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독한 장희빈 캐릭터에 대중들이 열광하는 이유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독한 장희빈 캐릭터에 대중들이 열광하는 이유

D.H.Jung 2013. 5. 21. 13:23
728x90

<장옥정>, 왜 독해질수록 살아날까

 

장희빈 하면 먼저 떠오르는 장면. 그것은 바로 먹지 않으려는 사약을 억지로 입에다 우겨넣는 장면이다. 하지만 <장옥정, 사랑에 살다(이하 장옥정)>에서의 장옥정(김태희)은 그런 최후는 절대 보여주지 않을 것만 같았다. 조선시대의 패션 디자이너인데다 이순(유아인)과의 달달한 로맨스가 전면에 펼쳐지지 않았던가.

 

'장옥정 사랑에 살다'(사진출처:SBS)

하지만 역시 어쩔 수 없는 노릇이었나 보다. 순둥이에 늘 당하기만 할 것 같던 그녀는 단 몇 회만에 독이 잔뜩 오른 모습으로의 대변신을 보여주었다. 장옥정이 영원히 용종을 잉태할 수 없도록 만들어진 극약을 대비 김씨(김선경)가 궁녀들을 시켜 억지로 입에 넣는 장면은 그래서 본래 장희빈 하면 떠오르던 바로 그 명장면(?)을 환기시키기에 충분했다. 본래 장희빈의 귀환이다.

 

예쁘고 착하기만한 장희빈? 의도는 알겠지만 애초부터 가능하지도 않고 또 대중들이 원하는 바도 아니다. 굳이 장희빈을 장옥정으로 부르고, 숙종을 이순이라 부르는 건 그만큼 이 사극이 역사와의 간극을 두겠다는 의지인 것만은 분명하다. 즉 이 사극은 역사의 기록에 남겨진 장희빈과 숙종을 그리는 게 아니라, 기록 바깥에 존재하는 사적인 인물로서의 장옥정과 이순의 애틋하지만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을 그린다.

 

하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이미 역사에 기록된 장희빈이 벌인 일련의 사건들마저 왜곡시킬 수는 없을 것이다. 장희빈을 장옥정으로 바꾸면서 해줄 수 있는 일이란 그녀가 벌인 일들에 어떤 사적인 근거를 마련해주는 정도다. 그래서 장희빈의 독한 행동들이 왜 나왔는가를 이해하고 고개를 끄덕여준다면(그것이 이순과의 사랑을 지키기 위해서라면 더더욱) 그것으로 장옥정이란 인물의 재해석은 충분할 것이다.

 

그래서 <장옥정>은 그녀가 독하게 변하게 되는 극적인 계기를 마련한다. 궁 밖으로 내친 것도 모자라 그녀를 집에 가둔 채 불을 질러버린 인현왕후(홍수현)의 부친 민유중(이효정)은 그녀가 독해지는 계기가 된다. 하지만 그것보다 더 큰 계기는 그녀의 당숙인 장현 역관(성동일)이 제공한다.

 

“이제 깨달았느냐. 가지고 싶은 것을 갖지 못했을 때의 들끓는 욕망을, 원하는 것을 빼앗겼을 때의 뼈에 사무치는 원한을, 넌 주상의 총애를 받고도 길거리에 내던져졌고 민유중의 여식은 주상의 총애 없이도 명문가에서 태어났다는 것에 손 하나 까딱하지 않고 감히 네가 바라보는 것조차 허락되지 않는 저 자리에 있지 않느냐?”

 

장 역관이 장옥정의 마음에 불을 지른 것은 태생적으로 이미 정해져 버린 삶에 대한 도발이이다. 누구는 명문가에 태어나 사랑 없이도 왕의 여인이 되는데, 정작 왕의 사랑을 받는 자신은 궁에서 밖으로 내쳐져 정인 옆에도 갈 수 없는 현실. 조선이라는 신분사회가 가진 간극을 장 역관은 그녀에게 펼쳐 보여준다. 물론 이러한 태생적이고 운명적인 삶에 대한 도발은 다분히 작금의 성장의 사다리가 끊겨버린 청춘들의 현실을 반영한 스토리텔링일 것이다.

 

결국 장옥정은 독해지기로 마음먹는다. 그리고 장옥정이 이순의 사랑을 갈구하며 뭐든 다 저지르기로 마음먹는 그 순간, 장희빈이라는 캐릭터가 본래 갖고 있던 대중적인 힘이 생겨난다. 장희빈이라는 캐릭터가 과거 정통사극 시절부터 지금까지 계속해서 반복되면서도 대중들의 마음을 끄는 것(여성 캐릭터로서는 거의 유일무이하다)은 그녀가 단지 악역이기 때문만은 아니다. 그녀는 어찌 보면 조선을 다루는 사극에서 신분과 계급의 금기를 뛰어넘고 도발하는 거의 유일한 능동적인 여성이다.

 

과거 정통사극에서는 그래서 장희빈이라는 캐릭터를 보는 이중적인 시선이 존재했다. 한편으로는 악녀로서 비난하는 시각이 있는 반면, 다른 한편에서는 운명적으로 정해진 꽉 막힌 신분제 사회 속에서 제 목소리를 내는 통쾌함이 있었다는 것. 마치 가부장적인 시월드에서 시어머니에 대들고 맞서는 며느리처럼 장희빈은 당대의 양가적인 감정을 끌어안는 캐릭터였던 셈이다. 어쩌면 사극 속 장희빈의 악행을 보며 시어머니는 분노하고 며느리는 통쾌해했을 지도 모르겠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장옥정>은 이 이중적 시선에서 ‘악녀’로서의 시각을 떼어낸 셈이다. 그녀는 여전히 독하지만 악녀는 아니다. 오히려 운명을 뛰어넘으려, 또 사랑을 쟁취하기 위해 온 몸을 던지는 신세대 여성이다. 그러니 그토록 연기력 논란에 휘말리던 김태희가 ‘언제 연기 이렇게 잘했나’ 칭찬받고, 바닥을 치던 시청률이 반등하는 것은 이 본래 장희빈이 갖고 있는 캐릭터의 색깔이 살아났기 때문이기도 하다.

 

게다가 이 사극 속의 신세대 장옥정은 악녀라는 죄의식조차 느끼지 않고 몰입할 수 있는 캐릭터이니 이제 시청자들에게 남은 일은 그녀의 도발을 즐기는 것뿐이다. 물론 그 결과는 역사가 기록한대로 비극일 수밖에 없겠지만, 조선 같은 신분사회에서 한바탕 제 목소리를 내고 사라진 한 여성의 삶이 어찌 새롭고 귀하게 다가오지 않을까. 이제 사랑 앞에 한없이 말랑해지고 그 사랑을 위협하는 이들에게 한없이 독해지는 장옥정을 즐기는 일만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