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오로라'가 성공작? 씁쓸한 임성한 작가의 자평

728x90

임성한 작가 왜 해명조차 논란거리가 될까

 

주인공의 전 남편이 사망 후 개로 환생하고, 돌연사한 주인공의 애완견이 주인공의 아이로 환생한다?’ ‘주인공이 죽는다.’, ‘마지막 회에서 돌연사한 인물들이 다 부활한다.’ <오로라공주>의 종영에 즈음해 쏟아져 나오는 황당한 결말 추측들이다. 다른 드라마라면 코웃음을 쳤을 황당 추측이겠지만 이 드라마라면 실제로 일어날 법한 결말들이다. 그간 너무 황당하고 어이없는 상황들이 난무했기 때문이다.

 

'오로라공주(사진출처:MBC)'

무려 12명의 배우가 죽거나 해외 이주 등으로 하차했고, 죽는 장면에서 뜬금없는 유체이탈 설정까지 나왔다. “암세포도 생명이라는 황당한 대사는, 108배를 했더니 동성애자가 이성애를 느낀다는 개념 없는 대목에 비하면 양반이다. 심지어 하반신 마비가 된 강원래를 연상시키는 장면에서는 장애인까지 비하한다는 논란까지 생겼다. 일일드라마라서 그런지 논란은 거의 하루가 멀다 하고 쏟아져 나왔던 것 같다. 보지 않으면 그만이라고 하지만 방송이라는 공공재가 공해에 가까운 콘텐츠를 대중들이 싫어해도 끊임없이 매일 내보냈다는 것은 그 자체만으로도 비판받을 일이다.

 

실로 시청률이면 모든 게 정당화된다 생각하는 걸까. 임성한 작가가 이른바 사과문이라고 내놓은 글을 읽어보면 사과의 내용은 별로 없고 심지어 실패를 면한’ <오로라공주>의 성공을 자축하는 뉘앙스가 더 많다. 무엇이 실패를 면했다는 것인가. 논란으로 싸움 구경 온 시청자들을 통해 얻어낸 시청률이면 모든 게 성공이라는 얘기인가. 본인은 실패를 면할 수 있었다고 밝히고 있지만 거기에 공감할 수 있는 대중들이 몇이나 될까.

 

해명 글 속에서 눈에 띄는 대목은 배우들에 대한 상찬이다. 그것은 아마도 이유도 모른 채 끊임없이 하차하게 된 배우들을 염두에 둔 이야기일 것이다. 이 상찬 속에는 이들의 하차가 자신의 개인적인 의도와는 상관없는 작품 내적인 흐름에 의한 선택이라는 뉘앙스가 들어 있다. 하지만 이것 역시 신뢰하기 어려운 이야기다. 실제로 하차한 배우들은 자신이 왜 갑자기 하차했는지 납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것은 시청자들도 마찬가지다.

 

끊임없는 하차와 죽음에 대해 논란이 벌어지자 나중에는 아예 시청자 게시판을 통해 제작진이 하차하는 인물을 예고하는 해프닝은 이 드라마가 가진 막장적 속성을 드러내준다. 즉 드라마는 그 내적 흐름을 통해 스스로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주인공이 누군가를 사랑하면 작품의 흐름을 통해 그 과정을 납득시켜야 하고, 누군가 죽는다면 그 이유도 개연성을 통해 설명해줘야 한다. 하지만 이 개연성이 망가져 있기 때문에 <오로라공주>는 작품 바깥에서 이걸 일일이 고지하는 황당한 해프닝까지 벌어졌던 것이다.

 

결국 작가는 작품을 통해 모든 걸 얘기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오로라공주>는 그 속의 이야기는 물론이고 그 인물들조차 납득시키고 공감시키지 못했다. 지금껏 논란이 나와도 굳게 입을 다물고 있었던 임성한 작가가 굳이 이런 일종의 해명 글을 공개적으로 올린 것도 마찬가지다. 작가가 자신의 작품에 대해 스스로 자평하고 해명하고 있다는 것은 그 작품이 얼마나 완성도가 없었던가를 자인하는 일이다.

 

임성한 작가는 해명 글에서 객관성을 유지하려 노력했고, 연출부 의견도 듣고, 심의실 의견도 수용하고 특히 예민할 수 있는 사안에선 기획자인 김사현 본부장의 조언을 들어가며 최대한 단점을 줄이려 했지만 그래도 어쩔 수 없이 놓치는 부분이 있었습니다라고 말했다. 이 얘기는 <오로라공주>에 대해 논란이 나올 때마다 방송사 측이 그것은 전적으로 작가만이 안다고 발뺌을 했던 부분하고는 상반된 이야기다. 도대체 누구의 말이 진실일까. 그것이 누구든 양자 모두 책임을 피하기는 어려울 게다. 심지어 작가 퇴출 서명운동까지 벌어졌던 상황이 아닌가.

 

막장드라마의 가장 큰 문제는 과정이 보여준 해악을 마지막 한 회분의 결말이나 심지어 해명으로 모두 덮으려고 한다는 점이다. 결국 이렇게 마지막의 제스처 하나로 모든 걸 무마하게 되면 막장드라마는 또 다른 이름으로 창궐할 수밖에 없다. 결국 사과가 중요한 것이 아니고 다시는 사과가 필요하지 않는 작품을 내는 게 중요한 것이다. 하지만 보라. 임성한 작가에 대한 그동안의 무수한 질타들이 쏟아졌음에도 불구하고 달라진 점이 있는지.

 

그래서 해명 글 마지막에 달린 부족한 점을 지적해주신 네티즌 여러분들에게 고맙다는 인사나 기자 여러분도 수고 많으셨다는 인사, 게다가 실수가 있으면 또 짚어주시기 바랍니다라고 하는 말에서 진정성을 느끼기란 쉽지 않다. 진정 네티즌들의 지적과 기자 여러분의 수고를 생각한다면 누군가 짚기 전에 실수를 저지르지 않는 게 옳다. 그것이 진정 실수인지는 모르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