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넘긴 <백년의 유산>이 남기는 씁쓸함
지난 주 MBC <백년의 유산>은 30% 시청률을 넘겼다. 이 수치는 늘 최강자로 군림해왔던 KBS 주말극을 앞질렀다는 것 때문에 더 많은 의미부여가 되었다. 드라마 제목은 <최고다 이순신>이지만 이 드라마의 시청률은 최고가 아니었던 셈이다. <백년의 유산>의 시청률이 30%를 넘기자, 그간 막장 논란을 줄곧 제기했던 언론들 중에서도 과연 이 드라마가 막장인가 하는 의문 제기를 하고 나섰다. 시청률만 높으면 막장도 좋은 드라마라고 주장한다. 이것이 우리네 드라마의 현실이다.
'백년의 유산(사진출처:MBC)'
먼저 이른바 어떤 드라마를 막장으로 부를 것인가에 대한 정의가 필요할 듯싶다. 여러 기준이 있겠지만 크게 그 정의는 두 가지로 압축되곤 한다. 하나는 완성도가 떨어져 개연성을 찾기가 어려운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도무지 TV 드라마로서는 다뤄지기 어려운 비윤리적이고 비도덕적인 행태들이 자극적으로 배치되는 경우다. 두 가지 정의가 복잡하다면 한 가지로 정의내릴 수도 있다. 그것은 시청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상투적으로 자극적인 코드를 반복하는 경우다.
안타까운 일이지만 <백년의 유산>은 위에서 제기한 것들 중 적어도 두 가지 경우에는 해당된다. <백년의 유산>이 그나마 갖추고 있다고 보이는 것은 개연성이다. 물론 이것도 좀 더 심층적으로 들어가면 주인공 채원(유진)의 캐릭터가 초반에는 능동적이었다가 어느 순간 늘 당하는 수동성을 보이는 등 그 일관성을 찾기 어렵다는 점에서 완전하다 말하기는 어렵다. 다만 그간 막장드라마들의 전개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개연성이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두 번째 경우인 비윤리적이고 비도덕적인 행태는 <백년의 유산>의 시청률을 끌어올린 주요 요인이다. 아들에게 집착하면서 거의 엽기 수준으로 며느리를 괴롭히는 방영자(박원숙)가 그 주인공이다. 심지어 정신병원에 며느리를 집어넣는 건 거의 범죄행위나 다름없다. 물론 이러한 방영자의 악행은 다분히 시청자들의 공분을 이끌어내려는 계산이다. 드라마가 어떤 자연스러운 이야기를 전개하려는 것이 아니고 시청자들의 감정을 자극함으로써 시청률을 목표로 할 때 그 드라마는 막장에 가까워진다.
하지만 이 드라마의 가장 큰 문제는 이른바 시청률로 성공한 드라마들의 공식들을 가져와 얼기설기 엮어놓은 상투성이다. 지독한 시월드의 시어머니와 며느리 그리고 마마보이 아들의 갈등 관계는 전가의 보도처럼 가족드라마들이 사용했던 공식이고, 여기에 복수극의 구조와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성장드라마 미션 구조가 뒤섞여 있다. 물론 출생의 비밀도 빠지지 않는다. 만일 이 다양한 코드들을 섞어서 창의적인 이야기를 뽑아냈다면 얘기가 다를 수 있겠다. 하지만 이 드라마는 그 구조만 봐도 떠오르는 몇몇 드라마들이 있을 정도다.
이 드라마의 구조는 같은 방송사 같은 시간대에 방영되었던 <신들의 만찬>과 거의 유사하다. 음식이 메인소재이고 그 음식을 다루는 가문의 이야기가 등장하며 그 대를 이어가기 위한 후계자 경쟁이 들어간다. 물론 거기에는 과거에 라이벌이었던 주인공 윗세대들의 갈등과 숨겨진 출생의 비밀이 깔려 있다. 그런데 이 <신들의 만찬> 역시 과거 성공드라마로 지목되었던 <제빵왕 김탁구>의 공식들을 떠올리게 하는 드라마다. 그러니 반복된 구조를 답습하는 <백년의 유산>을 과연 창의적인 드라마라고 쉽게 말할 수 있을까.
<백년의 유산>이 내세우고 있는 백년을 이어온 국수집의 이야기도 과도한 PPL로 인해 그 진정성을 찾기가 어려워졌다. 화면 곳곳에 배치된 오뚜기 브랜드의 제품은 드라마 몰입을 방해할 지경이고, 심지어 채원이 입사한 회사이자 그녀의 연인인 세윤(이정진)의 회사 이름도 ‘오뚜기’다. 여기에 채원 가족이 이끌어온 국수집 이름은 ‘옛날 국수’. 드라마는 채원이 세윤의 회사의 국수 공모에서 ‘옛날 국수’를 제안해 채택되는 과정을 그리지만, 실상은 오뚜기 ‘옛날 국수’의 노골적인 광고나 마찬가지다.
그럼에도 시청률 30%라는 것은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혹자들은 이를 가리켜 진화된 막장이라 하지만 그 말만큼 슬픈 건 없을 게다. 오죽 진화할 것이 없으면 막장을 진화시킬 것인가. 그렇다면 드라마를 보는 시청자들의 퇴행일까. 이것 역시 슬픈 얘기다. 드라마가 가진 자극적인 면들만 소비되고 있다는 걸 말해주는 것일 테니.
하지만 어쩌면 이 둘 다가 아니고 다만 시청률 추산의 문제일 수도 있을 게다. 지금의 TV 본방사수로만 계산되는 시청률 추산으로 잡히는 시청자들은 결국 특정 세대로 국한될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젊은 시청자들과 나이 든 시청자들의 시각차가 극명히 드러나는 지점이다. 그렇다면 <백년의 유산> 같은 드라마는 지금의 잘못된 시청률 추산이 만들어낸 돌연변이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것 역시 슬픈 이야기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난을 먹고 자라는 이상한 임성한 월드 (1) | 2013.05.24 |
---|---|
독한 장희빈 캐릭터에 대중들이 열광하는 이유 (2) | 2013.05.21 |
'출생의 비밀', 유준상이 전하는 ‘행복의 비밀’ (1) | 2013.05.13 |
'구암허준', 심지어 종교적인 느낌 주는 이유 (0) | 2013.05.12 |
'내연애'의 정치 멜로 실험, 폄하할 수 없는 이유 (0) | 2013.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