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오연서가 무슨 죽을 죄를 지었단 말인가

728x90

<우결> 논란, 연예인의 연애는 죄인가

 

점입가경이다. 연초에 터진 오연서 열애설로 진정성을 의심받게 된 <우리 결혼했어요(이하 우결)>는 꼭 그런 방식으로 해명을 했어야 했을까. 물론 어떤 식으로든 <우결>측의 해명은 있어야 했다. 하지만 그 내용은 <우결>이 결국은 하나의 예능 프로그램일 뿐이고 물론 어떤 상황에 돌발적으로 진심이 드러나지만 그것은 마치 연기자가 연기를 할 때 배역에 몰입되는 것과 그다지 다르지 않다는 사실을 밝히는 것이었어야 했다. 그러니 진짜 현실과 가상을 혼동하지는 말아달라는 내용이었어야 맞다.

 

'우리 결혼했어요'(사진출처:MBC)

하지만 내용은 엉뚱하게도 마치 <우결>이 진짜이고 파파라치식 보도에 의해 폭로된 열애설은 가짜라는 식의 해명이었다. 물론 열애설이 실제로 진짜인지 아니면 오연서의 말대로 그저 친한 선후배 관계인지는 그다지 중요한 문제도 아니다. 그것은 그들의 사생활일 뿐이기 때문이다. 왜 사생활과 방송이 일치해야 하는가. 만일 그래야 한다면 결혼한 배우들은 멜로 연기는 하지 말아야 하고, 한다고 하더라도 그 연기의 진정성을 의심받아야 할 것이다. 또 미혼이라도 멜로에 들어가면 사적인 연애는 포기하거나 극도로 숨겨야 할 것이다. 이게 논리적으로 맞는 이야기인가.

 

해명하는 방송분량에서 이준과 마주앉아 한껏 어색한 이야기를 건네고 굳이 방송에서 자신의 사적인 이야기를 꺼내 그 열애설을 부정하는 오연서를 혹자들은 ‘가식적’이라고 느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는 방송에 나오는 장면들이 주는 뉘앙스만 읽으려 하지 왜 그 방송이 나오고 있는지, 혹은 그 장면 앞에 버젓이 카메라가 그들의 이야기들을 찍고 있다는 사실을 종종 잊어버린다. 이것은 공식적인 해명 기자회견이 아니라, <우결>이라는 방송의 한 분량으로서의 해명일 뿐이다.

 

그 안에서 아마도 오연서는 진심으로 이준에게 미안했을 것이다. 왜 안 그럴까. 같은 프로그램에 나오는 동료로서 의도치 않게 피해를 준 것이니 말이다. 열애설이 사실이라고 해도 오연서라는 한 약자가 <우결>이라는 프로그램 안에서 커밍아웃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일 것이다. 물론 말한 대로 열애설이 사실이 아니라면 그저 사실을 말한 것일 테고.

 

우리는 흔히 진짜와 진정성을 혼동한다. 배우에게 있어서 진짜는 말 그대로 진실을 말하는 것이지만 진정성은 다르다. 그것은 어떤 연기를 함에 있어서 진심을 담는다는 이야기지 진짜가 된다는 것은 아니니까. 이건 지극히 상식적인 이야기다. 즉 진짜 부부가 아니라고 해서 진정성이 없다고 말할 수는 없는 일이다. 그것은 상황에 대한 몰입도의 문제니까. 사실 열애설이 터지기 전까지 오연서의 몰입도는 나쁘지 않았다. 가상부부지만 그 상황이 그다지 어색하지 않게 느껴졌으니 말이다.

 

먼저 이번 논란에서 전제해야 할 것은 <우결>이 마치 시트콤이나 드라마 같은 가상이라는 점이다. 물론 그 리얼리티의 심도는 깊다. 대사까지 촘촘히 짜여진 대본이 주어지는 건 아니고 대신 상황이 주어지며 그 안에서의 반응은 즉흥적으로 이뤄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진짜와 가상을 혼동해서는 안 된다. 하와이에서 이준과 오연서가 첫날밤 콘셉트로 침대 위에서 스킨십을 보여줄 때, 바로 그 장면을 찍는 카메라가 그 앞에 주욱 서 있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바로 이 <우결>이 가상이라는 것을 인정한다면(사실이 그렇다) 오연서의 열애설(실제 열애인지도 알 수 없지 않은가!)은 아무런 문제될 것이 없다. 물론 <우결>처럼 리얼을 강조하는 프로그램을 하면서 그 혼돈을 가져올 수도 있는 사생활을 숨기지 않은 관리 부주의가 분명 있지만 그것이 죽을 죄는 아니다. 연예인이라고 해도 누군가를 만나거나 좋아하는 것이 죄가 될 수는 없는 일이지 않은가.

 

물론 <우결>의 제작진이 처한 상황도 이해가지 않는 건 아니다. <우결>같은 리얼을 무기로 삼는 프로그램이 그 실체를 숨기고 싶은 건 당연한 일이니까. 하지만 그것도 상황을 봐가면서 해야 할 일이다. 이번처럼 이미 드러날 대로 드러났고 또 자칫 한 여배우가 논란에 휘말려 있는 지경에 여전히 진짜를 고집하는 건 프로그램의 윤리적인 문제일 수도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방송 프로그램을 바라보는 대중들의 시선이 좀 더 유연해질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방송은 점점 리얼리티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그래서 실제로도 어떤 프로그램은 진짜 그 자체이지만, 그렇다고 모든 프로그램이 그런 것은 아니다. 또 진짜만이 진정성을 가질 수 있다는 착각도 버려야 할 것이다. 진정성이란 결국 가상일 수밖에 없는 예술장르를 이야기할 때 나오는 개념이다. 가상이라도 좋은 프로그램에는 진정성이 녹아날 수 있다는 것. 왜 <우결>은 진정성 있지만 그래도 가상이라고 얘기하지 못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