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무한도전' 안 하는 MBC, '무한도전' 하는 MBC

728x90

<무한도전>이 MBC에 미치는 영향

 

프로그램 하나가 방송사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생각 외로 크다. KBS의 전체 프로그램에서 <개그콘서트>가 가진 영향력은 무시할 수 없다. 그 영향력은 단순히 그 프로그램의 인기에서 멈추지 않는다. 여기서 배출된 개그맨들은 KBS의 중요한 프로그램 속으로 들어가 부가적인 시너지 효과를 만들어낸다. <남자의 자격2>에 투입된 김준호가 그렇고, <1박2일>시즌2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맡고 있는 이수근이 그렇다.

 

'무한도전'(사진출처:MBC)

하지만 이것보다 더 중요한 건 <개그콘서트>라는 프로그램이 가진 긍정적인 이미지다. 거기에는 젊음과 패기, 도전과 즐거움, 경쟁과 공존 게다가 다양한 세대통합의 의미까지 담겨져 있다. <개그콘서트>를 전면에 내세우면 그 프로그램을 품고 있는 KBS의 이미지도 긍정적으로 보인다. 물론 실상은 많이 다를 수 있고 실제로 다르다. 하지만 일반 대중들에게 <개그콘서트>의 좋은 이미지는 그렇게 KBS의 이미지로 이어진다.

 

<무한도전>은 그런 의미에서 MBC의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 대중들은 MBC의 파업이 왜 벌어졌고, 그것이 어떤 과정을 겪고 있는지 잘 모를 수 있다. 하지만 많은 대중들이 그 파업을 지지했던 것에는 거기에 <무한도전> 있었다는 것을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무한도전>을 안하는 MBC. 그 하나만으로도 MBC 파업의 의미를 대중들은 대충 알아차릴 수 있었다.

 

MBC의 이미지가 ‘도전’이었다면, <무한도전>을 하지 않는 MBC는 ‘도전하지 않는’ MBC로 비춰졌을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세상의 눈과 입을 대변하며 날선 비판도 서슴지 않았던 MBC의 도전은 언젠가부터 꺾어지기 시작했다. 많은 시사 프로그램들이 사라지거나 본래의 모습을 잃어갔고, 교양 프로그램들도 어딘지 밋밋해졌다. 파업을 선택한 <무한도전>은 그 자체로 MBC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

 

그리고 24주가 걸렸다. 수많은 회유가 있었다. 제작진도 힘들고 팬들도 힘들었던 시간들이었다. 수많은 아이템들이 날아갔고, 스페셜 재방송이 진행되는 동안 10%대를 유지했던 시청률은 4%대까지 떨어졌다. 그래도 대중들은 <무한도전>의 선택을 존중했고 기다렸다. 파업 도중 유튜브를 통해 공개되었던 <무한도전 파업특별편> 동영상은 조회수가 3백만을 훌쩍 넘어섰다. “조만간 빵빵 터지는 웃음으로 돌아오겠다”는 다짐은 그렇게 3개월이 더 지난 후에야 이루어졌다.

 

이제 파업을 중단하고 업무 복귀를 선언함으로서 우리는 <무한도전>하는 MBC를 볼 수 있게 되었다. 파업이 남긴 수많은 숙제들이 남았다. 파업으로 인해 현장에서 밀려나게 된 직원들의 원대복귀는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고, 항간에는 더 흉흉한 소문도 돈다. 결국 프로그램은 사람이 만든다는 점에서 부당하거나 심지어 보복성의 인사 조치는 스스로 제 살을 깎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번 주부터 다시 <무한도전>이 시작하지만, 그 상징적인 의미처럼 <무한도전>을 멈추지 않는 MBC로 돌아오길 바란다. 만일 그 변화가 보인다면 이탈했던 수많은 MBC 시청자들 역시 도전하는 MBC를 지지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무한도전>은 새롭게 시작할 수 있는 MBC의 동력이 되는 셈이다. 그 동력이 제대로 힘을 받을 수 있게 초심의 MBC로 돌아가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