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네모난 세상

'각시탈' 논란, 한류의 현주소

728x90

일본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한류의 딜레마

 

한류를 얘기하면서 이제는 일본을 얘기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인 것 같다. 그만큼 한류의 주 소비국으로서 일본이 차지하는 비율이 압도적이라는 것. 실제로 한국콘텐츠진흥원의 발표 자료에 의하면 2010년 K팝 수출액의 99%가 아시아에서 이뤄진 것이라고 한다. 그만큼 현재 한류의 소비는 결국 아시아에 편중되어 있는데, 그것도 일본 비중이 너무 크다. 일본이 이 중 전체의 81%를 차지한다고 한다.

 

 

'각시탈'(사진출처:KBS)

이렇게 되면 일본 소비자들이 등을 돌리는 순간, 한류는 무너질 수 있는 위험성도 있다. 또 이런 과도한 일본 편중은 한류라는 문화 콘텐츠를 기형적으로 만들 수도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일본인의 입맛에 맞는 한류 콘텐츠가 양산될 수 있다는 점이다. 또 일본인들의 정서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콘텐츠 생산이 차질을 빚는 기현상도 나올 수 있다.

 

최근 벌어진 '각시탈' 캐스팅 논란은 이 징후를 잘 보여주는 사례다. '각시탈'의 제작발표회에서 윤성식 PD는 "한류스타들이 출연을 꺼려 캐스팅에 어려움을 겪었다"는 얘기를 했다. 그 이유는 이 작품이 일제 강점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 허영만 화백의 만화 원작인 '각시탈'은 어찌 보면 한국판 조로 같은 작품인데 반일 감정이 다분히 들어가 있다. 그러다보니 몇몇 한류스타들은 일본에서의 자신의 인기가 떨어질까 캐스팅을 고사했다는 얘기다.

 

또 일본의 소비력이 막강하다 보니 그네들의 입맛을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는 상황도 나오고 있다. '겨울연가'로 한참 드라마 한류에 불이 붙었을 때, 몇몇 한류 스타들을 캐스팅해서 만들어진 드라마들 역시 따지고 보면 이런 일본의 입맛을 염두에 둔 작품들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결국 이렇게 일본의 입맛에 맞춰 그들이 원하는 배우들을 집어넣는 조건으로 투자를 받고 제작된 드라마들은 대부분 실패했다.

 

물론 요즘은 이런 식으로 제작되는 드라마는 거의 없다. 다만 일본의 소비력이 지대하다 보니 드라마 제작에 있어서 이를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 된 것은 분명하다. 국내에서의 시청률 5%에 머물고 있지만 일본에서는 방영 전에 이미 90억 원대의 선판매가 이뤄진 '사랑비'는 현재의 한류가 가진 딜레마를 잘 말해준다. 한류 콘텐츠에 대한 국내의 정서와 일본의 정서가 그만큼 다르다는 것이다.

 

하지만 선 판매로 90억 원이라면 어쨌든 수익을 내려는 제작자 입장에서는 무시할 수도 없는 입장이다. 이는 회당 무려 4억5천만 원에 이르는 수치로 국내 최고 기록이다. 여기에는 다분히 장근석 파워가 들어가 있다. 일본에 불고 있는 근짱 열풍이 한 몫을 했다는 것. 물론 한류 1세대를 이끈 '겨울연가'의 윤석호 PD도, 또 소녀시대의 윤아가 들어 있다는 것도 큰 이슈가 되었다.

 

물론 '사랑비' 제작진들의 말을 들어보면 이 작품이 애초부터 그런 한류를 겨냥하고 만든 작품은 아니라고 한다. 그저 디지털 시대에 아날로그적인 사랑 이야기를 하나쯤 하고 싶었다는 것. 실제로 장근석이 이 드라마를 통해서 얻으려 했던 것은 해외의 수익이라기보다는 국내의 인기였던 걸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상황은 거꾸로 되어 버렸다. 시청률은 5%에 머물러 버린 반면, 해외에서의 판매는 호조를 띄고 있다. 의도는 하지 않았지만 결과적으로 한류를 겨냥한 드라마가 되어 버렸다.

 

사실 국내 드라마 현실을 보면 일본의 소비를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지만, 그렇다고 일본의 입맛에 맞추는 건 문제가 있다. 한류의 정체성은 결국 우리나라에 있어야 한다. 만일 이것이 사라진다면 결국 한류의 존재기반도 사라지는 것이다. 일본의 입맛에 맞추다 보면 자칫 일본에서 생산하는 콘텐츠를 마치 우리나라가 하청하는 입장에 처하게 될 수도 있다. 이것은 한류가 아니라 정확히 말하면 일류가 된다.

 

또한 이렇게 일본 입맛에 지나치게 맞춘 콘텐츠가 반드시 성공할 거라는 장담도 할 수 없다. 왜냐하면 한류란 그들과는 다른 우리만의 독특한 정서가 있어야 진짜 소비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서 일본인의 입맛에 맞게 저들이 만든 기무치는 절대로 김치가 될 수는 없다. 결국 그들에 맞추는 것이 아니라, 우리 것을 소개하는 측면에서 접근해야 지속가능한 한류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이 역방향으로 지나치게 민족주의적인 접근을 하는 것도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우리는 이미 지구촌화되고 글로벌화 되어가는 시대에 살고 있다. 지나치게 민족주의에 얽매이다가는 자칫 배타주의나 국수주의로 이어질 수 있다. 사실 구한말 일제 강점기는 콘텐츠적으로 좋은 소재가 아닐 수 없다. 이 시대를 다룬 콘텐츠들이 지나치게 민족주의적인 시각만을 부여했기 때문에 좀 왜곡된 부분들도 더러 있다.

 

이제는 이런 민족적인 사안을 다루면서도 그 안에 좀 더 보편적인 이야기들을 끄집어낼 수 있어야할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각시탈' 같은 옛 만화의 현재적 시점에서의 드라마화에서 성패의 갈림길이 될 수도 있다. 좀 더 현재의 글로벌한 시각에 맞는 콘텐츠적인 변형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한류는 결국 특수성과 보편성을 동시에 갖춰야 성공할 수 있는 콘텐츠다. 즉 특수성이란 우리만이 가진 특수한 정서들, 예를 들면 정의 문화라든가, 다이내믹한 성향 같은 것들이 들어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만 갖고는 세계의 소비자들을 상대할 수 없다.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보편성을 또한 갖춰야 한다는 것. 즉 해외의 소비자를 염두에 두지 않을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거기에 매몰되어서는 안 된다는 얘기다. 우리 것들 중에 보편성을 가진 것들을 끄집어내는 작업이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