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무신', 왜 여성 캐릭터가 살지 않을까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무신', 왜 여성 캐릭터가 살지 않을까

D.H.Jung 2012. 4. 12. 08:06
728x90

김규리에겐 너무 가혹한 '무신'의 대본

 

과거 사극은 다분히 연극적이었다. 스펙터클로 보여주기 힘들었던 전투 장면들은 대부분 장수들이 카메라 앞에 일렬로 죽 서서 "적들이 몰려옵니다!" 식의 대사를 한 마디씩 하는 걸로 채워지곤 했다. 이 과거의 사극이 지나치게 연극적인 느낌을 주는 단적인 장면은 현대적인 드라마에서는 좀체 어색해서 사용하지 않는 독백이 너무 잦다는 것이다. 내레이션으로 처리하면 좀 더 자연스러워질 수 있지만, 굳이 인물이 "어떻게 내가 김준의 이름을 얘기한 거지?" 하는 식의 독백을 하게 하는 건 그것이 하나의 관습이라 여기기 때문인 것 같다.

 

 

'무신'(사진출처:MBC)

하지만 요즘처럼 시청자들의 눈높이가 한껏 높아진 상황에 이런 연극적인 톤은 드라마 몰입을 방해하는 단적인 요소들이다. '무신'은 그런 점에서 장면 자체가 흥미롭다가도 이 몰입을 방해하는 연극적인 톤들과 작위적인 설정에 의해 헛웃음이 나오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 대표적인 캐릭터가 김규리가 연기하는 송이라는 인물이다. 절대 권력을 가진 합하 최우(정보석)의 딸인 송이가 일개 노예에 불과한 김준(김주혁)에게 반하는 장면은 너무 작위적이라는 인상이 짙다.

 

격구장에서 죽을 고비를 넘겨가며 승리를 이끈 김준이 단상에 있는 월아(홍아름)에게 눈길을 던지지만, 그가 자신을 보고 있다고 착각하는 송이의 마음이 흔들리는 것은 지나친 설정처럼 보인다. 따라서 송이가 기뻐하는 모습이 진심이 아닌 연기처럼 여겨지는 건 그 상황 자체가 리얼하게 여겨지지 않기 때문이다. 결국 송이가 김준에게 빠져드는 것은 이 계속되는 격구장에서의 착각에서 비롯된다.

 

고려시대, 최고 권력자의 딸이 노예를 사랑하게 되는 이 극적인 상황에서 이런 단순하고 우연한 동기는 캐릭터에 대한 매력을 떨어뜨린다. 공감이 가지 않기 때문이다. 이 신분을 뛰어넘는 사랑의 동기가 공감이 가지 않기 때문에, 송이가 역시 최고 권력의 위치에 서게 된 김약선(이주현)과의 혼사를 거부하는 것 역시 한갓 투정처럼 여겨진다.

 

송이의 어머니인 정씨(김서라)가 송이에게 김약선과의 혼사는 거스를 수 없는 일이라고 엄포를 놓자, 송이가 "그럴 바엔 노예 김준이 낫겠다"고 말하는 장면도 어색할뿐더러, 혼자 산책을 하다 송이가 왜 자기가 김준을 언급했는지 자신의 마음을 의심하는 독백은 더더욱 뜬금없게 여겨진다. 이런 독백이 어색함에도 불구하고 의도적으로 들어가 있는 건, 그만큼 이 캐릭터가 자연스럽게 구현되어 있지 않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이러한 공감하기 힘든 상황 전개와 연극적인 톤으로 혼잣말을 통해 제 마음을 드러내는 인물들은 그래서 대단히 부자연스럽게 다가온다. 이런 점은 특히 김규리에게 더 가혹하다고 여겨진다. 김규리가 맡은 송이라는 역할은 보통 사내들 정도는 우습게 여기는 여장부다. 이런 캐릭터가 매력을 가지려면 실제로 국가대소사에 있어서 어떤 역할을 발휘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하지만 송이는 어떤가. 그녀는 주변에서 여장부로 일컬어지지만 실제 하는 일이라곤 자신을 외면하고 있는 김준에 대한 연정으로 괴로워하는 인물로 그려진다. 이런 캐릭터라면 여자는 물론이고 남자들도 매력을 가지기가 어렵다.

 

이 드라마에서 이런 사정은 물론 김규리에게만 국한된 문제는 아니다. 특히 여성 캐릭터와 멜로에 있어서 이 사극은 설득력이 별로 없다. 월아가 결국 비상을 먹고 자결하게 되는 시퀀스도 작위적이고 월아라는 여성 캐릭터도 너무 수동적이면서 전형적이다. 이것은 복잡한 정치 상황과 권력의 문제를 캐릭터를 통해 그나마 잘 보여주고 있는 남성 캐릭터들과 확실한 비교점을 만든다. 여성 캐릭터가 잘 살지 않는 사극이(그것도 주말이라면 더더욱) 성공하기 어려운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일 것이다.

 

김규리는 이 사극이 가진 문제를 가장 잘 드러내는 캐릭터다. 그녀는 연기자로서의 이미지도 너무 강하게 어필되어있는 점이 있다. 한때 광우병에 관해 했던 소신발언은 아직도 그녀의 강한 이미지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다른 이미지를 보여줄 캐릭터를 연기하고 있지만(그녀는 '댄싱 위드 더 스타'에서 다른 이미지를 선보이기도 했다), 그 이미지는 좀체 떨쳐지지 않는다. '무신'은 그런 점에서는 오히려 김규리에게 더 가혹하게 다가온다. 어째서 이렇게 공감도 가지 않고 매력도 느끼기 어려운 캐릭터의 짐이 그녀에게 지워졌을까. 여러모로 '무신'의 다분히 작위적인 대본이 만들어내는(특히 여성 캐릭터에게 더더욱) 이런 문제들은 김규리에게는 불운한 일이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