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년에 대중들이 응답한 이유
왜 굳이 1997년이었을까. <응답하라 1997>이 상정하는 1997년은 두 가지 상징으로 표현될 수 있는 해다. 그 하나는 HOT와 젝스키스로 대변되는 대중문화의 폭발기였다는 점이고(이 당시 음반 판매량은 몇 백만 장 단위로 기록되곤 했다), 다른 하나는 IMF 사태가 터지는 해로서 그 해를 기점으로 지금까지 우리 서민들의 경제생활이 계속 추락해왔다는 점이다(이건 지금도 현재진행형이다).
'응답하라 1997'(사진출처:tvN)
이 전혀 상관없을 것처럼 보이는 이 두 사건, 즉 대중문화의 폭발과 IMF사태라는 경제현실은 그러나 그 안에 ‘대중’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얽혀져 있다. 대중들은 이 힘겨운 시기를 무엇으로 버텨냈을까. 그 해답을 제시하는 드라마가 바로 <응답하라 1997>이다. 2012년 한 동창회 풍경으로부터 끊임없이 1997년도로 플래시백 하는 이 드라마는 수많은 당대의 대중문화 트렌드들을 담아낸다.
거기에는 HOT가 있고 젝스키스가 있으며 그들을 추종하는 이른바 ‘빠순이’들이 있다. 또 다마고치가 있고, 삐삐가 있으며, PC통신과 채팅이 있고 당대를 달구었던 영화와 드라마들, 프로야구 심지어 815독립콜라 같은 상품은 물론이고 ‘광수생각’ 같은 책도 있다. 그런데 이들 수많은 90년대를 떠올리게 하는 오브제들이 과연 그저 당대를 추억하게 하는 목적으로 동원된 것일까. 설마.
주목해야 하는 것은 그 오브제들이 떠올리는 결과가 아니라, 드라마 속 주인공들에게 그 오브제들이 무엇을 의미하는가 하는 점이다. 물론 경제적인 부를 가진 이들은 다르겠지만, 그렇지 못한 대중들은 무엇으로 이 힘겨운 시기를 위로받으며 살았는가 하는 점을 질문해보면 대중문화가 가진 새로운 힘을 실감하게 된다. 청춘의 격랑을 버텨내고 대학에 들어가고 사회에 진출하게 되는 그 긴 시간 동안 성시원(정은지)을 끝까지 위로해준 것은 다름 아닌 HOT 같은 당대의 대중문화였다.
누군가는 팬클럽이 되어 열렬히 오빠들(?)을 쫓아다니며 위안을 받았고, 누군가는 농구대잔치와 영화에 빠져들었으며, 또 누군가는 음성적인 빨간 책(?)에서 도피적인 위안을 받았다. 그들은 서로를 위로하며 지냈지만 그 위로의 재료는 다름 아닌 그들이 공유한 대중문화였다. 그 지평 위에서 그들은 같은 어려운 시기를 버텨내며 공감함으로써 계속 살아낼 수 있었던 것이다.
바로 당대 서민들에게 있어서 대중문화가 어떤 의미였는가를 가장 잘 드러낸 시퀀스는 시원의 아버지인 성동일이 암으로 병원에 입원해 있는 장면이다. 같은 병동에 있는 환자들을 위무해주는 것은 다름 아닌 드라마다. 그 속에 등장하는 남자주인공에 흠뻑 빠져있는 환자들은 그러나 그 주인공이 암에 걸리는 장면에서 고개를 돌린다. 성동일의 아내인 이일화는 투병하는 남편과 같은 병동 환자들을 위해 그 드라마 작가에게 끊임없이 전화를 걸어 주인공을 살려달라고 애원한다. 대중문화를 통해 위로받고 심지어 살아갈 수 있었던 당대의 풍경을 압축한 장면이다.
그런데 왜 하필 대중문화일까. 그것은 IMF와 직접적인 연관을 갖는다. 물론 값싼 대중들의 여가라는 점이 대중문화를 당대의 가치로 만든 직접적인 원인이지만 단지 그것만은 아니다. IMF가 가져온 것은 대중들의 각성이다. 대중들은 이때부터 위로부터 주어지는 삶과 문화와 정치와 경제 등등에 대해서 의구심을 품기 시작했다. 이것은 당시 인터넷 같은 수평적인 대중들의 매체가 생겨나는 시점과 궤를 같이 하면서 대중들에 의한 대중들을 위한 대중들의 시대를 소망하게 만든다. 그간 어딘지 폄훼되어왔던 대중문화가 점점 중심으로 들어오기 시작한 것이다.
<응답하라 1997>의 성공은 그저 복고에 편승한 추억콘텐츠의 힘이 아니다. 그것은 IMF로 표징되는 저들의 문화의 거품이 빠지는 시기였던 90년대 말, 대중문화가 폭발하는 그 사건들을 다루고 있는 데서 비롯한다. 그리고 97년 이후 2012년에 이르기까지 그다지 달라지지 않은 세상 속에서 우리는 여전히 대중문화를 통해 위무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는 그 공감대가 그 성공의 진면목이다.
그래서 작금의 대중들, 즉 90년대를 경험했던 중년들은 물론이고 그것을 경험하지 않았지만 여전히 지금도 같은 경험을 하고 있는 청춘들은 모두 이 1997년에 기꺼이 응답하게 된다. 거기에는 대중문화만이 우리를 위로해주고 있는 살풍경한 현실과, 그럼에도 우리에게 어떤 대중의 힘을 느끼게 해주는 대중문화에 대한 경험이 깔려있다. 그리고 어쩌면 이 대중문화로 공유되는 대중들의 힘은 현실을 바꿔줄 지도 모른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이퀸'의 학대받는 아이들, 괜찮을까 (1) | 2012.09.10 |
---|---|
'골든타임', 왜 시즌제 요구 유독 많을까 (4) | 2012.09.06 |
수지와 은지가 보여준 연기력의 실체 (7) | 2012.08.31 |
주말극, 막장 세상 애들이 무슨 죄? (3) | 2012.08.27 |
'신의', 100억 제작비는 어디로 갔나 (14) | 2012.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