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도>와 <개콘> 그리고 일인자 패러독스
우리네 예능 프로그램 중 대표격을 꼽으라면 아마도 <무한도전(이하 무도)>과 <개그콘서트(이하 개콘)>를 지목해야 할 것이다. 단순히 재미의 차원이나 시청률을 두고 말하는 게 아니다. 우리네 전체 예능에 끼친 영향력이나 꽤 오랜 세월을 지켜낸 저력(<무도>는 8년, <개콘>은 무려 14년이다) 그리고 지금 현재 위치까지를 모두 두고 봤을 때 이 두 예능은 확실히 우리 예능의 대표선수들임이 분명하다.
'무한도전'(사진출처:MBC)
물론 여전히 이 두 프로그램에 대한 대중들의 반응은 뜨겁다. 하지만 최근 들어 약간 다른 징후들도 포착된다. 그것은 과거에는 좀체 없었던 비판적인 시선들이 등장했고, 식상해졌다는 얘기도 심심찮게 보인다는 점이다. 실제로 시청률도 과거에 비해 많이 떨어졌다. 제작진들이나 출연진들 또한 어떤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는 것 같다.
<무도>의 하와이 특집은 그 시작에서 하와이에 도착하자마자 길을 탈락시키는 것으로 충격적인 반전을 만들었다. 또 2편에서는 박명수와 길, 유재석, 노홍철이 글라이더를 타고 활강을 하면서 돈을 세는 강도 높은 미션을 수행하기도 했다. 특히 고소공포증을 호소했던 유재석은 글라이더에서 내리자 다리가 풀려 주저앉기도 했다. 하지만 <무도>의 이런 미션들은 과거만큼의 흥미와 팽팽한 긴장감을 주지는 못하고 있다.
하와이 특집에 이어 시작한 술래잡기 특집도 긴장감이 떨어진 것만은 분명하다. 우리는 이제 <무도>의 추격전 미션이 갖고 있는 스토리를 어느 정도는 짐작하고 있기 때문이다. 노홍철은 늘 반전의 키를 쥔 배신자 역할을 자임할 것이고, 박명수는 고군분투하다 짜증을 폭발시킬 것이고, 그 와중에서도 유재석은 누구보다 열심히 뛰면서 미션을 수행해나갈 것이다. 물론 조금씩 다른 상황들이 생겨나지만 그다지 큰 변화는 잘 보이지 않는다. 패턴이 조금씩 읽힌다고나 할까.
이런 사정은 <개콘>도 마찬가지다. 서수민 PD가 자리한 이후 <개콘>은 최고의 전성기를 구가했다. 거의 1년 넘게 전체 예능 시청률 1위를 한 번도 내주지 않았고, 출연 개그맨들은 심지어 광고계에서도 블루칩이 되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개콘>은 새로운 코너들을 꽤 선보였지만 과거만큼의 뜨거운 반응이 이어지지 않고 있다. 이미 뜬 코너와 개그맨들에 대한 피로도도 높아졌다.
최고의 주가를 올리는 개그맨들에 대한 집중도가 높아지면서 <개콘>의 핵심적인 힘이라고 할 수 있는 적당한 시기의 세대교체가 이뤄지지 않았다. 김기리나 김대성, 이문재, 이희경 같은 친구들이 새 코너들을 통해 중심으로 들어오려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그 존재감이 확실히 생기지는 못했다. 새 코너에 대한 화제도 그다지 높지 않고 시청률도 많이 추락했다.
<무도>나 <개콘>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힘을 발휘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그것은 오랜 세월 동안 축적된 필자 같은 고정 팬들의 여전한 성원 덕분이 아닐까. 그것조차 경쟁력이라고 말할 수 있겠지만 어쨌든 현재가 불안하다는 것은 프로그램으로서는 위태로울 수밖에 없다. 하긴 이렇게 오랜 세월을 정상에 머무르면서 계속 새로울 수 있다는 것은 기적에 가까운 것일 게다. 그 기적의 길을 <무도> 같은 프로그램은 분명 걸어왔다.
<무도>나 <개콘>의 위기는 외부적인 것 때문이 아니다. 그것은 아이러니하게도 꽤 오랜 세월동안 줄곧 일인자로 서왔던 것에서 비롯되는 힘겨움이다. 밑에 있을 때는 위로 올라갈 수 있지만 제일 꼭대기에 오르면 할 수 있는 게 지키는 것이나 내려오는 길밖에 없게 된다. 이른바 일인자 패러독스다. <개콘>의 서수민 PD는 그 일인자의 고충을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때로는 2등이었으면 할 때가 있다”고.
누군가에게 웃음을 주는 개그맨이나 예능인의 위치는 분명 낮은 위치에 있을 때 더 큰 폭발력을 내는 것이 사실이다. <무도>의 힘은 확실히 ‘대한민국 평균 이하’의 위치에 있을 때 더 폭발적이었다. <개콘>도 개그맨들이 생계를 걱정할 정도로 어려울 때 더 열광적인 호응을 얻었다. 하지만 <무도>의 출연자들은 모두 지금 현재 예능계의 최정상의 위치에 서게 되었고, <개콘>의 개그맨들도 이제는 생계 걱정하지 않고 개그만을 해도 먹고 살만큼 위상이 높아졌다.
뿐만 아니라 정상의 위치를 오래도록 유지하면서 그만큼 주목도도 높아진 만큼 소비도 빨라진 면이 있다. 이제 과거랑 똑같은 강도의 웃음을 주어도 그 힘이 약하게 느껴진다. <무도>처럼 아예 형식의 무한도전을 해온 프로그램도 꽤 오래 지속되면서 패턴이 읽히는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다. 어떤 예능이든 패턴이 생기고 일찌감치 이야기가 노출되기 시작하면 요즘처럼 반전과 새로움에 목말라 있는 대중들에게는 흥미를 끌기가 그만큼 어려워진다.
<무도>든 <개콘>이든 그 노력이 얼마나 치열하고 힘겨운 지 아는 입장에서 이들이 처한 일인자 패러독스는 진정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어쩌랴. 일인자라는 위치가 갖는 무게감이 만들어내는 일인 것을. 의외로 이 문제는 시간이 해결해 줄 수도 있다.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르면서 그만큼 대중들의 기대치가 조금 낮아지게 되면 바로 그 이유 때문에 상승의 기회도 생길 수 있다는 얘기다. 또 지금껏 해왔던 것처럼 기적적인 노력으로 위기를 오히려 기회로 반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어느 것이든 힘겨워도 끊임없는 노력이 수반되어야 그나마 가능한 일이다.
물론 팬의 입장에서는 조금 아쉬워도 기다려주는 게 인지상정이지 싶다. 하지만 보통의 시청자들에게는 이 시간이 달리 느껴질 수도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체능, 돌아온 강호동보다 조달환이 중요한 이유 (0) | 2013.04.11 |
---|---|
악동뮤지션, 이게 오디션 곡? 이건 차라리 앨범이다 (1) | 2013.04.09 |
'아빠 어디가', 김성주의 기부가 의미하는 것 (1) | 2013.04.03 |
'정글', 최고의 먹방이 된 까닭 (4) | 2013.04.01 |
오디션 끝물? '보코', 오디션 차원을 뛰어넘다 (0) | 2013.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