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1박' 복불복보다 '런닝맨' 게임이 나은 이유

728x90

자극보다는 상상력, 결과보다는 과정

 

<1박2일>은 언제부터 복불복만 남게 되었을까. 본래 <1박2일>은 게임 버라이어티가 아니다. <무한도전>이 시도했던 여행 특집의 한 지류로서 ‘여행’이라는 소재를 본격적으로 다뤄왔던 여행 버라이어티가 <1박2일> 아니던가. 그런데 최근 <1박2일>을 보면 여행지에 대한 기억보다는 거기서 벌인 복불복 게임만 떠오른다. 어떤 벌칙을 받았고 누가 밥을 굶었으며 누가 야외취침을 했는가만이 반복되는 느낌이다.

 

'1박2일(사진출처:KBS)'

물론 복불복 게임이 자극적인 재미를 주는 건 사실이다. 이 재미의 핵심은 단순한 게임과 그로 인한 엄청난 결과에서 생긴다. 즉 가위바위보나 돌림판 같은 단순하기 이를 데 없는 게임을 하지만 그 결과로 누구는 따뜻한 방안에서 자고 누구는 혹한에 야외취침을 하는 데서 나오는 자극이 핵심이라는 점이다. 간단하게 상황을 긴장으로 만들고 그 결과로 인해 생고생을 하는 모습이 우습기 때문에 복불복 같은 게임은 <1박2일>만이 아니라 <무한도전> 같은 여타의 예능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 복불복에는 치명적인 부작용이 있다. 그것을 적절히 사용했을 때는 프로그램을 보는 맛을 높여주지만 너무 과도하게 사용하면 프로그램의 색깔을 지워버릴 수 있다는 점이다. 이건 우리가 흔히 말하는 조미료와 같다. 라면스프는 어떤 음식도 되살려내는 ‘마법의 가루’ 역할을 해주지만 너무 많이 쓰면 음식은 기억나지 않고 라면 스프 맛만 기억나게 하는 법이다. 결국 복불복의 과잉 사용은 <1박2일> 본연의 여행의 맛을 느낄 수 없게 만든다.

 

<1박2일> 복불복 대축제 특집은 바로 그 복불복 게임의 한계를 보여주었다. 돌림판을 돌려 거기 나와 있는 대로 복불복을 행하는 이 단순한 놀이는 그 자체로는 웃음을 주었을 지 몰라도 <1박2일> 본연의 유쾌함이나 즐거움을 보여주지는 못했다. 돌림판이 지정하는 대로 여름에 파카를 입기도 하고, 우스꽝스런 분장을 한 채 거리를 활보하며, 낙오자가 된 이는 미스코리아 분장을 하고 연예인에게 등목을 받는 미션을 수행하지만 이것이 여행과 무슨 상관이 있단 말인가. 이것은 연예인들이 하는 이벤트나 행사처럼 보일 뿐이다.

 

서울이 공간으로 지정되었지만 이 특집을 통해 서울만의 여행지로서의 맛이 얼마나 느껴졌는지를 떠올려보면 그 한계를 실감할 수 있다. 과거 <1박2일>에서 경복궁을 재발견하고, 북촌의 한옥마을과 개구리가 뛰어노는 개울을 찾아 나섰던 여행들과 비교해보라. 우리는 지금 그 때 <1박2일> 멤버들이 어떤 복불복을 했던가는 기억하지 못해도 어떤 곳을 찾아가고 거기서 무엇을 발견했는지는 기억하고 있다.

 

물론 무계획 여행이라는 것이 하나의 아이템일 수는 있다. 그렇다면 장소와 상관없이 여행 그 자체가 주는 설렘이나 낯선 곳에서 느끼는 한가로움, 또 새로운 사람과의 우연한 만남이 주는 왁자지껄함 같은 여행의 본질적인 부분으로 파고들었어야 하는 게 아니었을까. 그저 복불복의 연속은 당장의 맛을 내기 위해 조미료만 가득 친 결과만을 만들 뿐이다. 처음 이 형식을 만들었던 이명한 PD는 복불복은 재미와 자극을 위한 부수적인 것일 뿐 핵심은 아니라고 밝힌 적이 있다. 결국 <1박2일>의 핵심은 여행에 있다는 얘기다.

 

또한 복불복 게임의 남용이 씁쓸하게 여겨지는 부분은 이런 형식의 놀이가 지나친 결과주의를 조장하기 때문이다. “나만 아니면 돼!”라는 외침은 물론 예능적인 재미를 위한 이기주의를 드러내는 것이지만, 거기에는 결과만 좋으면 다 좋다는 식으로도 읽힌다. 놀이가 과정의 즐거움이 되지 못하고 결과만 탐닉할 때, 그것은 자칫 문화의 퇴행을 만들어낸다. 한 때 어떻게 놀아야 할지 알 수 없었던 남자들이 폭탄주 문화에 빠져 들었듯이 취하면 다 똑같지 어떻게 취하는 게 무슨 소용이냐는 식의 결과주의에 복불복 게임이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런 면으로 보면 끊임없이 새로운 게임을 고민하고 그 게임에 새로운 스토리를 입혀 그 과정을 즐기는 <런닝맨> 같은 게임 버라이어티가 가진 가치가 새삼스러워진다. 108개의 CCTV를 활용해 데스노트에 적힌 순서대로 런닝맨들의 이름표를 떼려는 사신 정우성과, 그 108개의 CCTV를 다 꺼버리고 그와 맞서려는 런닝맨의 대결은 그 결과만 보면 허무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어디로 튈 지 알 수 없는 과정들이 흥미진진하기 때문에 그만큼 가치가 있다. 게다가 마치 영화의 한 장면처럼 진지하게 몰입하는 정우성의 모습은 놀이에 빠져드는 것 자체가 우리 삶에서 얼마나 즐거운 일인가를 환기시킨다.

 

많이 달라지긴 했지만 우리는 여전히 놀이에 대한 편견이 남아있다. 어린 시절부터 공부하라는 소리를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었던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럴 것이다. ‘논다’는 것을 ‘게으르다’거나 ‘미래를 준비하지 않는다’거나 심지어는 ‘불량’하고 ‘잘못된 길’로 빠지는 것과 동의어로 인식할 정도니 말이다. 그래서 막상 놀라고 하면 어떻게 놀아야할 지 갈피를 못잡는 것일 게다. 하지만 어쩌면 우리 삶은 놀이의 과정일 수 있다. 그 놀이가 결과만을 추구할 때 우리네 삶은 불행할 수밖에 없다.

 

삶에 복불복식의 놀이가 주는 잠깐의 즐거움이 나쁜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 자극이 본질을 뒤집을 때 삶은 무미건조해져 버린다. 결국 어떤 결과가 나올 것인가에만 집착하는 복불복은 그 적절한 선을 유지하지 못할 때 독이 되기 십상이다. <1박2일>의 그 재미있던 복불복이 지금은 오히려 독이 되고 있는 것은 그런 이유일 것이다. 반면 <런닝맨>의 놀이는 낯설고 때론 유아적이라고 말하는 이들도 있지만, 이것은 우리가 가진 놀이에 대한 편견을 깨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게 여겨진다. <1박2일>의 복불복과 <런닝맨>의 게임 속에는 이처럼 우리가 놀이를 바라보는 너무나 다른 시선의 차이가 들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