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브로 ‘그런 남자’ 인기, 공감인가 마케팅인가

728x90

브로의 인기를 바라보는 상반된 입장

 

공감일까 아니면 또 하나의 노이즈 마케팅 성공사례일까. 갑자기 등장한 브로의 그런 남자라는 곡을 바라보는 상반된 시각이다. 실로 소속사도 없는 무명의 신인가수가 각종 음원차트 1위를 석권하고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하지만 그 인기의 뒤안길에 비상식적인 일들로 논란의 중심이 되곤 하는 일간베스트(이하 일베)’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는 건 우려 섞인 시선들을 만들어낸다.

 

'사진출처:다날엔터테인먼트'

먼저 콘텐츠만 보면 그런 남자라는 곡은 기존 가요계에서는 시도하지 않았던 몇 가지 참신한 아이디어가 돋보인다는 것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그 첫 번째는 발라드라는 장르와 반전을 이루는 다소 강한 비판조의 가사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말하지 않아도 네 맘 알아주고 달래주는 그런 남자. 너무 힘이 들어서 지칠 때 항상 네 편이 되어주는 그런 남자처럼 평범한 발라드 가사로 시작하지만 갑자기 그런 남자가 미쳤다고 너를 만나냐하며 반전을 만든다.

 

하지만 이 반전의 아이디어로 이어지는 건 순화시킨 표현(?)으로 이뤄지는 디스다. ‘미쳤다고 너를 만나냐는 표현은 약을 먹었니’, 총을 맞았니같은 표현으로 점점 강도를 높인다. ‘우스갯소리를 해도같은 가사는 사실상 앞부분을 거의 들리지 않을 정도로 내고 있어 개소리를 해도로 들린다. 절묘한 욕설에 가깝다. 결국 이 노래의 가사는 필터링되지 않기 위해 순화해 쓰는 인터넷 댓글 같은 느낌을 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언어와 그 언어에 깔린 정서를 가사로 끌어왔다는 것은 두 번째로 지목되는 참신한 아이디어다. 이 정서란 사실상 억눌린 감정이나, 실제 대면하는 연애에는 익숙하지 않지만 인터넷 같은 매개를 통한 관계에서는 거침없고 때로는 지나친 면마저 갖고 있는 젊은 세대의 마음을 대변하는 면이 있다. 물론 여성비하라는 측면이 들어있어 듣는 여성들에 따라서는 불쾌한 느낌을 줄 수 있지만, ‘그런 남자에 이어 나온 그런 여자를 들어본 이들이라면 그 비슷한 정서에는 고개를 끄덕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세 번째는 그런 남자의 디스에 그런 여자같은 맞대응곡이 나올 정도로 노래의 가사가 충분한 이슈와 화제성을 끌어낸다는 점이다. 마치 남녀 간의 대결 양상처럼 보이는 이 디스전은 그 자체로 대중들의 관심을 이끌어낸다. 만일 이것이 마케팅적으로 계산된 것이라면 그런 남자는 저 힙합 디스전의 효과를 발라드를 통해서도 입증해보인 셈이 된다. 물론 여기에도 아쉬움은 남는다. ‘그런 남자에 비해 그런 여자는 너무 급조한 티가 나고 음악적으로도 매력적으로 느껴지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무엇보다 그런 남자의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부분은 뮤직비디오다. 어찌 보면 비용이 거의 들지 않았을 것 같은 이 뮤직비디오는 메신저 화면에 올라가는 가사내용의 전달만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만들어낸다. 우리가 하루에도 수십 번씩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메신저 글귀들이 가사로서 채워지고 거기에 일종의 댓글처럼 상대방의 메시지가 올라오는 형식은 이 노래가 인터넷의 소통방식을 그대로 가져오고 있다는 걸 보여준다. 그러니 인터넷을 생활 기반으로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그 형식이 주는 공감대는 클 수밖에 없다.

 

하지만 이 꽤 괜찮은 완성도와 톡톡 튀는 아이디어들로 가득한 그런 남자라는 곡이 하필 일베같은 부정적인 이미지를 안고 대중들에게 보여지게 됐다는 사실은 실로 안타까운 일이다. 그것은 괜찮은 콘텐츠가 바로 이런 외부적인 요인들에 의해 전혀 다른 느낌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일베와의 관련을 모른 채 그런 남자를 먼저 들은 사람이 이 노래에 매료되었다가 곧 스스로 일베임을 밝힌 브로의 몇몇 진술을 알게 되고는 호감이 비호감으로 바뀌는 일은 가능하고 또 어쩌면 당연하다.

 

제 아무리 성향이 자유라지만 일베가 그간 해왔던 비상식적인 일들을 떠올려보면 그런 남자라는 곡의 가사가 어쩌면 일베 사이트에서 자주 사용되던 타인에 대한 비방과 비난을 가사화했다는 느낌마저 줄 수 있다. 상식적으로 도저히 입에 담을 수 없는 말들이 버젓이 올려지고 심지어 거기에 대해 쿡쿡거리며 웃음을 보내는 일들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겠나. 따라서 브로의 일베 인증은 향후 이 재능 있는 신인의 발목을 잡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다른 한 편으로 보면 오죽했으면 일베 같은 사이트의 지지를 얻으려고 했겠는가 하는 가요계의 현실을 들여다보게 된다. 엄청난 경쟁 속에서 제 아무리 콘텐츠가 우수해도 일단 주목받지 못하면 사장되어 버리는 것이 현 가요계의 현실 아닌가. 물론 돈 있는 기획사라면 통상적인 마케팅으로 승부를 볼 수 있겠지만 그렇지 못한 영세한 기획사나 아예 브로처럼 소속사 자체가 없는 신인들은 어떻게든 자신의 콘텐츠를 알리는 것이 우선이라 여길 수밖에 없을 것이다. 마치 걸 그룹들이 생계를 위해 경쟁적인 노출을 하듯이.

 

그런 남자의 인기에는 그래서 인터넷 정서에 민감하게 공감한 한 신인가수의 재능과 함께, 경쟁적인 현실 속에서 어떻게든 세상에 자신을 알려야 하는 절박함과 그 안타까움이 동시에 묻어난다. 공감은 가지만 과한 면이 있다. 하지만 그 과한 면은 어쩌면 그 절박함에서 비롯되고 있는 지도 모른다. 이런 가수가 일베의 언저리를 배회한다는 것은 실로 불행한 일이며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