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영명 작가의 고소와 더 이상 참기 어려운 일들
임성한 작가의 원고료 50억설(물론 실제는 50억이 아니라고 한다)에 이어 서영명 작가의 JTBC와 JS픽처스를 상대로 낸 52억 소송이 알려졌다. 소송 사유는 JTBC <더 이상은 못 참아>를 집필하던 중 일방적으로 계약 해지 통보를 받았다는 것. 서영명 작가가 JS픽처스를 통해 전해들은 JTBC측의 해지통보의 표면적인 이유는 ‘대본이 늦게 나와서’라고 한다.
'더 이상은 못참아(사진출처:JTBC)'
물론 이 ‘늦은 대본’ 문제는 JTBC 관계자에 의하면 실제로 있었다고 한다. 그것이 사실인지는 모르겠지만 적어도 우리는 <밥줘> 같은 드라마를 통해 서영명 작가가 보여 왔던 일련의 작가 권력의 파행을 잘 알고 있다. 당시 막장 전개에 대한 무수한 비판들이 쏟아졌고 그로 인해 방송사까지 부담을 느끼는 상황이었지만 결국 통제가 되지 않았던 상황.
즉 ‘늦은 대본’ 문제도 문제지만 그보다 더 큰 사유라고 한다면 <더 이상은 못 참아>라는 드라마의 내적인 이유가 더 클 거라는 점이다. 이 드라마는 제목이 보여주듯이 가부장적인 남편 밑에서 평생 구박당하며 억눌려 살아오던 아내가 ‘더 이상은 못 참고’ 남편에게 이혼청구를 하는 이야기에서부터 시작됐다.
즉 황혼이혼을 소재로 다루는 이 드라마는 그러나 자극적인 설정과 대사로 과연 일일드라마로서 괜찮을까 하는 의구심을 갖게 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새 여자를 아내로 들인 전남편의 집에서 가사도우미 일을 하는 설정이라든가, 제 아무리 억압받으며 살아왔다고 해도 거의 막말에 가까운 말들을 남편에게 쏟아내는 아내의 대사 같은 것들은 저녁 시간대에 가족이 함께 보기에 불편했던 것이 사실이다.
서영명 작가의 교체 시점에서는 갑자기 이 드라마의 주인공격에 해당하는 길복자(선우용녀) 여사가 교통사고로 죽어 관에 실려 무덤 앞까지 갔다가 관 뚜껑을 열고 부활하는 황당한 장면이 연출되기도 했다. 즉 이 드라마의 무리한 설정과 자극적인 전개가 계약 해지 사유의 이면에는 분명 존재할 거라는 점이다.
물론 자기 작품을 쓰다가 중도에 교체되는 것은 당사자에게는 큰 충격이자 상처일 수 있다. 하지만 통제되지 않는 폭주기관차처럼 무작정 시청률을 향해 달려가는 드라마의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제 아무리 욕을 먹더라도 시청률만 나오면 다 괜찮다는 식으로 넘어가야 하는 걸까.
우리는 이 경우를 <오로라공주>의 임성한 작가를 통해 겪고 있다. 심지어 시청자들이 스스로 일어나 연장 반대와 임성한 작가 퇴출 운동까지 벌이고 있지만 어쩐 일인지 방송사는 요지부동이다. 계약이 되어 있다고 해서, 아니 시청률이 조금 나온다고 해서 방송사가 작가의 파행을 묵인해주는 건 과연 옳은 일일까.
서영명 작가가 얘기하는 ‘작가의 권익’은 물론 중요한 문제다. 하지만 이 문제는 서영명 작가처럼 이미 권력화된 중견 작가에게 필요한 것이 아니라, 이들의 거대한 그림자에 가려 빛조차 보지 못하고 있는 젊은 신진작가들에게 필요한 일이다. 마치 이들을 대변하는 듯 얘기하고 있지만 서영명 작가가 과연 이들에게 존경받을 만큼 작가로서의 모범을 보이고 있는지 자문하고 싶다.
방송사의 횡포일까. 아니면 이른바 시청률 보증수표라고 불리는 중견작가의 또 다른 권력 행사일까. 만일 방송사가 아무런 사유 없이 작가를 교체했다면 그것은 물론 힘 있는 자의 횡포가 될 것이다. 하지만 서영명 작가의 경우에 왜 굳이 작가를 교체까지 했는가 하는 점을 새삼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작가의 파행을 막기 위한 선택이라면 그것은 어쩌면 방송사가 시청자들을 보호하려 했던 것이 되지 않을까. 현재 임성한 작가에 대해 대중들이 요구하고 있지만 방송사가 취하지 않은 조치 같은 것들.
서영명 작가의 고소에는 분명 작가의 권리라는 측면과 방송사의 입장 그리고 시청자의 권리가 복잡하게 얽혀있는 면이 있다. 하지만 최근 대중들이 바라보는 중견작가들에 대한 시선이 그리 곱지 않다는 점 또한 거기에는 정서로 깔려 있다. 요즘은 이른바 시청률 보증수표로 불리는 중견작가들이 드라마를 다 말아먹는다는 이야기까지 나오는 상황이 아닌가.
이들이 주로 그리는 가족드라마의 양태를 보면, 말 그대로 파탄 난 가족들뿐이다. 이것은 해체되고 있는 우리네 가족의 현실을 보여주는 일일까, 아니면 가족드라마의 파행을 보여주는 일일까. 무엇보다 서민들의 귀에 들려오는 몇 십 억씩 하는 그네들의 원고료가 과연 그 드라마들의 가치에 합당한가 하는 의구심을 표하지 않을 수 없다. 자칫 잘못하다간 이들 중견들의 시청률 지상주의 드라마들에 우리네 드라마판이 무너질 판이다. 이것이 더 이상은 못 참고 퇴출운동까지 하는 대중들의 마음이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응답하라1994', 스타 캐스팅 없어 가능했던 것 (2) | 2013.12.23 |
---|---|
'오로라'가 성공작? 씁쓸한 임성한 작가의 자평 (1) | 2013.12.14 |
'감자별', 여진구 표정에 담긴 김병욱표 희비극 (0) | 2013.11.28 |
엔딩도 남달랐던 '비밀', 그 참신함의 비밀 (0) | 2013.11.16 |
'네 이웃'의 불륜, '왕가네'와는 다른 이유 (0) | 2013.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