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지상파 프리미엄? 지금 지상파는 위기다 본문

옛글들/네모난 세상

지상파 프리미엄? 지금 지상파는 위기다

D.H.Jung 2013. 6. 7. 09:46
728x90

케이블과 종편은 되는데 지상파는 안 되는 것

 

한 때 지상파는 특권이었다. 하지만 이것은 이제 점점 옛말이 되어가고 있다. 거대 자본을 가진 케이블 방송들이 콘텐츠 경쟁력을 갖고 지상파를 위협하고 있으며, 종편들도 조금씩 자신들에게 최적화된 콘텐츠들을 생산해내고 있는 상황이다. 반면 지상파의 대응은 굼뜨기 이를 데 없다. 다양한 뉴미디어가 TV라는 올드미디어를 밀어내고, 케이블, 종편이 콘텐츠 경쟁력으로 압박해오면서 지상파의 시청률은 이미 반 토막이 난 상태가 아닌가.

 

'1박2일(사진출처:KBS)'

사극 하면 무조건 50% 시청률은 나오는 줄만 알았던 시절은 지나갔다. 사극도 20% 넘기가 쉽지 않은 지금 현대극은 15%만 넘어도 그럭저럭 괜찮은 성적이라고 여겨질 판이다. 그래도 30%를 넘기는 주말극들이 있지만 자극적인 설정의 막장드라마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른바 욕하면서 보는 드라마. 이런 드라마의 시청률을 정상적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예능 프로그램은 사정이 더 안 좋다. 주중 11시대에 포진한 예능 프로그램들은 시청률 10% 넘기기도 힘든 실정이다. <놀러와> 같은 장수 프로그램이 폐지되었고, 한때 새로운 토크쇼로 각광받았던 <무릎팍도사>는 강호동이 돌아왔어도 아무런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가장 치열한 격전지라고 할 수 있는 주말 예능 프로그램들은 무려 두 시간에 가까운 파격편성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제 15% 시청률을 내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반면 tvN이나 Mnet 같은 CJ 계열의 케이블 채널과 JTBC 같은 종편의 성장은 점점 눈에 띈다. <슈퍼스타K>로 Mnet이 지상파를 포함해 동시간대 최고 시청률을 기록하며 지상파와 케이블 사이에 어떤 벽을 허문 이후, <보이스 코리아>, <응답하라 1997>, <푸른 거탑>, <SNL코리아> 같은 프로그램들은 끊임없이 지상파 프로그램과 비교되었다. JTBC는 <무자식 상팔자>가 무려 10%를 넘는 시청률을 기록한 데 이어 <썰전>이 좋은 반응을 얻고 있고 <히든싱어>는 4%대의 좋은 시청률을 내고 있다. MBN의 <황금알> 같은 집단 토크쇼는 2%대 시청률을 유지하고 있어 유사한 토크쇼들이 종편에서 우후죽순 생기고 있다.

 

중요한 것은 콘텐츠를 바라보는 대중들의 시선이다. 대중들은 지상파가 어딘지 새로운 시도를 하지 못하고 있다고 여기고 있는 반면, 그 틈새를 파고 들어오는 케이블 같은 지상파 이외의 채널들이 끊임없는 새로운 도전을 하고 있다고 여긴다. 이것은 실제로도 그렇다. 새로운 시도라는 것이 결국은 무언가 위기 상황이나 절실함을 바탕으로 해서 생겨나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한 때 잘 나가던 <1박2일> 같은 예능 프로그램이 10% 시청률로 곤두박질 쳐도 지상파는 이를 과감히 폐지하고 새로운 예능을 시도하기가 쉽지 않다. 그것은 그 포맷이 아깝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새로운 시도가 제작 책임자들에게는 자신들의 실적에 모험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도 자체를 기피하게 된다. 지상파가 유명 MC를 잡는데 혈안이 되어 있는 이유는 고작 리스크를 줄이는 것을 새로운 시도로 여기고 있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여기는 것이고, 문제가 생겨도 유명 MC 책임으로 몰아가는 경향도 있다. 결국 이런 복지부동의 자세는 제작진의 의욕을 꺾기도 한다.

 

유명 PD들이 지상파에서 케이블로 이적하는 것은 이러한 회사 시스템의 문제 때문이다. <해피선데이>에서 이명한 PD, 나영석 PD, 신원호 PD, 그리고 이우정 작가가 모두 CJ에서활동하고 있는 건 우연이 아니다. 그들은 KBS 같은 지상파 조직이 가진 한계를 일찌감치 본 것이다. 그래서 조금 리스크가 있어도 무언가 새로운 걸 시도할 수 있는 케이블로 옮겨간 것. 실제로 신원호 PD 같은 경우, 본래 영화를 전공했던 경력을 살려 <응답하라 1997> 같은 드라마를 시도해 큰 성공을 일궈내기도 했다. 이러한 인력의 유출은 지상파의 위기를 더욱 가속화시킨다.

 

최근에는 지상파에는 불가능하지만 종편이나 케이블이기 때문에 가능한 콘텐츠들이 나오고 있다. JTBC의 <썰전>이 하고 있는 정치 시사 토크쇼나 예능 비평 토크쇼는 종편이라는 위치에 서 있기 때문에 가능한 형식이다. 또 19금과 정치 시사를 묶어서 라이브 콩트 코미디로 풀어내고 있는 tvN의 <SNL코리아>도 마찬가지다. 이런 프로그램을 지상파에서 했다면 당장 공영성 논란을 일으킬 소지가 크다. 하지만 종편이나 케이블은 으레 그런 것인 양 넘어가는 경향도 있다. 이것은 어찌 보면 역차별이라고도 볼 수 있다. 지상파에 대해 상대적으로 엄격한 잣대는 지상파 콘텐츠의 경쟁력 하락으로도 이어진다는 점이다.

 

지상파 콘텐츠의 경쟁력 저하는 잘못된 시청률 추산방식이 야기하는 면도 크다. 지금처럼 모집단의 TV 본방만이 시청률 추산에 들어가는 방식은 시대에 맞지 않는다. 프로그램을 TV 앞에서 그 시간대에 맞춰 보는 이들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 대신 이동 중에 스마트폰으로 보고, 또 지나간 방송을 IPTV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시간대에 자유롭게 보는 시청 패턴이 늘고 있다. 이런 변화에 적극적인 젊은 세대들의 시청 패턴을 반영하지 못하는 지금의 시청률 추산은 지상파의 콘텐츠를 기형적으로 만들 수 있다. 즉 지금의 시청률이 주로 기록하는 중장년 세대에 맞춰진 콘텐츠들이 양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미 지상파 드라마에서는 이런 경향이 짙게 나타나고 있다.

 

지상파 프리미엄이 있던 시대는 지나갔다. 오히려 지금은 지상파이기 때문에 못하는 것들이 있는 시대다. 결국 다매체 시대에 접어든 이상, 지상파는 콘텐츠 경쟁력을 이 변화된 환경에 맞게 높여야 한다. 그러려면 먼저 지금의 시청률 추산 방식이나 지상파라는 안온한 시스템에 여전히 취해 있어서는 곤란하다. 위기의식을 가져야 한다는 점이다. 오히려 지상파이기 때문에 역차별이 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지상파만이 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개발해나가는 노력이 없다면, 앞으로 지상파의 입지는 점점 좁아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