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광해', 이병헌 연기 다시 보인 이유

728x90

<광해>, 이병헌의 연기학 개론

 

왕은 태어날 때부터 정해지는 것일까. 아니면 자리가 만들어내는 것일까. 영화 <광해>가 던지는 질문이다. 왕을 연기하던 광대 하선(이병헌)은 그 얼굴이 똑같다는 이유로 광해(이병헌)에게 불려가게 되고 왕을 연기하게 된다. 그러다 어느 날 광해가 중독으로 쓰러지게 되자 허균(류승룡)은 하선을 당분간 왕의 자리에 앉히게 된다. 흥미로운 건 하선이 그 왕의 자리에 앉게 되면서 점점 왕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다는 점이다.

 

사진출처:영화 <광해>

‘왕후장상의 씨가 따로 없다’는 말은 아마도 <광해>가 가진 뭉클한 정치적 지점을 가장 잘 표현하는 말일 것이다. 광해는 왕의 자리에 앉아 그 정치적 이해관계 속에서 폭군의 면모를 보이지만, 그저 저잣거리에서 살아가던 민초 하선에게는 그런 것이 없다. 그는 지극히 상식적이다. 외척세력을 문제 삼아 중전을 폐하려는 신하들의 청 앞에 그는 조강지처를 내치는 남편이 어디 있느냐며 호통을 치고, 대동법 시행에 반대하는 신하들에게 땅 더 가진 자가 더 세금을 내는 게 뭐가 잘못됐냐고 말한다.

 

이것은 왕이 백성을 생각하는 차원이 아니라, 아예 민초인 자가 왕의 입을 빌려 하는 말이다. 이것은 <광해>라는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이야기가 대선을 앞두고 있는 2012년에도 울림을 갖는 이유다. 국민을 호명하는 정치인들은 많아도, 진짜 국민이 무엇을 바라는 지 그 목소리를 내는 정치인은 보기 힘든 현실. 이것이 어쩌면 <광해>에서 광해를 연기하는 하선이라는 존재가 지극히 비현실적이면서도 영화라는 장막을 통해 기꺼이 현실적으로 믿게 되는(믿고 싶은) 이유일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흥미로운 지점은 이 왕이 타고난 왕이 아니라, 왕을 연기하는 하선이라는 점이다. 그러니까 이병헌은 왕을 연기하는 하선을 연기한 셈이다. 연기론으로 보면 연기는 연기를 흉내 내는 게 아니고 그 캐릭터 자체가 되는 일이다. 하선이 왕 연기를 하다가 점차 광해와 동화되어가는 과정은 바로 이 진정한 연기가 구현되는 과정을 그대로 보여준다(게다가 하선은 직업이 광대다). <광해>는 따라서 한 연기자(하선이라는 광대)의 연기과정을 보여주는 작품이기도 하다. 이병헌으로서는 이 지점이 굉장히 매력적이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결국 연기라는 것이 흉내 내기가 아니고, 자신 속에 있는 또 다른 나를 끄집어내 그 캐릭터에 동화시키는 것이라는 걸 이 영화 속 인물인 하선과 그를 연기하는 이병헌이 동시에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 그런 점에서 진짜로 왕이 될 것인가 아니면 다시 광대로 돌아갈 것인가 하는 선택의 순간은 중요해진다. 이것은 연기자가 캐릭터에 몰입되어 있다가도 다시 제 자리로 돌아오는(그래야 연기자로서 살아갈 수 있다. 광인이 아니라) 그 과정을 보여준다. 이병헌은 아마도 <광해>를 연기하면서 어느 순간에는 진짜 왕이 되었을 것이다. 물론 다시 광대로 돌아가는 길을 선택했지만.

 

<광해>에서의 이병헌이 그 어떤 다른 작품에서의 이병헌보다 돋보이는 이유는 바로 이 자신의 연기에 대한 자세를 그 안에서 자연스럽게 드러낼 수 있는 기회를 가졌기 때문이다. 이 안에서 우리는 자연스럽게 왕이 된 독한 카리스마의 이병헌을 볼 수도 있고, 그 왕을 연기하는 연기자로서의 이병헌을 볼 수도 있다. 거기에는 진지함과 코믹함이 뒤섞이고, 무거움과 가벼움이 공존한다. 이 이질적인 면들이 충돌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구현되었다는 것은 이병헌이라는 한 연기자의 이 작품을 통한 성취라고 여겨진다. 그리하여 <광해>는 마치 이병헌의 연기학 개론 같은 작품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