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찮은 tvN 전성시대 케이블 트렌드 만드나
이명한 CP의 얼굴은 싱글벙글이었다. 그도 그럴 것이 <꽃보다 할배>가 펄펄 날더니 이어 <응답하라 1994>는 후속작의 부진 같은 우려는 일찌감치 깨버리고 전작의 아성마저 뛰어넘어버렸다. 그에게 <꽃보다 할배>의 나영석 PD나 <응답하라 1994>의 신원호 PD 그리고 이 두 작품에 모두 단단한 밑그림을 그려주고 있는 이우정 작가 모두 KBS 시절부터 함께 잔뼈가 굵어온 동생들이나 마찬가지다. 이들은 지금 케이블 채널의 새로운 신화를 쓰고 있다. 2%만 나와도 대박이라 부르던 케이블이 이제 7%는 기본이고 두 자릿수 시청률까지 노리고 있다니.
'응답하라 1994(사진출처:tvN)'
오는 29일 밤은 어쩌면 그래서 케이블 채널의 새로운 기록이 달성될 지도 모르는 분위기다. <응답하라 1994>와 <꽃보다 할배>의 후속인 <꽃보다 누나>가 연속 편성되었기 때문이다. 앞에서 당겨주고 뒤에서 밀어주는 이 형국. 어디서 많이 보던 그림이 아니던가. KBS <해피선데이>의 최전성기 시절의 그림이다. 앞에서 신원호 PD의 <남자의 자격>이 당겨주고 뒤에서 나영석 PD의 <1박2일>이 밀어주던 그림. 그래서 이명한 CP가 조심스럽게 기대하는 두 자릿수 시청률은 그리 불가능한 일처럼 여겨지지 않는다.
2년 전 이명한 CP가 CJ로 이적하던 시점만 하더라도 상황은 그리 호락호락하지 않았다. 케이블에 대한 인지도가 조금씩 생기고는 있었지만 지금처럼 보편적 시청층을 겨냥하기보다는 여전히 충성도 높은 마니아층을 상대로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당시에는 이른바 ‘케이블 라이크’한 프로그램을 염두에 두지 않으면 제 아무리 좋은 기획도 실패할 가능성이 높았다. 하지만 그로부터 2년이 흐른 현재 상황은 바뀌었다. 이명한 CP는 “여전히 케이블 라이크한 프로그램은 필요하지만 지금은 보편적 시청층을 함께 가져가기 위한 노력도 필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tvN으로 대변되는 CJ의 케이블 운영은 그렇게 보면 꽤 장기적인 안목에서 이뤄졌다고 볼 수 있다. 초창기에는 일단 채널을 알리기 위해 다소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소재와 마니아층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이는 방식을 취했지만 어느 정도 채널에 대한 인지도가 생기기 시작하자 노선을 서서히 바꾸어왔던 것. 이른바 이명한 사단으로 불리는 KBS <해피선데이> 출신 제작진들을 대거 스카우트한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던 셈이다. 송창의 대표로 상징되는 초창기 PD들이 케이블의 존재를 알렸다면, 이제 그 기반 위에서 이명한 사단이 특유의 보편적 마인드로 폭넓은 시청층을 끌어들이고 있는 것.
tvN의 약진은 또한 KBS 시스템에서는 좀체 시도하기 어려운 참신한 도전들이 일상적으로 시도되는 케이블의 분위기가 제공한 것이기도 하다. 여전히 <1박2일>을 만지작거리고 있는 KBS의 분위기 속에서 <꽃보다 할배>나 <응답하라> 시리즈는 나오기 어려운 콘텐츠임에 분명하다. 특히 <응답하라> 시리즈의 신원호 PD를 떠올려 보라. 과연 KBS에서 예능 PD에게 드라마를 과감하게 맡길 수 있었겠는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물론 지상파만큼 안정적일 수는 없겠지만 무언가 새로운 시도와 도전을 하려는 젊은 PD들에게는 오히려 ‘안전하다’는 것이 고마울 수만은 없는 일이다.
물론 이번 tvN의 약진은 그 중심에 심지어 스타 PD와 작가의 반열에 오른 몇몇 제작자들이 있는 게 사실이다. 나영석 PD와 신원호 PD 그리고 이우정 작가가 없었다면 이처럼 강력한 시너지를 만들어내지는 못했을 게다. 이명한 CP는 나영석 PD와 신원호 PD의 장점이 서로 다르다고 말했다. “신원호 PD 같은 경우에는 어떤 장르를 주던 기본 이상을 만들어내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나영석 PD는 비슷한 분야 안에서 브랜딩 하는 능력이 뛰어나죠.” 여기에 예능에 정서적인 살을 붙이고 톡톡 튀는 캐릭터를 만드는데 탁월한 이우정 작가까지 더해지니 더할 나위 없는 드림팀이 구성되었던 것.
고무적인 것은 <꽃보다 할배>나 <응답하라> 시리즈가 단순한 콘텐츠의 재미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새로운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다는 점이다. <꽃보다 할배>는 뒤늦게 실버 파워 트렌드를 만들어내면서 오히려 지상파에서 이 트렌드에 뛰어들게 만들었으며, <응답하라> 시리즈는 90년대 복고 트렌드를 전면에서 이끌어냈다. 즉 프로그램을 만든다기보다는 하나의 트렌드를 창출했다는 점에서 이들 프로그램이 갖는 의미가 남다르다는 점이다.
<꽃보다 누나>와 <응답하라 1994>의 합동작전은 과연 지상파를 넘을 수 있을 것인가. 사실 요즘은 지상파 예능에서도 두 자릿수 시청률을 내는 것이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그러니 만일 이 괴물 같은 프로그램들이 두 자릿수 시청률을 만들어낸다면 그것은 어쩌면 케이블이 지상파를 압도하는 새로운 트렌드로 이어질 지도 모를 일이다. 과연 이 일은 실현 가능한 일이 될 것인가.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K팝스타', 시즌3도 기대되는 이유 (0) | 2013.11.26 |
---|---|
'진짜사나이' 이외수 통편집 이해돼도 남는 씁쓸함 (0) | 2013.11.25 |
송혜교|여배우의 길을 보여주다 (0) | 2013.11.20 |
관상특집이 보여준 '무도'와 유재석의 의지 (0) | 2013.11.19 |
불법도박 파문, 왜 이수근에게만 집중될까 (1) | 2013.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