몰입해 감상하는 반면(그래서 집중도가 더 높다), 드라마는 생활의 공간 속에서 이런 저런 일을 하며 슬쩍슬쩍 보기도 하는 장르다. 그러니 뭔가 연기가 보이지 않으면 안한 것 같은 느낌을 가질 수도 있다. 다행스러운 건 이제훈이 차츰 드라마에 적응하며 악역으로서의 재혁의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는 사실이다. 확실한 건 이 단단한 신예는 분명 앞으로 배우로서 확실한 자기만의 세계를 구축할 거라는 믿음을 주고 있다는 것이다.

'해를 품은 달'에서 연기력 논란에 휘말렸던 한가인은 확실히 '건축학개론'에서는 제 옷을 입은 편안한 느낌이다. 이것은 드라마와 영화의 장르적 차이라기보다는(그녀는 이미 둘 다 충분히 경험했다) 사극과 현대극의 차이 때문이다. '해를 품은 달'에서 첫 사극 연기로서 한가인은 많은 단점을 드러냈던 것이 사실이다. 대사의 톤을 맞추지 못했고, 그러다보니 역할에 동화되지 못하고 흉내 내는 것 같은 인상이 짙었다. 하지만 '건축학개론'은 달랐다. 완성도가 지상과제인 영화와 순발력이 더 요구되는 드라마적인 차이도 분명 있었을 것이다.

물론 연기자들의 몰입도에 따라 그 연기력이 달라보였을 것이지만, 이처럼 장르적인 차이와 그로 인한 작업방식의 차이에 의해 연기자들은 전혀 다른 면모를 보여줄 수도 있다. 물론 이제훈과 한가인의 연기력을 이런 식으로 같은 선상에 놓고 비교할 수는 없는 일이다. 확실히 이제훈이 보여주는 연기는 더 오래 연예계에 발을 담아왔던 한가인보다 훨씬 단단하게 느껴지는 것이 분명하니까. 하지만 또 한 편으로 영화와 드라마가 가진 장르적 차이가 우리가 흔히 통칭해서 부르는 '연기력 논란'에도 작용하고 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이것은 또한 드라마의 연출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즉 지극히 드라마적인 드라마들(예를 들면 가족드라마나 일일드라마 같은 관습적인 연출을 하는) 속에서 캐릭터들은 조금씩은 과장되어 있기 마련이다. 따라서 연기도 조금은 연극 톤으로 과장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최근 들어 등장하고 있는 영화 같은 드라마들은 사뭇 다르다. 이들 드라마들은 과장된 연기보다는 자연스러운 연기를 연출 속에 녹여내려 한다. '건축학개론'에서 승민의 친구로 나온 납뜩이 역할의 조정석이 '더킹 투하츠'에서 제 옷을 입은 듯 자연스럽게 연기하는 건 그 때문일 게다.

조정석은 '건축학개론'에서 말 그대로의 '미친 존재감'을 보여주었다. 이 영화가 멜로라는 틀 속에서 오히려 이 가난한 동네에 살아가는 청춘들의 우정으로 더욱 가슴을 먹먹하게 했던 것은 그것을 껄렁한 농담으로 보여준 조정석의 단단한 연기가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가볍게 여겨지던 납뜩이가 '더킹 투하츠'에서는 은시경이라는 시종일관 진지함을 드러내는 원칙주의자로 변신한다. 여기에 아무런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는 건 조정석의 연기력이 밑바탕 되어 있는 것이지만, 또한 영화적인 연출을 보여주는 '더킹 투하츠'라는 드라마의 연출이 기여하는 부분도 적지 않다.

'건축학개론'에서 말 그대로 재발견된 수지는 연기력이라는 것이 단지 연기자의 능력에만 달린 문제가 아니라는 걸 잘 말해준다. '드림하이'라는 지극히 비현실적인 드라마 속에서 수지가 보여준 그 어떤 배우로서의 매력보다 '건축학개론'의 서연을 넘어서기는 어려울 듯 싶다. 한편 엄태웅은 '건축학개론'에서 조금은 세파에 찌든 나이든 승민을 연기한 것보다 드라마 '적도의 남자'에서의 광기어린 연기가 더 강한 인상을 남긴다. 이것은 아마도 연기력보다는 캐스팅과 캐릭터에 관련된 문제일 것이다.

이처럼 연기력 논란은 단순히 연기자의 문제로만 지목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장르적인 차이에서 비롯되는 것일 수도 있고, 드라마든 영화든 그것을 어떻게 표현해내고 있느냐는 연출의 문제일 수도 있으며, 때로는 캐릭터가 가진 매력의 문제일 수도 있다. 그래도 결국은 제작자의 문제가 가장 크다는 것은 인정할 수밖에 없을 것 같다. 같은 연기자들이 연기를 했지만 연기력 논란은커녕 배우를 재발견시키고 있는 '건축학개론'이 그것을 증명하고 있는 셈이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