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전혀 공감 안가는 '수상한' 일본드라마 베끼기

728x90

<수상한 가정부>, 설마 일본 시청자만 겨냥한건가

 

그래도 우리나라에서 다시 리메이크한 것이니 최소한 우리식의 정서 변환은 있을 줄 알았다. 하지만 SBS 드라마 <수상한 가정부>는 도무지 우리 정서로서는 이해하기 힘든 설정과 상황들이 난무하는 드라마가 되어가고 있다. 원작인 일본드라마 <가정부 미타>를 보지 않았다고 해도 <수상한 가정부>에 등장하는 장면들 곳곳에서 일본식의 정서를 느낄 수 있을 정도다.

 

'수상한 가정부(사진출처:SBS)'

먼저 이 드라마의 은상철(이성재)이라는 아빠 캐릭터는 우리에게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이기 힘든 인물이다. 자신의 불륜으로 아내가 자살을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여자에 대해 순정에 가까운 연정을 보여주는 캐릭터. 심지어 이 사실을 아이들이 알게 되어 집밖으로 쫓겨나다시피 했지만(이런 설정도 이해하기 힘들지만) 그는 여전히 그녀를 잊지 못하는 그런 인물이다.

 

이런 캐릭터라면 응당 우리네 정서로 보면 악역(가정을 파괴하는)으로 그려져야 공감이 갈 것이다. 하지만 그는 이 와중에도 아이들을 살뜰히 챙기고 걱정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물론 여자와 아이들 사이에서 우유부단하고 갈팡질팡하는 캐릭터가 현실적이지 않다는 것이 아니다. 다만 우리네 정서에서 이런 가장의 모습이 낯설게 다가오기 때문에 은상철이라는 캐릭터에 공감하기가 어렵다는 얘기다.

 

물론 더 극단적으로 이해하기 힘든 캐릭터는 이 드라마의 주인공인 박복녀(최지우)다. 분명 과거에 엄청난 사건을 겪고 그 후유증으로 전혀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인물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렇다고 해도 그녀가 아이들을 대하는 태도는 지나치게 극단적이다. ‘시키면 뭐든지 한다’는 것이 캐릭터지만 그래도 어떤 정서적인 선이라는 것이 있게 마련이다.

 

죽은 엄마를 잊지 못하는 혜결(강지우)이 엄마한테 가자고 하자 엄마가 자살한 강물로 그녀를 데리고 들어간다거나, 이제 성에 눈을 뜬 두결(채상우)이 “그것도 할 수 있냐”고 하자 아이 앞에서 옷을 벗는다거나, 한결(김소현)이 망가지겠다며 가출을 할 때 “잘 다녀오십시오”라고 얘기한다는 건 우리네 정서로서는 공감하기가 힘들다.

 

감초 같은 캐릭터로 말 많은 옆집 아줌마인 어진 엄마(방은희) 역시 지나치게 과장되어 있어 억지스럽게 여겨진다. 망원경으로 사람들을 관찰하는 행동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는 그 집 분위기도 이상하고 지나치게 상철의 집에 관심을 보이고 이상한 소문을 퍼트리고 다니는 것도 정상적이라 생각되지 않는다.

 

문제는 캐릭터만이 아니다. 특정한 상황 속에서 인물들이 하는 행동들 역시 우리 정서와는 잘 맞지 않는 부분이 많다. 정상적인 부모나 할아버지가 아이의 뺨을 때린다거나, 왜 등장했는지 모르겠지만 우연히 이제 열다섯인 두결이 가정부 박복녀의 가슴을 만지게 된다거나, 한결이 망가지겠다며 가출해서 혼자 살고 있는 수혁(서강준)의 집을 찾아간다거나 하는 설정들은 우리 정서에서는 그다지 공감가지 않는 부분들이다.

 

그렇다면 이것은 이 드라마의 원작인 <가정부 미타>에서 상당 부분 그대로 가져온 결과일 것이다. 왜 우리나라에서 방영되는 드라마에 우리 정서에 맞는 리메이크 과정이 없이 일본 정서에나 받아들여질 내용들이 그대로 보여지고 있는 걸까. 이것은 일본에서도 성공했으니 국내에서도 성공할 거라는 안이한 기획에서 비롯된 것일 수도 있고, 어쩌면 <가정부 미타>가 갖고 있는 자극적인 설정들을 과감히 버리지 못한 데서 생겨난 문제일 수도 있다.

 

그 이유가 무엇이든 <수상한 가정부>가 일본식 정서를 그대로 담은 채 국내에서 방영되고 있다는 것은 대단히 수상하다고밖에 볼 수 없다. 최지우를 굳이 캐스팅한 것에서 느껴지듯이 혹 이 드라마는 우리가 아니라 아예 대놓고 일본을 겨냥한 건 아니었을까. 과거 일본에 한류 드라마들이 퍼져나갔을 때 적당한 한류스타를 세워 마구 만들어짐으로써 한류에 오히려 먹물을 뒤집어쓰게 했던 그런 식의 드라마제작이, 최근 들어 점점 많아지고 있는 일드 리메이크의 역수출에도 적용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싶어 우려스럽기 그지없다. 이런 식의 접근은 성공하기도 어렵고 심지어 한류 드라마의 위상마저 깎아먹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